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복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
183.101.246.8(토론)의 25416604판 편집을 되돌림
23번째 줄:
18세기에 [[린네]]는 개복치의 학명을 ‘Mola mola’라고 지었는데 이는 [[라틴어]]로 맷돌을 뜻한다.<ref name="개복치"/> 한국에서는 '''안진복''', '''골복짱''', '''깨복짱'''이라고도 한다. 복어목의 한 종으로서, 이들과 많은 점을 공유한다. 한때 [[복어속]]에 속했으나, 이제는 두 가지 종이 속하는 개복치속으로 분류된다. 유사한 이름의 어류 중에 [[붉평치]](<small>학명</small>: ''Lampris guttatus'')가 있는데 실제 개복치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개복치는 [[경골어류]] 중에서는 몸집과 뼈대가 가장 큰 물고기이다. 기록으로는 몸무게 2.2톤 이상에 몸길이는 3.3미터가 넘는 것도 있었다. 또한 알을 가장 많이 낳는 어류이기도 한데 한 번에 3억 개가 넘는 알을 낳는다. 그러나 3억개가 넘는 알들 중에 성체가 되는 개체가 한두 마리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생존률이 미미하다. 치어는 외관상으로 작은 복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성어와는 매우 다르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개복치]], [[건과류]], [[해조류]]를 먹지만 특히 [[해파리]]가 주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들 대부분은 영양가가 낮기 때문에 많은 양을 먹어 치워야 한다..
 
다 자란 개복치는 [[오징어]], [[범고래]], [[상어]] 등을 제외하면 천적이 거의 없다. 못 먹는 것으로 알려진 지역이 많으나 [[한국]], [[타이완]], [[일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개복치가 비닐 같은 표류물 때문에 죽거나, 배와 부딪혀서 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