비변사등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로봇: 한국의 역사 책(을)를 한국의 역사책(으)로 분류를 바꿈; 예쁘게 바꿈
명칭 변경 반영
1번째 줄:
{{유형문화재문화재 정보
| 이름 = 비변사등록 <br />(備邊司謄錄)
| 소재_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 그림 = Records of the Border Defense Council in museum.jpg
| 유형 =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 그림설명 =
| 그림 = Records of the Border Defense Council in museum.jpg
| 국가 = {{KOR}}
| 이름 = 비변사등록 <br />(備邊司謄錄)
| 유형 = [[대한민국의 국보 (제101호 ~ 제200호)#제101호 ~ 제200호|국보]]
| 지정_번호번호 = 152
| 지정연월일지정 = [[1973년]] [[12월 31일]]
| 해지연월일 =
| 소유자해지 =
| 소재지 = [[서울대학교]] [[규장각]]
|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103호 동 <b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br />(신림동,서울대학교)
| 소유자 =
| 좌표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관리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제작_시기 = [[조선]] 시대
| 비고 참고 =
| 면적 =
| 수량 = 273책
| 전승지 =
| 전승자 =
| 지도 = 대한민국
| 띄움 =
| 꼬리표 = 규장각
| 너비 =
| 대체지도 =
| 설명 =
| 위도도 = 37 | 위도분 = 27 | 위도초 = 43 | 남북 = N
| 경도도 = 126 | 경도분 = 57 | 경도초 = 1 | 동서 = E
| 웹사이트 =
| 문화재청 = 11,01520000,11
}}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附議政府謄錄)은 [[조선]]조 중·후기의 최고의결기관이었던 [[비변사]]에서 처리한 사건을 등록하여 [[광해군]] 9년(1617)부터 [[대한제국 고종|고종]] 29년(1892)까지의 12왕조 280여 년간의 기록이며 273책이다. 현존분이 완전한 일질은 못되지만 각 왕대를 연하는 그 방대한 양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에 못지않은 귀중한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비변사의 설치는 정확한 연대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처음 임시기구로서의 비변사는 명칭도 책성사(築城司)였으나 1517년 6월 삼공(三公)의 의견에 따라 비변사(備邊司)라 개칭되고, 1522년 [[추자군도|추자도]] 등지에 [[왜구]]가 침범한 것을 계기로 상설기구화되었다. 비변사는 [[임진왜란]]을 통해 급격한 기능이 확장되어 문·무고관의 합의기관으로 그 정치적 지위는 확고해졌다. 후기에는 비변사에 대한 부정적인 논란이 있었고, [[흥선대원군]]의 섭정으로 그 기능이 [[의정부]]로 이관되었다.
 
1973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52호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備邊司謄錄附議政府謄錄)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319095334601000&tocId=00000000000000001319095342175000&isTocOrder=N&name=%25EB%25AC%25B8%25ED%2599%2594%25EC%259E%25AC%25EC%25B2%25AD%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0-89%25ED%2598%25B8(%25EA%25B5%25AD%25EA%25B0%2580%25EC%25A7%2580%25EC%25A0%2595%25EB%25AC%25B8%25ED%2599%2594%25EC%259E%25AC%2520%25EB%25B3%25B4%25EB%25AC%25BC%25EC%25A7%2580%25EC%25A0%2595)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ref>
 
== 개요 ==
현존분이 완전한 일질은 못되지만 각 왕대를 연하는 그 방대한 양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에 못지않은 귀중한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비변사의 설치는 정확한 연대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처음 임시기구로서의 비변사는 명칭도 책성사(築城司)였으나 1517년 6월 삼공(三公)의 의견에 따라 비변사(備邊司)라 개칭되고, 1522년 [[추자군도|추자도]] 등지에 [[왜구]]가 침범한 것을 계기로 상설기구화되었다. 비변사는 [[임진왜란]]을 통해 급격한 기능이 확장되어 문·무고관의 합의기관으로 그 정치적 지위는 확고해졌다. 후기에는 비변사에 대한 부정적인 논란이 있었고, [[흥선대원군]]의 섭정으로 그 기능이 [[의정부]]로 이관되었다.
 
비변사등록은 1년에 1책씩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사건이 번다한 경우는 2책 또는 3책으로 작성된 것이 있다. 본래 비변사가 설치된 해인 1517년을 기준으로 하면 모두 349년분이 되어야 하나, 임진왜란 이전의 기록은 전란 중에 산일되고 광해군 9년(1617) 이후의 것이 남아 있다. 고종 2년(1865)에 비변사가 폐지된 뒤에도 고종 29년(1892)년까지 등록이 계속된 것은 그 업무가 의정부에 의해 계속되어 의정부가 비변사와 유사한 조직으로 그 사무를 처리하였기 때문이다. 그 서명이 《의정부등록》(議政府謄錄)과 같이 붙여졌지만, 내용이 종전의 것과 같고 체재도 동일하다.
줄 25 ⟶ 44:
이 책은 [[초서]]인 필사본을 [[해서 (서체)|해서]]로 옮겨 [[국사편찬위원회]]가 27책으로 축소 영인하였다.
 
== 각주 ==
{{서울시공개자료}}
<references/>
 
== 참고 자료 ==
* {{문화재청 문화재|11,01520000,11}}
* {{서울시공개자료}}
 
[[분류:서울특별시의 국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