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필암서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51번째 줄:
[[1672년]](현종 13) 증산동의 지대가 낮아 물난리로 흙다리가 위험해지는 등 수해를 입을 우려가 있어 지금의 자리인 해타리(海打里)로 옮기고, 마을 이름도 [[필암리]](筆巖里)라 하였다.<ref>이건에는 하서 증손 김형지(金亨祉), 외현손 이실지(李實之)를 비롯하여 박승화(朴升華, 기정연(奇挺然) 등이 주도하고, 장성부사 송시도(宋時燾)의 협조 하였다.</ref> <ref>사우(祠宇) 상량문(上樑文)은 송암(松巖) 기정익(奇挻翼), 이건 고유문은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봉안 제문은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이 지었다.</ref> [[1786년]](정조 10) 제자이자 사위인 고암(鼓巖) 양자징(梁子澂)을 추배(追配) 하였다.<ref>전라도 진사 이경집(李敬緝) 등이 상언(上言)하였다.</ref> <ref>[[1796년]](정조 20) 하서 [[김인후]]를 [[문묘]]에 종사(從祀)하고, 시호(諡號)를 「문정(文正)」으로 개시하였다.</ref>
 
[[필암서원]]은 옛 규모를 잘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물 제587호로 지정된 [[필암서원 문적 일괄]]<ref>노비보, 원장선생안, 집강안, 원적, 봉심록, 서원성책 등</ref> 및 [[조선 인종|인종]]이 하서 [[김인후]]에게 하사한 《묵죽도》와 《하서유묵》 등 60여건의 자료가 여전히 남아 있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의 47개 서원 중 하나이며.<ref>이는 [[필암서원]]이 [[호남 지방]]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함께 [[김인후]]라는 배향 인물이 갖는 의미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 [[일제 강점기]]나 [[한국 전쟁|6·25 사변]] 때에도 피해를 면한 서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