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음 법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위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15세기에는 한자의 원음이 ㄹ이어도 사람들이 ㄹ음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두에서 'ㄹ'음과 'ㄴ'음이 변별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8세기 후반에 와서는 어두에 ㄴ이 오는 단어가 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앞에 위치할때 ('ㅏ', 'ㅓ', 'ㅗ', 'ㅜ', 'ㅔ', 'ㅐ', 'ㅒ', 'ㅘ', 'ㅝ', 'ㅙ', 'ㅞ'는 아님) ㅇ으로 착각하여 표기한 예도 발견이 되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 님자→임쟈(경신록언석, 1796년) 1개가 있으며 20세기 초반인 일제 강점기때부터는 많이 등장한게 된다. 일제 강점기 시대인 1920년에 집필된 조선어사전을 보면 녀름(한영자전, 1890)→여름(조선어사전, 1920), 녑구레(한불자전, 1880)→엽구리(조선어사전, 1920), 님금(한영자전, 1890)→임금(조선어사전, 1920), 닙(葉(한불자전, 1880)→입(조선어사전, 1920)(葉), 니(한영자전, 1890)→니/이(齒)(조선어사전, 1920) 니마(한영자전, 1890)→니마/이마(조선어사전, 1920), 니야기(한영사전, 1890)→이야기/니야기(조선어사전, 1920), 닐곱(한영자전, 1890)(七)→ 일곱/닐곱(조선어사전, 1920), 닐흔/일흔(한불자전, 1880)→일흔/닐흔(조선어사전, 1920), 념통(한영자전, 1890)→염통/념통(조선어사전, 1920), 닙다(한불자전, 1880)→입다/닙다(조선어사전, 1920), 닛다(한불자전, 1880)→잇다/닛다(조선어사전, 1920) 등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두에 ㄴ이 오던 단어가 '여름'이나 '엽구리'의 예처럼 완전히 ㅇ으로 표기법이 바뀌어 있거나 ㄴ/ㅇ의 2가지 방식으로 표시되는 등 표기법이 획일화 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ref>조규태(1999)</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