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9번째 줄:
{{본문|신라의 삼국 통일|나당 전쟁}}
 
[[676년]] [[신라]]가 한반도에서 [[고구려]]와 [[백제]]를 통합하고정복하고 [[당나라]]를 격퇴한 것을 말한다.
 
[[고구려]]가 [[수나라]]와 [[당나라]]의 침략을 막아내는 동안 신라에서는 [[신라 태종무열왕|김춘추]]가 [[김유신]]과 제휴하여 [[권력]]을 장악한 후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이어 [[고구려]]와 [[백제]]에 대항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으나, 고구려의 반격을 우려하여 백제가 침공해 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었다. 이에 고구려와의 연합을 꾀했으나 실패하였고, [[648년]]([[진덕여왕]] 2년)에 신라와 당나라는 양국이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에 [[대동강]]을 양국의 경계로 할 것을 합의하고 군사동맹을 맺었다.
85번째 줄:
=== 통일신라의 발전: 왕권의 강화와 제도의 정비 ===
[[파일:9주 5소경.png|섬네일|왼쪽|250px|9주 5소경]]
[[삼국 통일]] 이후 신라는 영토 확장과 함께 인구가 크게 늘어났다. 오랜 전쟁이 끝나고 대외 관계가 안정되어 생산력이 증대하였다. 이 무렵, 신라는 중요한 정치적 변화가 있었는데 무열왕[[태종무열왕]] 이후에 왕권이 강화되었다는 것이다. 태종 무열왕은태종무열왕은 최초의 진골 출신의 왕으로출신으로 전쟁을 치르는 과정에서 큰 성과를 올려 자연스럽게 왕권을 강화하였다. 아울러 이때부터 태종 무열왕의태종무열왕의 직계 자손만이 왕위를 세습하였다계승하였다.
 
[[신문왕]] 때에는 김흠돌의[[김흠돌]]의 모역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들에 대한 숙청을 가하였다. 이 후이후, 왕명을 받들고 기밀 사무를 관장하는 시중의 기능을 강화하고, [[화백|화백회의]]를 주도하여 귀족 세력의 이익을 대변하던 상대등의[[상대등]]의 세력을 억제하였으며, 녹읍을 폐지하고 수조권만을 인정한 관료전(官僚田)이 지급하는 등 신문왕은 진골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이 전제화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또한 5묘제를 설치하여, 태종무열왕계의 정통성을 강화하였다.<ref><한국의 전통예술> ( 한국문화재 보호재단 편집부 저 ) 304p</ref> 이 후 685년에 사지(舍知)를 설치하여 영(令)·경(卿)·대사(大舍)·사지(舍知)·사(史)의 5단계 관직제도를 완성하였으며, 같은 해에 지방제도인 9주 5소경제를 확립하였다.
 
===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
8세기 후반 신라에서는신라는 국가부가 기강이크게 해이해지면서축적되면서 중앙 귀족들 간의 권력 투쟁이 치열해지고,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지방에서는 군사력과 경제력, 새로운 사상을 갖춘 호족 세력이 성장하였다.
 
진골 귀족들은 녹읍제를 다시 부활시키는 등 경제 기반을 확대하여 사병을 거느리고 자신들의 세력 확장을 위해 권력 투쟁을 벌였다. 혜공왕이신라의 중흥을 이끌었던 [[혜공왕]]이 죽고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으로[[선덕왕]]으로 즉위하면서 진골 귀족들 사이에는 힘만 있으면 누구나 군주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널리 퍼졌다. 이에 경제력과 군사력을 확보한 귀족들은 왕위 쟁탈전을 벌였다. 왕권이 약화되고 귀족 연합적인 정치가 운영되었으며, 시중보다 상대등의 권력이 더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녹읍을 토대로 한 귀족들의 지배가 유지되는 한편, 대토지 소유가 확대되었고, 농민들의 부담은 가중되었다. 또한 자연 재해가 잇따르고, 왕족과 귀족의 사치와 향락으로 국가 재정이 바닥나면서 백성들에 대한 강압적인 수취가 뒤따르면서 살기가 어려워진 백성들은 토지를 잃고 노비가 되거나 도적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중앙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지방에서 반란이 잦아지게 되었다.
 
9세기 중엽의 [[문성왕]](文聖王) 이후 중앙 귀족은 지방 세력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왕위 쟁탈을 위요(圍繞)한 정쟁(政爭)을 식히고 점차 타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골품제로[[골품제]]로 중앙의 정치 무대에 참여할 수 없었던 지방 세력은 중요한 활동 무대를 해상무역(海上貿易)에서 찾게 되었다. 이리하여 공적인 조공(朝貢)의 형식으로 행해지던 대외무역은 점차 민간무역에서 주도하였다. 이들은 당뿐만 아니라 일본과도 활발히 교역했다. 그러나 당과의 무역이 가장 성하여서, 신라인의 왕래가 빈번한 [[산둥반도]](山東半島)나 [[장쑤성]](江蘇省) 같은 곳에는 [[신라방]](新羅坊)이 생기고, 이를 관할하기 위한 [[신라소]](新羅所)라는 행정 기관이 설치되었다. 또 거기에는 [[신라원]](新羅院)이라는 사원이 세워졌는데, 장보고가 문등현 적산촌(文登縣赤山村)에 세운 법화원(法花院)은 가장 유명한 것이었다.
 
지방 세력가들의 민간 무역이 성행하고, 당의 지방통제권이 약화되면서 해적(海賊)의 출몰이 잦았다. 이는 성행하는 해상무역에 큰 타격이 되었는데, 이러한 배경 속에 해상의 군진(軍鎭)이 설치되었다. 신라는 본래 변경의 수비를 위하여 육지에 설치하던 군진(軍鎭)을 해적들의 활동이 심한 해안의 요지에 설치하여 이를 방비하였다. [[청해진]](淸海鎭 : 완도)·[[당성진]](唐城鎭 : 남양)·[[혈구진]](穴口鎭 : 강화) 등이 그것이며, 그 중 [[흥덕왕]] 3년(828년) [[장보고]](張保皐)가 설치한 청해진이 가장 대표적인 것이었다. 장보고는 해적 출몰의 방비는 물론 국제 무역을 하여 황해의 왕자가 되었고, 다시 중앙의 정치에도 관여하였다. 장보고의 경우와 유사하게 지방에서 일정한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권을 대를 이어가며 행사하는 세력가들이 이 시기에는 수없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들은 보통 성을 쌓고 스스로 성주(城主)라고 자처하였다.
 
9세기 이후에 나타난 신라 사회의 이러한 커다란 변화는 상업 발달에 따른 대상인(大商人)의 대두와 대토지 소유의 확대로 점차 구체화되었다. 중앙 집권 체제의 약화에 따라 지방의 토호와 귀족들은 점탈 또는 매매의 방법으로 농장을 확대하여 대지주로 성장하였다. 또 신라 지방 행정의 말단인 촌락의 인민을 통제하던 촌주(村主)도 역시 토지와 인민을 다스리며 세력을 확장해 갔다. 약화된 국가 권력은 이들 지방 세력을 규제할 수 없었다. 한편 국가의 비호 밑에 발달한 사원도 면세(免稅) 특권을 가지고 토지를 겸병(兼倂), 농장을 확대해 갔다.
 
한편, 대학자였던 고운 [[최치원]]을 비롯하여 당나라로 유학을 갔다가 귀국한 6두품 출신의 유학생들과 선종 승려들은 신라의 골품제 사회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정치 이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도 진골 귀족들에 의하여 자신들의 뜻을 펼 수 없게 되자 은거하거나 지방의 호족 세력과 연계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하였다.
 
=== 후삼국의 성립 ===
110번째 줄:
 
=== 신라에서 고려로 ===
[[후고구려]]의호족 새로운출신이자 지도자가신라의 장군이었던 [[고려 태조]]는 신라에[[후고구려]]의 새로운 지도자가 된 대하여후, 적극적인적극적으로 우호친신라 정책을 내세웠다펼쳤다. 그의 신라에 대한 우호 정책은 신라인들을 회유하는 데 유용하였다. 실제로 태조는 [[후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고려군을 파견하여 신라군을 도와 후백제군과 같이 맞서 싸움으로써 신라인들의 신망을 얻었다. 그 결과 [[마의태자]] 등의 일부 반대에도 불구하고 [[경순왕]]은 신라의 백성들을 더 이상 희생시키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신라를 [[고려]]에 귀순시켰다. 고려 태조는 경순왕을 태자보다도 더 극진하게 예우하며 수도 [[서라벌]](徐羅伐)을 [[경주]](慶州)로 개칭하고, 신라의 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경순왕의 사촌 여동생인 [[신성왕후]]와도 혼인하였다. 이후 고려는 신라와 고구려의 계승을 표방하였다. [[삼국사기]]를 저술했던 고려의 [[김부식]]은 "결사적으로 지키려고 했다면 그 [[종실]]은 엎어지고 그 해가 죄 없는 백성에게까지 미쳤을 것이다"라고 논평하며 경순왕의 귀순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ref>삼국사기 권제12 신라본기 제12 경순왕 논</ref>
 
또한 [[고려 태조]]는 천년 국가였던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을 기리기 위해 자신보다 먼저 경순왕의 어진을 제작하였고, 그 복사본이 오늘날까지 전해지며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어진이 되었다. <ref>http://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00602/28785354/1 '비운의 경순왕' 초상화 첫 공개, 동아일보, 2010</ref> 고려왕의 어진이 조선 [[세종]] 때 불태워지거나 땅에 묻혀버린 것과 비교하면, 신라의 귀순을 결정했던 경순왕의 어진이 [[조선시대]]까지 보전된 것은 멸망 후에도 신라 [[왕실]]은 존숭되었음을 의미한다.<ref>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17/02/75397/ 신라 경순왕, 나라를 버려 나라를 얻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