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잔글 118.218.9.102(토론)의 편집을 준민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8번째 줄:
|국어=s(초성, 모음 앞 종성)<br>t(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어두=[[무성 치경 마찰음]]{{IPA|[ s⁽ʰ⁾ ]}}[[파일:Voiceless_alveolar_sibilant.ogg|150px]][[무성 치경구개 마찰음]]{{IPA|[ ɕ ]}}
|어두발음=Voiceless_alveolo-palatal_sibilant.ogg
|어중=[[무성 치경 마찰음]]{{IPA|[ s⁽ʰ⁾ ]}}[[파일:Voiceless_alveolar_sibilant.ogg|150px]][[무성 치경구개 마찰음]]{{IPA|[ ɕ ]}}
|어중발음=Voiceless_alveolo-palatal_sibilant.ogg
|어말=치경 불파음{{IPA|[ t ̚ ]}}
|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경음]]
|획순=ㅅ_(siot)_stroke_order.png
}}
 
'''ㅅ'''({{표준어|시옷}}, {{문화어|시읏}})은 [[한글]]의 [[자음]] 중 일곱 번째 글자이다.
 
초성에서 쓰이는 ㅅ은 소릿값이 {{IPA|[ s⁽ʰ⁾ ]}}이지만, 종성에서 쓰이는 ㅅ은 소릿값이 종성 [[ㄷ]]과 같은 {{IPA|[ t ̚ ]}}이다. 다른 [[평음]]과는 달리 단어 중간에서 [[유성음]]이 되지 않는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ㅅ은 [[치음 (음운학)|잇소리]]를 나타내며, [[이 (몸)|이]]의 모습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IPA|[ s ̚ ]}}으로 발음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표준중세23">{{서적 인용 |저자=고영근 |날짜=2010 |제목=표준 중세국어문법론 |판=제3판 |위치=서울 |출판사=집문당 |쪽=23 |isbn=9788930314787 }}</ref>
 
== 코드값 ==
{{유니코드 닿소리|
| 닿소리=ㅅ | 닿소리 코드=U+3137 | 닿소리 HTML=&amp;#12599;
| 첫소리=ᄉ | 첫소리 코드=U+1109 | 첫소리 HTML=&amp;#4361;
| 끝소리=ᆺ | 끝소리 코드=U+11BA | 끝소리 HTML=&amp;#4538;
| 한양첫= | 한양첫 코드=U+F7C2 | 한양첫 HTML=&amp;#63426;
| 한양끝= | 한양끝 코드=U+F8C6 | 한양끝 HTML=&amp;#63686;
| 반각=ᄉ | 반각 코드=U+FFB5 | 반각 HTML=&amp;#65461;
}}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