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Billelme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2번째 줄: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언론인, 사상가, 문학가, 시인, 평론가, 번역가이다. [[일제 강점기]]에 한국의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과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으며, 아시아의 근대적 문학, 철학, 지성의 태동기에 자리했던 한국의 대표적인 개화기 지성인이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한 인물로 평가되며,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차남 [[안원대군]]의 후손이기도 하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사용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다.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을 세계에 홍보하려 노력하였으며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사상 등을 강의했고 [[경신학교]]와 경성제대 등에서도 신학문을 가르쳤다. 1922년 5월 개벽지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도덕적 타락'이 [[한민족]]의 쇠퇴의 원인이라며 비판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며 독립운동을 계속적으로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