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
419번째 줄:
주베트남 미군을 총괄하던 [[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의 사령관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표상이었다. 그는 《타임》지가 선정한 1965년 올해의 인물이었고<ref name="Time">"The Guardians at the Gate", ''Time'' 7 January 1966, vol. 87, no.1.</ref>, 《타임》은 그를 “미국 전사의 늠름한 화신 …… 역사에서 바로 뛰쳐나온 듯 전투 계획을 수립하고 …… 병사들에게 그가 지닌 미국의 목표와 책임을 이상적으로 제시하였다”라고 평했다.<ref name="Time"/> 1967년 11월 웨스트모어랜드는 린든 B. 존슨 정부와 함께 승리를 낙관하고 있었다.<ref name="Witz">Witz ''The Tet Offensive: Intelligence Failure in War'' pp. 1–2.</ref> 그는 네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베트남 전쟁이 “끝이 보이는 단계”에 와 있다고 공언하였다.<ref>Larry Berman. ''Lyndon Johnson's War.'' New York, W.W. Norton, 1991, p. 116.</ref> 구정 대공세로 웨스트모어랜드의 단언이 허풍일 뿐이란 것이 드러나자<ref name="Witz"/> 미국의 미디어들은 미군이 막대한 병력을 투입한 존슨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인지 의문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존슨 정부는 군사적 실패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결국 존슨은 재선에 실패하게 되었다. 구정 대공세를 펼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군사적으로 철저히 패배하였지만 정치적 승리를 거둔 것이다.<ref name="Witz"/>
 
제임스 위츠는 구정 대공세가 “존슨 정부와 군부가 만든 …… 베트남 전쟁의 단계를 정면 반박하는 것”이었다고 평하였다.<ref name="Witz"/> 구정 대공세로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은 변환점을 맞을 수 밖에 없었다. 그 동안 미국 정보 당국이 평가하고 있던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전력이 과소 평가되어 있었다는 것이 드러나자<ref name="Karnow p. 556" /><ref>Harold P. Ford. ''CIA and the Vietnam Policymakers'' pp. 104–123.</ref> 언론인 [[피터 아네트]]는 [[벤쩨]]에서 근무 중인 익명의 장교가<ref>[http://select.nytimes.com/gst/abstract.html?res=FB0D1FFA3F541B7B93CAA91789D85F4C8685F9 Survivors Hunt Dead of Bentre, Turned to Rubble in Allied Raids] nytimes.com.</ref> “마을을 탈환하려면 파괴할 필요가 있다”는 명령을 받았다고 폭로하였다.<ref>[http://www.jewishworldreview.com/cols/charen040103.asp "Peter Arnett: Whose Man in Baghdad?"], [[Mona Charen]], ''Jewish World Review'', 1 April 2003.</ref> 또 다른 정보원은 제9 보병 사단의 부리스 소령이 이러한 명령을 하였다고 지목하였다.<ref>[http://www.nhe.net/BenTreVietnam/ Saving Ben Tre] {{웨이백|url=http://www.nhe.net/BenTreVietnam/ |date=20180210170437 }}.</ref>
 
[[파일:Deadvietcong2.jpg|섬네일|오른쪽|구정 대공세 중 미국 공군이 주둔 중인 떤선녓 공항을 공격하다 사망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베트남 인민군의 전투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