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약간 고침
태그: m 모바일 웹
4번째 줄:
한자 玄이란 기본적으로 "어둡다"는 뜻이지만, 더 나아가 "애매하다, 알 수 없다, 미스터리, 신비주의"라는 뜻이기도 하며, 《도덕경》 제1장에 나오는 말이다. 정통 유교가 수기치인, 경세치국의 학문으로써 개인의 인간성을 수양하고 또한 세상을 평안케 하는 형이하학적인 정치철학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 비하여, 현학은 상술한 玄의 의미와 같이 밀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가치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의 난세 와중에 국가의 권위가 떨어지고 [[아노미]] 상태가 펼쳐지자 현학자들 및 현학의 영향을 받은 자들은 개인의 보신과 영달에 힘을 쏟으며 자연을 즐기고 미신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며 현학은 [[청담]]으로 대표되는 신비주의, 과시주의, 허무주의로 변질되었다.
 
알맹이는 없으면서 장황하게 허세만 부리는 말과 글을 가리키는 "현학적"이라는 말이 여기서 유래했다유래한 것이다.1
 
== 대표적인 현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