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 (위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태그: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45번째 줄:
 
== 제원 ==
*제원
* '''기능'''
**총괄 및 주관 연구기관 : KARI, KORDI, KMA, ETRI
** 기상 관측 기능: 평상시 15분 간격으로 기상 정보 획득가능하며, 비상시 특별관측으로 최소 8분간격의 기상정보 제공이 가능
**해외협력기관 : EADS 아스트리움, ITT 코퍼레이션
** 해양 관측 기능: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이며 관측대상지역은 한반도 주변 바다의 가로·세로 2500km 영역으로서 낮기간 동안 1시간 간격 관측 수행
**임무 유형 : 기상 위성, 해양 위성, 통신 위성
**통신 서비스 기능 : 3DTV, UHDTV 등 차세대 위성 서비스 기반을 마련해, 국내최초 실험위성으로서 산‧학‧연의 위성통신 연구개발, 관련제품 상용화 및 서비스 활성화 기반 등으로 활용
**발사일 : 2010년 6월 26일(현지 시각)
**총괄 및 주관연구 기관 KARI, KORDI, KMA, ETRI 해외협력기관 EADS 아스트리움, ITT 코퍼레이션 임무 유형 기상 위성, 해양 위성, 통신 위성 발사일 2010년 6월 26일(현지 시각) 발사체 아리안 5호 발사 장소 기아나 우주 센터 임무 기간 7년[1] 중량 2.5톤 전장 2.2m(발사시), 8.7m(태양전지판 전개후) 전폭 2.8m(발사시), 5.3m(안테나 전개후) 전고 3.7m 궤도고도 정지궤도 35,857km 경도 동경 128.2도 주기 24시간 해상도 해양탑재체 - 500m, 기상탑재체 – 가시광선 1km, 적외선 4km
**발사체 : 아리안 5호
**발사 장소 : 기아나 우주 센터
**임무 기간 : 7년
**중량 : 2.5톤
**전장 : 2.2m(발사시), 8.7m(태양전지판 전개후)
**전폭 : 2.8m(발사시), 5.3m(안테나 전개후)
**전고 : 3.7m
**궤도고도 정지궤도 : 35,857km
**경도 : 동경 128.2도
**주기 : 24시간
**해상도 : 해양탑재체 - 500m, 기상탑재체 – 가시광선 1km, 적외선 4km
** 기상 관측 기능: 평상시 15분 간격으로 기상 정보 획득가능하며, 비상시 특별관측으로 최소 8분간격의 기상정보 제공이 가능
** 해양 관측 기능: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이며 관측대상지역은 한반도 주변 바다의 가로·세로 2500km 영역으로서 낮기간 동안 1시간 간격 관측 수행
**통신 서비스 기능 : 3DTV, UHDTV 등 차세대 위성 서비스 기반을 마련해, 국내최초 실험위성으로서 산‧학‧연의 위성통신 연구개발, 관련제품 상용화 및 서비스 활성화 기반 등으로 활용
 
== 특징 및 의의 ==
천리안위성 1호는 대한민국이 개발한 최초의 정지궤도위성으로서 해외업체와의 공동개발을 통하여 국내의 저궤도위성 개발 기술을 정지궤도위성 개발 기술 수준으로 향상시켰으며 후속위성인 천리안위성 2호를 국내 주도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기상 관측에 있어서 이전까지는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1R과 미국의 기상위성으로부터 위성 영상 이미지를 얻었으나, 천리안위성 1호가 운영되면서 독자적인 위성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급변하는 기상정보를 반영한 일기예보를 제공해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기상자료 처리시스템(CMDPS)은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16] 또한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 독자기상위성 보유국으로서 다른 국가들에 기상자료를 제공하며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게 되었다. 정지궤도에서의 해양관측은 천리안위성 1호 해양탑재체가 세계 최초로서, 동일 지역을 빈번하게 관측할 수 있는 정지궤도의 장점을 활용하여 한반도 연안의 해양환경 감시 역할과 수산자원 정보 생산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해양자료 처리시스템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개발하였다. 천리안위성 1호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주도로 국산화 개발한 통신 중계기가 탑재되어, 대한민국이 세계 10번째 정지궤도 통신탑재체 자체개발 국가가 되었다. 통신탑재체를 이용한 다양한 시험방송으로 고화질 영상전송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공공재난통신 기능과 난시청 해소 방법 검증에도 활용되고 있다. 통신·기상·해양 관측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 전 세계적으로 선점 경쟁이 치열한 정지궤도 자원에 대하여, 우리나라는 천리안위성 1호를 통해 동경 128.2도 위치를 확보함으로써 우주자원을 확대할 수 있었다.
이전까지는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1R]]과 [[미국]]의 기상위성으로부터 위성 영상 이미지를 얻었으나, 천리안이 운영되면 독자적인 위성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기상관측 센서는 미국의 ITT사에서 주문 제작하였고,<ref name="대덕넷1">우주 셋방살이 '탈출 프로젝트' 가동 [[대덕넷]] 2005-09-20</ref> 기상자료 처리시스템(CMDPS)은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ref name="국제신문1">2008년 통신해양기상위성 쏜다 [[국제신문]] 2005-04-22</ref>
 
<br />
천리안에는 설계, 제작, 시험 등 전 과정을 순수 대한민국 국산 기술로 개발한 통신 중계기가 처음으로 탑재되어,<ref>(사보마당)항우연 통신해양기상위성 사업단은? [[대덕넷]] 2006-07-26</ref> 대한민국은 세계 10번째 정지궤도 통신위성의 자체개발 국가가 되었다. 통신 탑재체 및 관제시스템은 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주관하여 개발했다.<ref name="국제신문1" /> 또한 천리안 위성은 위성통신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Ku 밴드]]가 포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Ka 밴드]]의 지원을 포함하였다.<ref name="대덕넷1" /> Ka-Band는 3DTV나 UHDTV와 같은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에 유리하지만,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다.
 
해양관측 센서는 [[EADS 아스트리움]]사와 공동으로 제작하였고, 해양자료 처리시스템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개발하였다.<ref name="국제신문1" />
 
== 충돌 위험 ==
러시아는정지궤도는 천리안의한정된 자원이어서 궤도 동경위치 128.2도의 정지궤도가사용 러시아주파수는 소유라고정해진 주장했다.절차를 하지만,거쳐 정지궤도는발사전에 어느국제기구인 특정국가가ITU에 소유권을등록되어야 주장할한다. 천리안위성 있는1호의 자원이궤도 아니며, 러시아가위치인 동경 128.2도에2도는 정지궤도위성이이러한 없으므로절차를 한국은거쳐서 이를ITU에 무시하고정식 발사했다등록되었다. 2011년 2월 [[NORAD]]에NORAD에 등록되지 않은 러시아 군용 통신 위성 [[라두가 1-7]]이7이 궤도를 변경해 천리안 위성을위성에 위협했다.근접하게 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천리안 위성은 충돌을 피하기 위해 궤도를일시적으로 변경했다.궤도 위성은위치를 잦은변경하였다가 궤도를원위치로 변경하면 내부 탑재 연료가 일찍 소모되어 위성 수명이 짧아진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52&aid=0000343741</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복귀하였다.nhn?mode=LSD&mid=sec&sid1=105&oid=022&aid=0002239189</ref>
 
==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