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18.221.173.112(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용 틀 구식 변수 정리
16번째 줄:
기후 모델의 예측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에서 2007년 발표된 [[IPCC 제4차 평가 보고서]]에서 요약되었다. 이 보고서에서는, 21세기 동안 지구의 평균 온도는 최하 1.1 - 2.9°C 상승에서 최대 2.4 - 6.4°C 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ref>Meehl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0.html Chap. 10: Global Climate Projections]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0.html |date=20160415020743 }},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0s10-es-1-mean-temperature.html Sec. 10.ES: Mean Temperature]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0s10-es-1-mean-temperature.html |date=20111116102329 }},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1|2007}}.</ref> 이러한 예상 수치의 오차는 모델마다 서로 다른 [[기후 민감도]] 때문에 발생한다.<ref>{{저널 인용 |last= Schneider Von Deimling |first=Thomas |coauthors= Held, Ganopolski, Rahmstorf |title= Climate sensitivity estimated from ensemble simulations of glacial climate |journal= Climate Dynamics |year= 2006 |id= {{citeseerx|10.1.1.172.3264}} |accessdate= 2011년 7월 20일}}</ref><ref>Meehl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0.html Chap. 10: Global Climate Projections]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0.html |date=20160415020743 }},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0s10-5.html Section 10.5: Quantifying the Range of Climate Change],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1|2007}}.</ref>
 
제4차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의 온난화로 인해 [[지구 온난화의 지역적 영향|지역적 영향]]이 발생한다고 발표했다.<ref>Solomon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ts.html Technical Summary],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tssts-5-3.html Section TS.5.3: Regional-Scale Projections],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1|2007}}.</ref>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지구 기온이 증가함과 함께 [[해수면 상승]] 및 [[강수]]량과 패턴의 변화, [[아열대]] [[사막]] 지방의 확장 등이 있다.<ref>{{저널 인용 |last1= Lu |first1= Jian |last2= Vechhi |first2= Gabriel A. |last3= Reichler |first3= Thomas |title= Expansion of the Hadley cell under global warming |journal=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ume= 34 |issue= 6 |page= L06805 |year= 2007 |url= http://www.atmos.berkeley.edu/~jchiang/Class/Spr07/Geog257/Week10/Lu_Hadley06.pdf |format= PDF |doi= 10.1029/2006GL028443 |bibcode= 2007GeoRL..3406805L |확인날짜= 2013년 2월 9일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20220032148/http://www.atmos.berkeley.edu/~jchiang/Class/Spr07/Geog257/Week10/Lu_Hadley06.pdf |보존날짜= 2012년 2월 20일 |깨진링크url-status= dead }}</ref> 또한, 지구 온난화로 [[북극의 기후 변화|북극의 축소]]와 지속적인 [[빙하]], [[영구 동토|영구 동토층]], [[해빙]]의 감소 등이 나타난다. 지구 온난화의 다른 영향으로는 [[극한 기후]]와 [[폭염]]의 증가, 가뭄과 폭우, [[해양 산성화]]와 [[기후 변화로 인한 멸종 위험|종의 멸종]]도 있다. 인간 생활에서는 [[기후 변화와 농업|농업 수확량의 감소]]와<ref name="Battisti">{{저널 인용
|last=Battisti |first=David |coauthors=Naylor |title=Historical warnings of future food insecurity with unprecedented seasonal heat |journal=Science |year=2009 |url=http://www.sciencemag.org/content/323/5911/240.short|accessdate= 2012년 4월 13일|doi=10.1126/science.1164363 |volume=323 |issue=5911 |pages=240–4 |pmid=19131626}}</ref> [[기후변화 난민]]의 발생이 있다.
 
91번째 줄:
| pmid = 19729653
| pmc =
}}<br />{{웹 인용 | title = Arctic Warming Overtakes 2,000 Years of Natural Cooling | url = http://www2.ucar.edu/news/846/arctic-warming-overtakes-2000-years-natural-cooling | publisher = UCAR | date = 2009년 9월 3일 | accessdate = 2011년 6월 8일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10427235538/http://www2.ucar.edu/news/846/arctic-warming-overtakes-2000-years-natural-cooling | 보존날짜 = 2011년 4월 27일 | 깨진링크url-status = dead }}<br />{{뉴스 인용 | last = Bello | first = David | title = Global Warming Reverses Long-Term Arctic Cooling | url = http://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cfm?id=global-warming-reverses-arctic-cooling | publisher = Scientific American | date = 2009년 9월 4일 | accessdate = 2011년 6월 8일 }}<br />{{저널 인용
| last1 = Mann | first1 = M. E.
| last2 = Zhang | first2 = Z.
115번째 줄:
온실 효과는 지구의 표면과 대기권에서의 [[적외선]] [[방출 스펙트럼]] [[흡수 (전자기 복사)|흡수]] 과정이다. 이것은 1824년 [[조제프 푸리에]]에 의해 창안되었고, 1896년 [[스반테 아레니우스]]에 의해 처음 조사가 이루어졌다.<ref>{{웹 인용|title = The Carbon Dioxide Greenhouse Effect |work=The Discovery of Global Warming |url = http://www.aip.org/history/climate/co2.htm|accessdate = 2009년 4월 21일|year=2008 |publisher=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first=Spencer |last=Weart | authorlink=Spencer R. Weart}}</ref>
 
자연적인 온실 가스 발생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효과로 평균 33°C가 유지되고 있다.<ref name="IPCC_WG1_AR4_Ch1">{{인용|author=Le Treut ''et al.'' |chapter-ur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ch1.html |chapter= Chapter 1: Historical Overview of Climate Change Science |at=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1/en/faq-1-2.html FAQ 1.1]}}, [http://www.ipcc.ch/pdf/assessment-report/ar4/wg1/ar4-wg1-chapter1.pdf p. 97],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1|2007}}: "To emit 240 W m–2, a surface would have to have a temperature of around −19°C. This is much colder than the conditions that actually exist at the Earth’s surface (the global mean surface temperature is about 14°C). Instead, the necessary −19°C is found at an altitude about 5 km above the surface."</ref><ref name="IPCC_WG1_AR4_Ch1"/><ref>온실 효과는 전 세계적으로 평균 33°C의 온도 "상승"을 가져왔다. 온실 효과 없이는 현재의 평균 온도는 33°C "이하로 하락"할 것이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온도는 14°C로 내려갈 것이다.</ref> 주요적인 온실 기체는 [[수증기]]이며 이는 온실 효과의 36–70%를 차지하고, 그 다음은 [[이산화탄소]](CO<sub>2</sub>)로 9–26%를 차지하고, [[메테인]](CH<sub>4</sub>)은 4–9%이며 가장 낮은 온실 기체는 [[오존]](O<sub>3</sub>)으로 3–7%를 차지한다.<ref>{{저널 인용 |url=http://www.atmo.arizona.edu/students/courselinks/spring04/atmo451b/pdf/RadiationBudget.pdf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0624223905/http://www.atmo.arizona.edu/students/courselinks/spring04/atmo451b/pdf/RadiationBudget.pdf |archivedate=2008년 6월 24일 |title=Earth's Annual Global Mean Energy Budget |first=J.T. |last=Kiehl |first2=K.E. |last2=Trenberth |authorlink2=Kevin Trenberth |format=PDF |journal=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pages=197–208 |volume=78 |issue=2 |year=1997 |accessdate=2009년 4월 21일 |doi=10.1175/1520-0477(1997)078<0197:EAGMEB>2.0.CO;2 |bibcode=1997BAMS...78..197K |issn=1520-0477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ref>{{웹 인용| url = http://www.realclimate.org/index.php?p=142|date= 2005년 4월 6일 | title = Water vapour: feedback or forcing?|first=Gavin | last=Schmidt | authorlink=Gavin Schmidt |publisher=RealClimate|accessdate = 2009년 4월 21일}}</ref><ref>{{웹 인용 | first=Randy | last=Russell | publisher=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Windows to the Universe | url=http://www.windows.ucar.edu/tour/link=/earth/climate/greenhouse_effect_gases.html&edu=high | title=The Greenhouse Effect & Greenhouse Gases | date=2007년 5월 16일 | accessdate=2009년 12월 27일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328171557/http://www.windows.ucar.edu/tour/link%3D/earth/climate/greenhouse_effect_gases.html%26edu%3Dhigh | 보존날짜=2010년 3월 28일 |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구름 또한 [[구름의 온실 효과 촉진|온실 기체와 유사한 영향]]을 가진다.
 
[[산업 혁명]] 이후 인간의 활동들은 이산화탄소, 메탄, [[대류권 오존]], [[염화불화탄소|프레온 기체]]<ref>[http://www.gir.go.kr/og/hm/ic/a/OGHMICA020.do 온실가스의 정의]{{깨진 링크|url=http://www.gir.go.kr/og/hm/ic/a/OGHMICA020.do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ref>, [[아산화 질소]] 등의 오존 기체 발생량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산화탄소와 메탄 온실 기체는 1750년 이후 36%와 148% 증가했다.<ref>{{웹 인용 |author=EPA|year=2007 | title = Recent Climate Change: Atmosphere Changes|work=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 url = http://www.epa.gov/climatechange/science/recentac.html|accessdate = 2009년 4월 21일|publisher=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ref> 이러한 수준은 [[아이스 코어]](ice core)로 측정한 신뢰 가능한 자료로 지난 80만년간 증가 수준보다 매우 높다.<ref>{{저널 인용 |last=Spahni |first=Renato|coauthors=''et al.'' |date = November 2005 |title = Atmospheric Methane and Nitrous Oxide of the Late Pleistocene from Antarctic Ice Cores |journal=Science |volume=310 |issue=5752 |pages =1317–1321 |doi=10.1126/science.1120132 |accessdate = 2009년 12월 27일 |pmid=16311333 |bibcode = 2005Sci...310.1317S}}</ref><ref>{{저널 인용 |last=Siegenthaler |first=Urs |coauthors=''et al.'' |date = November 2005 |title = Stable Carbon Cycle–Climate Relationship During the Late Pleistocene |journal=Science |volume=310 |issue=5752 |pages =1313–1317 |url = http://www.sciencemag.org/cgi/content/abstract/310/5752/1313 |format=PDF |doi=10.1126/science.1120130 |accessdate = 2010년 8월 25일 |pmid=16311332 |bibcode = 2005Sci...310.1313S}}</ref><ref>{{저널 인용 |author=Petit, J. R. |coauthors=''et al.'' |date=1999년 6월 3일 |title=Climate and atmospheric history of the past 420,000 years from the Vostok ice core, Antarctica |journal=Nature |volume=399 |issue=6735 |pages=429–436 |url=http://www.daycreek.com/dc/images/1999.pdf |format=PDF |accessdate=2009년 12월 27일 |doi=10.1038/20859 |bibcode=1999Natur.399..429P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117025013/http://www.daycreek.com/dc/images/1999.pdf |보존날짜=2017년 11월 17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ref>{{저널 인용
| last1 = Lüthi | first1 = D.
| last2 = Le Floch | first2 = M.
151번째 줄:
 
20세기의 지난 30년 동안, 국민 총생산 증가와 [[인구 증가]]는 온실 기체 배출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ref>Rogner, H.-H.,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3/en/ch1.html Chap. 1, Introduction],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3/en/ch1s1-3-1-2.html Section 1.3.1.2: Intensities],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3|2007}}.</ref>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화석 연료 이용과 토지 이용 변화로 인한 연소 때문에 점점 증가하고 있다.<ref name="nrc2008">{{웹 인용 |year = 2008 |title =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publisher=Board on Atmospheric Sciences and Climate, U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uthor=NRC |page = 2 |url = http://dels.nas.edu/resources/static-assets/materials-based-on-reports/booklets/climate_change_2008_final.pdf |accessdate = 2010년 11월 9일
}}</ref><ref name="worldbank2010">{{서적 인용 |year = 2010 |author = World Bank |title = World Development Report 2010: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publisher =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1818 H Street NW, Washington DC 20433 |url = http://econ.worldbank.org/WBSITE/EXTERNAL/EXTDEC/EXTRESEARCH/EXTWDRS/EXTWDR2010/0,,contentMDK:21969137~menuPK:5287816~pagePK:64167689~piPK:64167673~theSitePK:5287741,00.html |isbn = 978-0-8213-7987-5 |doi = 10.1596/978-0-8213-7987-5 |accessdate = 2010년 4월 6일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00305081236/http://econ.worldbank.org/WBSITE/EXTERNAL/EXTDEC/EXTRESEARCH/EXTWDRS/EXTWDR2010/0,,contentMDK:21969137~menuPK:5287816~pagePK:64167689~piPK:64167673~theSitePK:5287741,00.html |archivedate = 2010년 3월 5일 |깨진링크url-status = dead }}</ref>{{Rp|71}} 온실 기체 배출은 다른 지역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2005년 토지 이용 변화를 포함한 연간 온실 기체 배출량 증가는 매우 빠르게 증가함을 보여준다. 또한, 인류가 숲과 나무를 파괴하여 온난화 현상이 심해진다는 가설도 있다. 그러나, 토지 이용 변화가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지는 아직 논쟁중이다.<ref>Banuri ''et al.'', Chapter 3: Equity and Social Considerations, Section 3.3.3: Pattern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Box 3.1, [http://www.ipcc.ch/ipccreports/sar/wg_III/ipcc_sar_wg_III_full_report.pdf pp. 92–93]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SAR WG3|1996}}.</ref><ref name="liverman">{{저널 인용 |year=2008 |title=Conventions of climate change: constructions of danger and the dispossession of the atmosphere |doi=10.1016/j.jhg.2008.08.008 |author=Liverman, D.M. |journal=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url=http://www.environment.arizona.edu/files/env/profiles/liverman/liverman-2009-jhg.pdf |format=PDF |accessdate=2011년 5월 10일 |volume=35 |issue=2 |pages=279–29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12161138/http://www.environment.arizona.edu/files/env/profiles/liverman/liverman-2009-jhg.pdf |보존날짜=2014년 9월 12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Rp|289}}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미래의 온실 기체 배출량은 [[사회학|사회학적]], [[기술|기술적]] 발달과 향후 자연 개발, 경제 성장 등 불확실한 정보에 따라 달라진다.<ref>Fisher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3/en/ch3.html Chapter 3: Issues related to mitigation in the long-term context],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3/en/ch3s3-1.html Section 3.1: Emissions scenarios: Issues related to mitigation in the long term context]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3|2007}}.</ref>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는 몇 세기 동안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몇몇 시나리오에서는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ref>Morita, [http://www.grida.no/climate/ipcc_tar/wg3/068.htm Chapter 2: Greenhouse Gas Emission Mitigation Scenarios and Implications], [http://www.grida.no/climate/ipcc_tar/wg3/081.htm#2514 Section 2.5.1.4: Emissions and Other Results of the SRES Scenarios],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TAR WG3|2001}}.</ref><ref>Rogner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3/en/ch1.html Ch. 1: Introduction],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3/en/ch1s1-3-2-2.html Figure 1.7],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3|2007}}.</ref> 화석 연료의 매장량은 풍부하며 21세기 동안 탄소 배출의 제한량이 존재하지 않는다.<ref>IPCC, [http://www.grida.no/climate/ipcc_tar/wg3/003.htm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www.grida.no/climate/ipcc_tar/wg3/004.htm Introduction, paragraph 6],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TAR WG3|2001}}.</ref> [[탄소의 순환]]을 이용한 배출량 시나리오는 향후 온실 기체의 농도와 변경 가능한 최소치를 계산하는 데 이용하였다. 6개의 IPCC [[배출량 시나리오에 관한 특별 보고서]](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의 "마커 시나리오"에 따르면, 2100년까지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541에서 970ppm의 범위로 추정한다.<ref>Prentence ''et al.'', [http://www.grida.no/climate/ipcc_tar/wg1/095.htm Chapter 3: The Carbon Cycle and Atmospheric Carbon Dioxide][http://www.grida.no/climate/ipcc_tar/wg1/096.htm Executive Summary],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TAR WG1|2001}}.</ref> 이것은 1750년 증가분의 90-250%에 달하는 수치이다.
164번째 줄:
태양 복사를 산란하고 흡수하여 나타나는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미립자는 [[복사수지]](radiation budget)에 간접적 영향을 준다.<ref>{{저널 인용 |author=Lohmann, U. & J. Feichter|year=2005 |title = Global indirect aerosol effects: a review |journal=Atmos. Chem. Phys.|volume=5|issue=3| pages =715–737 |url= http://www.atmos-chem-phys.net/5/715/2005/acp-5-715-2005.html |doi= 10.5194/acp-5-715-2005}}</ref> 황산염으로 만든 [[구름 응집핵]](cloud condensation nuclei)은 더 작은 입자를 가진 구름을 만들게 된다. 이 구름들은 더 적고 큰 입자의 구름보다 더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반사한다. 이 효과는 [[투메이 효과]](Twomey effect)로 알려져 있다.<ref>{{저널 인용 |author=Twomey, S.|year= 1977 |title = Influence of pollution on shortwave albedo of clouds |journal=J. Atmos. Sci.|volume=34 |issue=7 |pages= 1149–1152 |doi=10.1175/1520-0469(1977)034<1149:TIOPOT>2.0.CO;2 |bibcode=1977JAtS...34.1149T |issn= 1520-0469}}</ref> 이 효과는 더욱 균일한 크기의 물방울을 만들어내고, 이는 구름이 햇빛을 더 잘 반사하게 하는데 이를 [[알브레히트 효과]](Albrecht effect)라고 한다.<ref>{{저널 인용 |author= Albrecht, B. |year=1989 |title = Aerosols, cloud microphysics, and fractional cloudiness |journal=Science |volume=245 |issue=4923 |pages =1227–1239 |doi=10.1126/science.245.4923.1227 |pmid=17747885 |bibcode=1989Sci...245.1227A}}</ref> 해양의 성층권 구름은 이 간접적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나며 대류층의 구름에는 거의 복사 효과가 없다. 이 미립자의 간접적 효과는 복사도를 큰 불확실성으로 만들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ref>IPCC, "[http://www.ipcc.ch/ipccreports/tar/wg1/pdf/TAR-05.PDF Aerosols,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s]", pp. 291–292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TAR WG1|2001}}.</ref>
 
[[그을음]]은 표면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며, 공기중으로 퍼지거나 침전물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대기의 그을음은 직접 태양 복사를 흡수하며 이는 대기를 가열하고 표면을 냉각시킨다. 많은 그을음이 고립된 지역에 나타나면 인도의 농촌처럼 지표면 온난화의 50%를 [[갈색 구름 띠]](atmospheric brown cloud)로 가리게 한다.<ref>{{저널 인용 |last=Ramanathan|first=V. |coauthors=''et al.''|year=2005 |last1=Ramanathan |first1=V. |last2=Chung |first2=C. |last3=Kim |first3=D. |last4=Bettge |first4=T. |last5=Buja |first5=L. |last6=Kiehl |first6=J.T. |last7=Washington |first7=W.M. |last8=Fu |first8=Q. |last9=Sikka|first9=D.R. |title = Atmospheric brown clouds: Impacts on South Asian climate and hydrological cycle |journal= Proc. Natl. Acad. Sci. |volume=102 |issue=15 |pages= 5326–5333 |doi=10.1073/pnas.0500656102 |bibcode=2005PNAS..102.5326R |pmc=552786 |url = http://www.pnas.org/content/102/15/5326.abstract |pmid=15749818}}</ref> 침전물, 특히 빙하 또는 북극 얼음에 침전될 경우 [[반사율]]을 낮추면서 지표면을 가열시킨다.<ref>{{웹 인용 |author= Ramanathan, V., ''et al.'' |title= Report Summary |year= 2008 |work= Atmospheric Brown Clouds: Regional Assessment Report with Focus on Asia |publisher=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rl= http://www.rrcap.unep.org/abc/impact/files/ABC_Report_Summary_Final.pdf |format= PDF |확인날짜= 2013년 4월 21일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10718201256/http://www.rrcap.unep.org/abc/impact/files/ABC_Report_Summary_Final.pdf |보존날짜= 2011년 7월 18일 |깨진링크url-status= dead }}</ref> 그을음을 포함한 미립자의 영향으로 인해, 중위도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온실 기체에 비해 특히 아시아에서 대부분이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 영향을 끼친다.<ref>{{웹 인용 |author= Ramanathan, V., ''et al.'' |title= Part III: Global and Future Implications |year= 2008 |work= Atmospheric Brown Clouds: Regional Assessment Report with Focus on Asia |publisher=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rl= http://www.rrcap.unep.org/abc/publication/Part%20III.pdf |format= PDF |확인날짜= 2013년 4월 21일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10718201515/http://www.rrcap.unep.org/abc/publication/Part%20III.pdf |보존날짜= 2011년 7월 18일 |깨진링크url-status= dead }}</ref>
 
[[파일:Solar-cycle-data.png|섬네일|alt=Refer to caption and adjacent text|1979년부터 2006년까지 위성으로 관측한 [[태양의 변화|총 태양 복사량]].]]
174번째 줄:
온실 기체와 태양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 증가된 태양 활동과 온실 기체 모두 대류권의 온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태양 활동의 증가가 [[성층권]]의 온도를 높이는 반면 온실 기체는 성층권의 온도를 낮춘다.<ref name=Hegerl-2001/> [[라디오존데]] 관측 역사 이래로(1958년) 초기 라디오존데의 기록은 매우 불확실하지만 성층권의 온도는 냉각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1979년부터 시작된 위성 관측도 성층권 냉각을 보여주고 있다.<ref name="Randel2009">{{저널 인용 |doi=10.1029/2008JD010421 | title = An update of observed stratospheric temperature trends |year=2009 |author=Randel, William J. |journal=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ume=114 |issue=D2 |pages =D02107 |last2=Shine |first2=Keith P. |last3=Austin |first3=John |last4=Barnett |first4=John |last5=Claud |first5=Chantal |last6=Gillett |first6=Nathan P. |last7=Keckhut |first7=Philippe |last8=Langematz |first8=Ulrike |last9=Lin |first9=Roger |bibcode=2009JGRD..11402107R}}</ref>
 
[[헨리크 스벤스마크]](Henrik Svensmark)에 의해 제기된 가설에 의하면, 태양의 편향된 자기 활동은 [[우주선 (물리)|우주방사선]]의 발생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구름 응결핵]] 발생에 영향을 끼침으로서 기후에 영향을 준다.<ref>{{저널 인용 |first=Nigel |last=Marsh |coauthors=Henrik, Svensmark |title=Cosmic Rays, Clouds, and Climate |journal=Space Science Reviews |volume=94 |pages=215–230 |date=November 2000 |url=http://mek.sitecore.dtu.dk/upload/institutter/space/forskning/05_afdelinger/sun-climate/full_text_publications/marsh2000(gcr-cloud-climate).pdf |format=PDF |doi=10.1023/A:1026723423896 |accessdate=2007년 4월 17일 |issue=1–2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1221605/http://mek.sitecore.dtu.dk/upload/institutter/space/forskning/05_afdelinger/sun-climate/full_text_publications/marsh2000%28gcr-cloud-climate%29.pdf |보존날짜=2014년 2월 1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다른 연구에서는 최근 수십년간 우주선과 지구 온난화 사이의 관계를 찾을 수 없다는 설명도 있다.<ref>{{저널 인용 |last=Lockwood |first=Mike |coauthors=Claus Fröhlich |title=Recent oppositely directed trends in solar climate forcings and the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journal=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volume=463 |issue=2086 |page=2447 |quote=Our results show that the observed rapid rise in global mean temperatures seen after 1985 cannot be ascribed to solar variability, whichever of the mechanisms is invoked and no matter how much the solar variation is amplified |url=http://www.pubs.royalsoc.ac.uk/media/proceedings_a/rspa20071880.pdf |doi=10.1098/rspa.2007.1880 |accessdate=2007년 7월 21일 |format=PDF |year=2007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926023811/http://www.pubs.royalsoc.ac.uk/media/proceedings_a/rspa20071880.pdf |archivedate=2007년 9월 26일 |deadurlurl-status=dead |bibcode=2007RSPSA.463.2447L }}</ref><ref>{{저널 인용 |doi=10.1088/1748-9326/3/2/024001 |title = Testing the proposed causal link between cosmic rays and cloud cover |author=T Sloan and A W Wolfendale |journal=Environ. Res. Lett. |volume=3 |issue=2 |page=024001 |year=2008 |url = http://www.iop.org/EJ/abstract/1748-9326/3/2/024001/|bibcode=2008ERL.....3d4001S |arxiv = 0803.2298 }}</ref> 구름의 양과 우주선의 영향은 100 이하의 낮은 요인으로 평가되며 보다 자세히 구름 관측 변화를 살펴보거나 현재의 기후 변화 기여도에 대해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ref>{{저널 인용 |journal=Geophysical Research Letters |author=Pierce, J.R. and P.J. Adams |year=2009 |title = Can cosmic rays affect cloud condensation nuclei by altering new particle formation rates? |volume=36 |issue=9 |pages =L09820 |doi=10.1029/2009GL037946 |bibcode=2009GeoRL..3609820P}}</ref>
 
2011년 연구에서는 태양 활동이 둔화되며 그 다음 태양주기가 지연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아직 이것은 명확하지 않다. 태양주기는 2020년 25회 주기를 돌지만, 2022년 또는 그 이상으로 지연될 수 있다. 이것은 태양이 [[마운더 극소기]]에 접어듬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태양 흑점 활동과 지구 기온 사이의 명확한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양 활동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은 온실 기체 배출이 일어날 수 있는 한랭기를 막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f>Jaggard, Victoria. [http://news.nationalgeographic.com/news/2011/06/110614-sun-hibernation-solar-cycle-sunspots-space-science/ "Sun Headed Into Hibernation, Solar Studies Predict."] ''National Geographic News'', 14 June 2011.</ref>
208번째 줄:
}}</ref>
 
예를 들어, 2007년 IPCC 보고서에는 "배출 시나리오"에서 주로 인간의 원인으로 발생한 온실 가스 배출량을 조사했다. 2011년 [[미국 눈·얼음 데이터 센터]](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와 [[미국 해양대기청]]의 공동 연구에서 영구 동토층이 용융 및 분해되면서 추가적인 온실 기체가 발생하는 경우를 계산했을 경우 심지어는 정책 입안자가 A1FI 시나리오나 A1B 시나리오에서도 급격한 온실 기체 증가가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ref name="NSDIC_permafrost_study" /> 이 팀은 심지어 인간의 온실 기체 배출량이 매우 낮은 수준일 경우에도 영구 동토층의 융해로 대기에 약 190Gt의 탄소가 방출될 것이라 예상했다. 중요한 것은, 이 팀은 다음 3가지 가정하에서 예측하였다. 첫째로, 정책 입안자가 A1FI 시나리오 대신 A1B 시나리오를 수용할 경우이다. 둘째로, 모든 탄소가 이산화탄소 대신 메탄 방식으로 방출되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72배 더욱 강한 온실 효과를 나타낸다. 셋째로 해당 모델은 추가 기체 방출로 인한 추가 온도 상승을 고려하지 않았다.<ref name="NSDIC_permafrost_study" /><ref name="CP-Permafrost">{{웹 인용 |last=Romm |first=Joe |url=http://thinkprogress.org/romm/2011/02/17/207552/nsidc-thawing-permafrost-will-turn-from-carbon-sink-to-source-in-mid-2020s-releasing-100-billion-tons-of-carbon-by-2100/ |title=NSIDC bombshell: Thawing permafrost feedback will turn Arctic from carbon sink to source in the 2020s, releasing 100&nbsp;billion tons of carbon by 2100 |publisher=ThinkProgress |date=2011년 2월 17일 |accessdate=2011년 7월 27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807191237/http://thinkprogress.org/romm/2011/02/17/207552/nsidc-thawing-permafrost-will-turn-from-carbon-sink-to-source-in-mid-2020s-releasing-100-billion-tons-of-carbon-by-2100/ |보존날짜=2011년 8월 7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이는 매우 안정적인 영구 동토층의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산업 시대 초기부터 화석 연료로부터 방출한 모든 탄소량의 절반이고<ref name="SciDaily-permafrost">{{웹 인용 |url=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1/02/110216132100.htm |title=Thawing permafrost likely will accelerate global warming, study finds |doi=10.1111/j.1600-0889.2011.00527.x |publisher=Sciencedaily.com |date= 2011년 2월 17일 |accessdate= 2011년 7월 27일}}</ref> 이것이 추가적으로 대기를 인간의 배출량을 넘어선 27~88ppm 정도의 상승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일단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는 다른 온실 기체의 영향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열 관성으로 인해 대기의 온난화가 정지하더라도 몇 년간 온실 효과는 계속되기 때문에 일단 동토층의 탄소 배출은 "막을 수 없다".<ref name="NSDIC_permafrost_study" /> 이 영구 동토층의 탄소에 관한 거대한 거래는 실제로는 메탄 대신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배출되고 있다.<ref>{{영상 인용 |title=Hunting for methane with Katey Walter Anthony |url=https://www.youtube.com/watch?v=YegdEOSQotE |publisher=Univ Alaska Fairbanks,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accessdate= 2011년 5월 31일}}</ref> IPCC의 2007년 온도 예측은 영구 동토층의 탄소 배출량 중 하나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예상되는 기후 변화의 정도를 과소평가하게 되었다.<ref name="NSDIC_permafrost_study" /><ref name="CP-Permafrost" />
 
2011년에 출판된 또 다른 연구에서는 메탄의 지구 온난화 가속화는 메탄의 배출량이 증폭된다는 의견도 있다. 연구진은 메탄 배출량을 2.5배 늘리면 메탄 혼자 지구 온난화의 효과를 25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5.2배 가속시킬 경우, 메탄의 간접적 온난화는 400% 가까이 될 것이다.<ref>{{저널 인용 |journal =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title = Strong atmospheric chemistry feedback to climate warming from Arctic methane emissions |author = Isaksen, Ivar S. A. |coauthors = Michael Gauss, Gunnar Myhre, Katey M. Walter, and Anthony and Carolyn Ruppel |date = 2011년 4월 20일 |doi = 10.1029/2010GB003845 |url = http://www.atmos.washington.edu/academics/classes/2011Q2/558/IsaksenGB2011.pdf |bibcode = 2011GBioC..25B2002I |volume = 25 |issue = 2 |확인날짜 = 2013년 5월 1일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31242/http://www.atmos.washington.edu/academics/classes/2011Q2/558/IsaksenGB2011.pdf |보존날짜 = 2016년 3월 4일 |깨진링크url-status = dead }}</ref>
 
== 기후 모델 ==
258번째 줄:
== 관찰 또는 예상된 사회적 효과 ==
{{참조|지구 온난화의 영향#사회 시스템|지구 온난화의 지역적 효과}}
기후 변화와 인간의 [[기후 변화와 산업, 사회|영향]]은 점진적 기후 변화의 영향보다는 극단적인 기후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ref>Wilbanks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7.html Chapter 7: Industry, Settlement and Society]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7.html |date=20130316135546 }},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7s7-es.html Executive Summary]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7s7-es.html |date=20130312114525 }},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2|2007}}.</ref> 기후 변화의 영향은 지금까지 작은 섬에서의 악영향을 포함하여<ref name=schreg>x Schneider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htm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s19-3-3.html Section 19.3.3: Regional vulnerabilities]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s19-3-3.html |date=20130312104158 }},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2|2007}}.</ref> 고위도 지역의 토착민 위협,<ref>Schneider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htm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s19-3-7.html Section 19.3.7: Update on ‘Reasons for Concern’]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s19-3-7.html |date=20130312103337 }},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2|2007}}.</ref> 인간의 건강에 작지만 뚜렷한 영향들을 준다.<ref name=schtab>x Schneider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html Chapter 19: Assessing Key Vulnerabilities and the Risk from Climate Change],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s19-3-1.html Table 19.1]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19s19-3-1.html |date=20130312103028 }},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2|2007}}.</ref> 21세기에 기후 변화는 해안 후퇴와 [[홍수]], 물의 감소, 건강 악화 등이 수백만명의 사람들에게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f>IPCC,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spm.html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mains5-2.html Section 5.2: Key vulnerabilities, impacts and risks – long-term perspectives]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mains5-2.html |date=20130527095151 }},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SYR|2007}}.</ref> 대부분의 경제학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해 GDP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언급한다.<ref>Yohe, ''et al.'',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20.html Chapter 20: Perspectives on Climate Change and Sustainability]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20.html |date=20130608151920 }},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20s20-6-1.html Figure 20.3]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wg2/en/ch20s20-6-1.html |date=20111108085703 }},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2|2007}}.</ref><ref>{{서적 인용 |year=2006 |contribution=6.2 What existing models calculate and include |title=6 Economic modelling of climate-change impacts |pages=147–148 |series=Stern Review Report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pre-publication edition) |publisher=HM Treasury website |url=http://www.hm-treasury.gov.uk/d/Chapter_6_Economic_modelling_of_climate-change_impacts.pdf |format=PDF |author=Stern, N. |accessdate=2011년 4월 28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02230715/http://www.hm-treasury.gov.uk/d/Chapter_6_Economic_modelling_of_climate-change_impacts.pdf |보존날짜=2013년 5월 2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 음식 안전 ===
276번째 줄:
미래의 기후 변화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기후 변화의 완화]]라고 지칭한다. IPCC는 온난화 완화를 온실 가스 배출량(GIG)를 줄이는 운동 또는 [[온실가스 흡수원]](carbon sink)을 늘림으로서 배출한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운동으로 정의했다.<ref>IPCC,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annexessglossary-j-p.html Glossary J-P] {{웨이백|url=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annexessglossary-j-p.html |date=20100501184723 }}: "Mitigation",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WG3|2007}}.</ref> 많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이 깨끗하고, 덜 오염시키고, 기술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목표하고 있다.<ref name=worldbank2010 />{{Rp|192}} 이러한 보조 기술을 이용하여 상당한 양의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배출량 감소 목표 정책,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 증가와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에너지 효율]](Efficient energy use)을 높이는 것도 포함한다. 이 연구들은 미래의 많은 배출량 감소 예측을 보여주고 있다.<ref name="autogenerated2007">IPCC,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spm.html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www.ipcc.ch/publications_and_data/ar4/syr/en/spms4.html Section 4: Adaptation and mitigation options], in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IPCC AR4 SYR|2007}}.</ref>
 
낮은 범위 내에서 지구 온난화를 제한하기 위해 IPCC가 발표한 "정책 결정자들을 위한 요약 보고서"에서<ref>{{AR4|WG1|chapter=SPM}}</ref> 전체 보고서에 설명한 큰 여러 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를 설명하며 온실 기체 배출 제한 정책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thinkprogress.org/romm/2011/05/12/208086/national-academy-america%e2%80%99s-climate-choices/ |title=National Academy calls on nation to 'substantially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tarting ASAP |first=Joe |last=Rom |work=ThinkProgress |date=2011년 5월 12일 |accessdate=2012년 2월 7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20095841/http://thinkprogress.org/romm/2011/05/12/208086/national-academy-america%e2%80%99s-climate-choices/ |보존날짜=2013년 10월 20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이 각 연도가 지나면서 배출량의 증가를 막는 것은 점점 어려워질 것이고, 원하는 온실 기체 농도를 맞추기 위해 몇 년 후에는 더욱 과감한 정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0년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8년 기록된 역사적으로 기록된 배출량 중 가장 높았다.<ref>{{웹 인용 |url= http://www.iea.org/index_info.asp?id=1959 |title= Prospect of limiting the global increase in temperature to 2&nbsp;°C is getting bleaker |author= IEA |publisher= International Energy Agency |date= 2011년 5월 30일 |accessdate= 2012년 2월 7일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20203125754/http://www.iea.org/index_info.asp?id=1959 |보존날짜= 2012년 2월 3일 |깨진링크url-status= dead }}</ref>
 
심지어,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앞으로 수년 동안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것 때문에 [[천연 가스]] 또는 [[석탄 발전소]]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해야 한다고 발표했다.<ref name="futureenergysummit">{{뉴스 인용 |last=Robinson |first=Simon |url=http://www.time.com/time/specials/packages/article/0,28804,1954176_1954175,00.html |title=How to reduce Carbon emmissions: Capture and Store It? |work=Time |date= 2010년 1월 22일 |accessdate= 2010년 8월 9일}}</ref>
291번째 줄:
=== 지구공학 ===
{{본문|지구공학}}
기후를 의도적으로 바꾸는 지구공학은 [[미국 항공우주국]]<ref>{{웹 인용|url=http://event.arc.nasa.gov/main/home/reports/SolarRadiationCP.pdf|title=Workshop on managing solar radiation|date=April 2007|publisher=NASA|accessdate=2009-05-2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531173021/http://event.arc.nasa.gov/main/home/reports/SolarRadiationCP.pdf|보존날짜=2009-05-31|깨진링크url-status=dead}}</ref> 과 [[왕립 학회]]<ref>{{보도자료 인용|title=Stop emitting CO2 or geoengineering could be our only hope |url=http://royalsociety.org/Stop-emitting-CO2-or-geoengineering-could-be-our-only-hope/ |date= 2009년 8월 28일 |publisher=The Royal Society |accessdate= 2011년 6월 14일}}</ref> 에서 지구 온난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소개되었다. 이 연구 기법 중 하나로는 [[태양 복사율 관리]](solar radiation management)와 [[이산화탄소 제거]](carbon dioxide removal) 등의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들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더 큰 규모의 방식으로 적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2014 년의 한 연구는 가장 일반적인 기후 공학 방법을 조사한 결과 비효율적이거나 잠재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급격한 기후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중단 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 온실가스 제한 ===
지구 온난화는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하여 생겨난 현상이므로 근본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제거 또는 억제하는 것을 통해 해결하려는 방법이 있다. 현재 알려진 방법은 친환경 연료 개발(바이오디젤 등)<ref>{{뉴스 인용|제목=농진청,효율높은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 개발|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09413|출판사=아시아투데이|저자=김주홍|날짜=2009-02-12|확인날짜=2009-02-14}}</ref><ref>{{뉴스 인용|제목=<nowiki>[세상을 바꾸는 첨단기술의 힘]</nowiki> 바이오 연료의 무한 진화|url=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83828|출판사=매일경제|저자=유용하|날짜=2009-02-10|확인날짜=2009-02-1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119220432/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83828|보존날짜=2012-01-19|깨진링크url-status=dead}}</ref> 이나 나무 심기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독일]]에서는 [[해조류]] 번식을 통한 지구 온난화 해결을 도모하려는 방법도 있다.<ref name="yonhap1">{{뉴스 인용|제목="바다에 철분 뿌려 지구온난화 해결"|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2471742|출판사=연합뉴스|저자=김경석|날짜=2009-01-27|확인날짜=2009-02-15}}</ref> 또, 우주상에 태양열 반사판을 띄워 태양열 막기(우주 거울)<ref name="seoul1">{{뉴스 인용|제목=‘우주거울’ 온난화 해결방안으로 추진… 윤리논쟁 점화|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331016007|출판사=서울신문|저자=안동환|날짜=2007-03-31|확인날짜=2009-02-15}}</ref>, [[이산화탄소]] 해저 매장<ref>{{뉴스 인용|제목=英, 바다 밑에 이산화탄소 묻는다|url=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read_body.jsp?ID=2009021200185|출판사=조선일보|저자=이혜운|날짜=2009-02-12|확인날짜=2009-02-15}}{{깨진 링크|url=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read_body.jsp?ID=2009021200185 }}</ref> 등 다양한 새로운 방법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생태계]] 파괴 우려<ref name="yonhap1" /><ref name="seoul1" /> 나 엄청난 비용 등 문제점이 많아 실제 보편화된 것은 거의 없다.
 
=== 국제 협약 ===
301번째 줄:
국제적인 협약을 제정함으로써 지구 온난화 가속화를 막으려는 노력이 있다. 대표적인 노력으로서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가 있다. [[2007년]]에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 열린 발리기후회의에서는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명확한 목표 설정이 없다면 세계가 해수면 상승, 빙하 해빙, 가뭄,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난민들의 이주로 곤란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국제 협약을 통한 적극적 노력을 촉구했다.<ref>{{뉴스 인용|제목=기후 협정을 위해 ‘로드맵’|url=http://gonews.freechal.com/common/result.asp?sFrstCode=012&sScndCode=009&sThrdCode=000&sCode=20071227185103450|출판사=고뉴스|저자=고뉴스TV|날짜=2007-12-27|확인날짜=2009-02-15}}{{깨진 링크|url=http://gonews.freechal.com/common/result.asp?sFrstCode=012&sScndCode=009&sThrdCode=000&sCode=20071227185103450 }}</ref> 파리협정도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 중 하나이다.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유지하고, 더 나아가 온도 상승 폭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 위한 국제적인 약속이고,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스스로 정해 국제사회에 약속하고 이 목표를 실천해야 하며, 국제사회는 그 이행에 대해서 공동으로 검증하게 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greenpeace.org/korea/news/blog/blog/60957/|제목=위기에 빠진 북극곰 살리기,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해결방안|뉴스=그린피스|언어=ko-KR|확인날짜=2018-01-02}}</ref>
 
하지만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 협약 참여에 미진한 일부 국가들을 지적하기도 한다.<ref>{{뉴스 인용|제목=<nowiki>[해외 칼럼]</nowiki> 강대국이 주도하는 기후변화회의|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415196|출판사=중앙일보|저자=카밀라 툴민|날짜=2008-12-11|확인날짜=2009-02-15}}</ref> [[미국]]이 대표적인 예이다.<ref>{{뉴스 인용|제목=<nowiki>[판]</nowiki> 거꾸로 가는 미국, 뜨거워지는 지구|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4121835121&code=990000|출판사=경향신문|저자=남재일|날짜=2007-04-12|확인날짜=2009-02-15}}</ref>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에도 [[석탄 탄광]] 개발과 급속한 산림 파괴, 산업 개발로 이산화탄소 방출량 증가율이 세계 최고에 이르고 있지만 교토 의정서 기후변화협약에 서명 하지 않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中 발전한만큼 기후대책을”… 訪中 메르켈, 원자바오에 촉구|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8271836071&code=970100|출판사=경향신문|저자=김주현|날짜=2007-08-27|확인날짜=2009-02-15}}</ref> 전문가들은 이들 국가의 입장 표명이 앞으로 열릴 유엔 환경장관 회의를 앞두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이들 국가의 참여가 '온난화를 극복하는 열쇠'<ref>{{뉴스 인용|제목=<nowiki>[지구 온난화, 지구 자정 능력 범위 벗어나]</nowiki>|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8&no=266335|출판사=연합뉴스(매일경제)|날짜=2008-04-28|확인날짜=2008-04-30|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119224412/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8&no=266335|보존날짜=2012-01-19|깨진링크url-status=dead}}</ref> 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2007년]]에는 [[반기문]] [[국제 연합]] 사무 총장이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 직접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했다.<ref>{{뉴스 인용|제목=“2~3년내 온난화대책 없으면 재앙”|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11181844031&code=970205|출판사=경향신문|저자=김유진|날짜=2007-11-18|확인날짜=2009-02-15}}</ref>
 
== 지구 온난화의 관찰 ==
325번째 줄: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51106081048/http://www.eci.ox.ac.uk/publications/downloads/boykoff04-gec.pdf
| 보존날짜 = 2015-11-06
| 깨진링크url-status = dead
}}</ref><ref name="merchants_doubt">{{서적 인용 | title=Merchants of Doubt: How a Handful of Scientists Obscured the Truth on Issues from Tobacco Smoke to Global Warming | first1=Naomi | last1=Oreskes | author1-link = Naomi Oreskes| first2=Erik | last2=Conway | publisher=Bloomsbury Press | edition=first | isbn=978-1-59691-610-4}}</ref> 보도되고 있다. 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논쟁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중요 온도 기록|지구 평균 기온]]이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지구의 점차적인 온난화가 유례 없는 현상인지, 정상적인 기후 변화 내에 있는지, 이 온도 증가가 [[최근 기후 변화의 특성|인간이 주도한 것인지 아닌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것인지 부분적인 현상인지에 관해 크게 마찰을 빚고 있어서이다. 그 외 추가적인 논쟁을 겪고 있는 주제로는 [[기후 민감도]]에 관한 추정, 추가적인 온난화 예상, 지구 온난화의 결과 예측 등도 있다.
 
과학 문헌에서는, 지구 표면 온도의 최근 수십년 간 증가 추세는 주로 온실 기체의 인위적 배출에 의해 나타났다는 것에 대해 [[기후 변화의 과학적 의견|강력한 합의]]를 보고 있다. 국가 또는 국제적인 과학계의 입장은 이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입장이 없으며,<ref name="AQAonAAPG">{{저널 인용 |author=Julie Brigham-Grette et al. |title=Petroleum Geologists' Award to Novelist Crichton Is Inappropriate |journal=[[Eos (journal)|Eos]] |volume=87 |issue=36 |quote=The AAPG stands alone among scientific societies in its denial of human-induced effects on global warming. |url=http://www.agu.org/fora/eos/pdfs/2006EO360008.pdf |month=September |year=2006 |accessdate=2007년 1월 23일 |format=PDF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211080054/http://www.agu.org/fora/eos/pdfs/2006EO360008.pdf |보존날짜=2012년 2월 11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ref name="The MIT Press">{{서적 인용 |title= Climate Change: What It Means for Us, Our Children, and Our Grandchildren |last1= DiMento |first1= Joseph F. C. |last2= Doughman |first2= Pamela M. |year= 2007 |publisher=The MIT Press |isbn= 978-0-262-54193-0 |page= 68}}</ref>(즉, 과학적인 입장은 이에 대해 완전 지지하고 있으며) 일부 단체만 이에 대해 애매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에서는 [[미국의 보수주의|보수주의자]]들이 지구 온난화의 정당성 사회 문제로 끌어들여 훼손시키는 데 동원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기후 변화 부정|기후 변화를 부정]]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혜택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현재의 해결 방안이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가 인위적인 요소가 아닌, 단순히 태양의 자연 활동에 의해 발생했다는 것을 주장하는 세력은 주로 탄소 배출량 규제 완화로 인해 큰 이윤을 볼 수 있는 기업들에 의해 지원을 받는 몇몇 소수 유사과학자들의 주장에 불과하며, 2000년대에 들어서 이런 주장은 사실상 신빙성이 없는 주장으로 인식되고 있다.<ref>Aaron M. McCright and Riley E. Dunlap, "Challenging Global Warming as a Social Problem: An Analysis of the Conservative Movement's Counter-Claims," ''Social Problems,'' November 2000, Vol. 47 Issue 4, pp 499–522 [http://www.jstor.org/pss/3097132 in JSTOR]</ref>
381번째 줄:
* {{저널 인용 |last=Ammann |first=Caspar |coauthors=''et al.'' |year=2007 | title = Solar influence on climate during the past millennium: Results from transient simulations with the NCAR Climate Simulation Model |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ume=104 |issue=10 | pages =3713–3718 |url = http://www.pnas.org/cgi/reprint/104/10/3713.pdf |format=PDF |quote=Simulations with only natural forcing components included yield an early 20th century peak warming of ≈0.2&nbsp;°C (≈1950 AD), which is reduced to about half by the end of the century because of increased volcanism |doi=10.1073/pnas.0605064103 |pmid=17360418 |pmc=1810336 |bibcode=2007PNAS..104.3713A}}
* {{저널 인용 |last=Barnett |first=Tim P. |coauthors=Adam, J. C.; Lettenmaier, D. P. |date = 2005년 11월 17일 |title = Potential impacts of a warming climate on water availability in snow-dominated regions |journal=Nature |volume=438 |issue=7066 |pages =303–309 |url =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38/n7066/abs/nature04141.html |doi=10.1038/nature04141 |format=abstract |pmid=16292301 |last1=Barnett |first1=TP |last2=Adam |first2=JC |last3=Lettenmaier |first3=DP |bibcode=2005Natur.438..303B}}
* {{저널 인용 |last=Behrenfeld |first=Michael J. |coauthors=''et al.'' |date=2006년 12월 7일 |title=Climate-driven trends in contemporary ocean productivity |journal=Nature |volume=444 |issue=7120 |pages=752–755 |url=http://www.icess.ucsb.edu/~davey/MyPapers/Behrenfeld_etal_2006_Nature.pdf |format=PDF |doi=10.1038/nature05317 |pmid=17151666 |last1=Behrenfeld |first1=MJ |last2=O'malley |first2=RT |last3=Siegel |first3=DA |last4=Mcclain |first4=CR |last5=Sarmiento |first5=JL |last6=Feldman |first6=GC |last7=Milligan |first7=AJ |last8=Falkowski |first8=PG |last9=Letelier |first9=RM |bibcode=2006Natur.444..752B |확인날짜=2013년 2월 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5110153/http://www.icess.ucsb.edu/~davey/MyPapers/Behrenfeld_etal_2006_Nature.pdf |보존날짜=2016년 4월 15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
* {{저널 인용 |first=Onelack |last=Choi |coauthors=Fisher, Ann |date = May 2005 |title = The Impact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on Severe Weather Catastrophe Losses: Mid-Atlantic Region (MAR) and the U.S |journal=Climate Change |volume=58 |issue=1–2 |pages =149–170 |doi=10.1023/A:1023459216609 |url =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m6308777613702q0/}}
* {{서적 인용 |last=Dyurgerov |first=Mark B. |coauthors=Meier, Mark F. |year=2005 | title = Glaciers and the Changing Earth System: a 2004 Snapshot |publisher=Institute of Arctic and Alpine Research Occasional Paper #58 |url = http://instaar.colorado.edu/other/download/OP58_dyurgerov_meier.pdf |format=PDF |issn=0069-6145}}
* {{저널 인용 |last=Emanuel |first=Kerry A. |date = 2005년 8월 4일 |title = Increasing destructiveness of tropical cyclones over the past 30 years |journal=Nature |volume=436 |issue=7051 |pages =686–688 |url=ftp://texmex.mit.edu/pub/emanuel/PAPERS/NATURE03906.pdf|format=PDF|doi=10.1038/nature03906 |pmid=16056221 |last1=Emanuel |first1=K |bibcode=2005Natur.436..686E}}
* {{저널 인용 |last=Hansen |first=James |authorlink=James E. Hansen |coauthors=''et al.'' |date=2005년 6월 3일 |title=Earth's Energy Imbalance: Confirmation and Implications |journal=Science |volume=308 |issue=5727 |pages=1431–1435 |url=http://pangea.stanford.edu/research/Oceans/GES205/Hansen_Science_Earth's%20Energy%20Balance.pdf |format=PDF |doi=10.1126/science.1110252 |pmid=15860591 |bibcode=2005Sci...308.1431H |확인날짜=2013년 2월 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930131613/http://pangea.stanford.edu/research/Oceans/GES205/Hansen_Science_Earth's%20Energy%20Balance.pdf |보존날짜=2009년 9월 30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
* {{저널 인용 |last=Hinrichs |first=Kai-Uwe |coauthors=Hmelo, Laura R.; Sylva, Sean P. |date = 2003년 2월 21일 |title = Molecular Fossil Record of Elevated Methane Levels in Late Pleistocene Coastal Waters |journal=Science |volume=299 |issue=5610 |pages =1214–1217 |doi=10.1126/science.1079601 |pmid=12595688 |bibcode=2003Sci...299.1214H}}
* {{뉴스 인용 |last=Hirsch |first=Tim |publisher=BBC |url = http://news.bbc.co.uk/2/hi/science/nature/4604332.stm |title = Plants revealed as methane source |date = 2006년 1월 11일}}
* {{저널 인용 |last=Hoyt |first=Douglas V. |coauthors=Schatten, Kenneth H. |year=1993–11 |title = A discussion of plausible solar irradiance variations, 1700–1992 |journal=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ume=98 |issue=A11 |pages =18,895–18,906 |bibcode = 1993JGR....9818895H |doi=10.1029/93JA01944}}
* {{저널 인용 |last=Karnaukhov |first=A. V. |year=2001 |title = Role of the Biosphere in the Formation of the Earth's Climate: The Greenhouse Catastrophe |journal=Biophysics |volume=46 |issue=6 |url = http://avturchin.narod.ru/Green.pdf |format=PDF}}
* {{서적 인용 |last=Kenneth |first=James P. |coauthors=''et al.'' |date=2003년 2월 14일 |title=Methane Hydrates in Quaternary Climate Change: The Clathrate Gun Hypothesis |publisher=American Geophysical Union |url=https://www.agu.org/cgi-bin/agubooks?book=ASSP0542960 |확인날짜=2013년 2월 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606032432/https://www.agu.org/cgi-bin/agubooks?book=ASSP0542960 |보존날짜=2011년 6월 6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
* {{뉴스 인용 |last=Keppler |first=Frank |coauthors=''et al.'' |title = Global Warming&nbsp;– The Blame Is not with the Plants |url = http://www.mpg.de/english/illustrationsDocumentation/documentation/pressReleases/2006/pressRelease200601131/index.html |publisher=Max Planck Society |date = 2006년 1월 18일}}
* {{저널 인용 |title = The effect of increasing solar activity on the Sun's total and open magnetic flux during multiple cycles: Implications for solar forcing of climate |last=Lean |first=Judith L. |coauthors=Wang, Y.M.; Sheeley, N.R. |date = 2002–12 |journal=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ume=29 |issue=24 |bibcode = 2002GeoRL..29x..77L |doi=10.1029/2002GL015880 |page = 2224 |format=abstract}}
* {{서적 인용 |last=Lerner |first=K. Lee |coauthors=Lerner, K. Lee; Wilmoth, Brenda |title = Environmental issues: essential primary sources |publisher=Thomson Gale |date = 2006년 7월 26일 |isbn = 1-4144-0625-8}}
* {{서적 인용 |last=McKibben |first=Bill |title = ''[http://www.orbooks.com/our-books/gwr/ The Global Warming Reader]'' |publisher=OR Books |year = 2011 |isbn = 978-1-935928-36-2}}
* {{저널 인용 |last=Muscheler, Raimund |coauthors=''et al.'' |date=2005년 7월 28일 |title=Climate: How unusual is today's solar activity? |journal=Nature |volume=436 |issue=7012 |pages=1084–1087 |url=http://www.cgd.ucar.edu/ccr/raimund/publications/Muscheler_et_al_Nature2005.pdf |format=PDF |doi=10.1038/nature04045 |pmid=16049429 |last1=Muscheler |first1=R |last2=Joos |first2=F |last3=Müller |first3=SA |last4=Snowball |first4=I |bibcode=2005Natur.436E...3M |확인날짜=2013년 2월 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60108180530/http://www.cgd.ucar.edu/ccr/raimund/publications/Muscheler_et_al_Nature2005.pdf |보존날짜=2006년 1월 8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
* {{저널 인용 |last=Oerlemans |first=J. |date = 2005년 4월 29일 |title = Extracting a Climate Signal from 169 Glacier Records |journal=Science |volume=308 |issue=5722 |pages =675–677 |url = http://www.cosis.net/abstracts/EGU05/04572/EGU05-J-04572.pdf |format=PDF |doi=10.1126/science.1107046 |pmid=15746388 |bibcode=2005Sci...308..675O}}
* {{저널 인용 |last=Purse |first=Bethan V. |coauthors=''et al.'' |title = Climate change and the recent emergence of bluetongue in Europe |journal=Nature Reviews Microbiology |volume=3 |issue=2 |pages =171–181 |date=February 2005 |doi=10.1038/nrmicro1090 |url = http://www.nature.com/nrmicro/journal/v3/n2/abs/nrmicro1090_fs.html |format=abstract |pmid=15685226 |last1=Purse |first1=BV |last2=Mellor |first2=PS |last3=Rogers |first3=DJ |last4=Samuel |first4=AR |last5=Mertens |first5=PP |last6=Baylis |first6=M}}
* {{뉴스 인용 |last=Revkin |first=Andrew C |date = 2005년 11월 5일 |title = Rise in Gases Unmatched by a History in Ancient Ice |work=The New York Times |url = http://www.nytimes.com/2005/11/25/science/earth/25core.html?ei=5090&en=d5078e33050b2b0c&ex=1290574800&adxnnl=1&partner=rssuserland&emc=rss}}
* {{웹 인용 |title = Joint science academies' statement: Glob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author=Royal Society |url = http://royalsociety.org/Joint-science-academies-statement-Global-response-to-climate-change/ |accessdate= 2009년 4월 19일 |year=2005}}
* {{서적 인용 |last=Ruddiman |first=William F. |authorlink=William Ruddiman |date=2005년 12월 15일 |title=Earth's Climate Past and Future |location=New York |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0-7167-3741-8 |url=http://www.whfreeman.com/ruddiman/ |확인날짜=2013년 2월 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60108013153/http://www.whfreeman.com/ruddiman/ |보존날짜=2006년 1월 8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
* {{서적 인용 |last=Ruddiman |first=William F. |date = 2005년 8월 1일 |title = Plows, Plagues, and Petroleum: How Humans Took Control of Climate |location=New Jersey |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 0-691-12164-8}}
* {{저널 인용 |last=Solanki |first=Sami K. |authorlink=Sami Solanki |coauthors=''et al.'' |date = 2004년 10월 23일 |title = Unusual activity of the Sun during recent decades compared to the previous 11,000 years |journal=Nature |volume=431 |pages =1084–1087 |url = http://cc.oulu.fi/%7Eusoskin/personal/nature02995.pdf |format=PDF |doi=10.1038/nature02995 |pmid=15510145 |last1=Solanki |first1=SK |last2=Usoskin |first2=IG |last3=Kromer |first3=B |last4=Schüssler |first4=M |last5=Beer |first5=J |issue=7012 |bibcode=2004Natur.431.1084S}}
407번째 줄:
* {{저널 인용 |last=Svensmark |first=Henrik |coauthors=''et al.'' |date = 2007년 2월 8일 |title =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role of ions in particle nucleation under atmospheric conditions |journal=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volume=463 |issue=2078 |pages =385–396 |publisher=FirstCite Early Online Publishing |doi=10.1098/rspa.2006.1773 |bibcode=2007RSPSA.463..385S}}''(online version requires registration)''
* {{저널 인용 |last=Walter |first=K. M. |coauthors=''et al.'' |date = 2006년 9월 7일 |title = Methane bubbling from Siberian thaw lakes as a positive feedback to climate warming |journal=Nature |volume=443 |issue=7107 |pages =71–75 |doi=10.1038/nature05040 |pmid=16957728 |last1=Walter |first1=KM |last2=Zimov |first2=SA |last3=Chanton |first3=JP |last4=Verby la|first4=D |last5=Chapin Fs |first5=3rd |bibcode=2006Natur.443...71W}}
* {{저널 인용 |last=Wang |first=Y.-M. |coauthors=Lean, J.L.; Sheeley, N.R. |date=2005년 5월 20일 |title=Modeling the sun's magnetic field and irradiance since 1713 |journal=Astrophysical Journal |volume=625 |issue=1 |pages=522–538 |url=http://climatesci.colorado.edu/publications/pdf/Wang_2005.pdf |format=PDF |doi=10.1086/429689 |bibcode=2005ApJ...625..522W |확인날짜=2013년 2월 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614025511/http://climatesci.colorado.edu/publications/pdf/Wang_2005.pdf |보존날짜=2007년 6월 14일 |깨진링크url-status=dead }}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