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문서의 모든 내용을 삭제
1번째 줄:
{{작가 정보
| 이름 = 정현종
| 출생일 = [[1939년]] [[12월 17일]]
| 출생지 = [[서울]]
| 사망일 =
| 사망지 =
| 직업 = 작가,교육인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 장르 = 시
}}
'''정현종'''(鄭玄宗, [[1939년]] [[12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서울]] 출생으로 [[대광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82년부터 2005년까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일했다.
 
== 약력 ==
[[1965년]] 《현대문학》에 [[박두진]] 시인이 3회 추천 완료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1978년]] 「한국문학작가상」, [[1990년]] 제3회 「연암문학상」, [[1992년]] 제4회 「[[이산문학상]]」, [[1996년]] 제4회 「[[대산문학상]]」,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2004년]] 제12회 「공초문학상」, [[2004년]] 파블로 네루다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2005년]] 근정포장, [[2006년]] 제2회 「경암학술상」을 수상했다.
 
== 저서 ==
===시집===
*《사물의 꿈》(민음사, 1972)
*《나는 별아저씨》(문학과지성사, 1978)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문학과지성사, 1984)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세계사, 1989)
*《한 꽃송이》(문학과지성사, 1992)
*《세상의 나무들》(문학과지성사, 1995) ISBN 8932007535
*《갈증이며 샘물인》(문학과지성사, 1999) ISBN 8932010900
*《[[견딜 수 없네]]》(시와시학사, 2003) ISBN 8982121773
 
===시선집===
* 시선집《고통의 축제》(민음사, 1974)
* 시선집《달아 달아 밝은 달아》(지식산업사, 1982)
* 시선집《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문학과비평사, 1990)
* 시선집《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미래사, 1991)
* 시선집《이슬》(문학과지성사, 1996)
* 시선집《환합니다》(1999)
* 시선집《정현종 시선》(시와시학사, 2005)
 
===시전집===
*《정현종 시전집》(문학과지성사, 1999)
 
===산문집===
*《날자 우울한 영혼이여》(1975)
*《숨과 꿈》(1982)
*《관심과 시각》(1983)
*《생명의 황홀》(1989)
*《날아라 버스야》(2003)
 
===번역서===
* 제임스 볼드윈 《또하나의 나라》(1970)
* [[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1972)
* C. McCullers 《슬픈 카페의 노래》(1972)
* 리처드 바크 《갈매기의 꿈》(1973)
* 칼릴 지브란 《매혹》(1973)
* R.프로스트 《불과 얼음》(1973)
* [[예이츠]] 《첫사랑》(1973)
* [[헤르만 헤세]] 《흰구름》(1973)
* 알랭 보스께 《달리와의 對話》(1975)
* 허버트 리드 外 《예술을 찾아서》(1978)
* J. Krishnamurt 《아는 것으로부터의 자유》(1979)
* 리처드 바크 《어디인들 멀랴》(1979)
* [[네루다]]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1989)
* Federico Garcia Lorca 《강의 백일몽》(1994)
* 네루다 《100편의 사랑 소네트》(2002)
* M.I.L.K. 프로젝트 《Love》(2002)
* M.I.L.K. 프로젝트 《Friendship》(2002)
* M.I.L.K. 프로젝트 《Familly》(2003)
* 네루다 《네루다 시선》(2007)
* 네루다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2007)
* 네루다 《충만한 힘》(2007)
* 하워드 슈워츠 《네가 태어나기 전에》(2007)
 
===문학선===
*《거지와 狂人》(나남, 1985)
 
===정현종 연구서===
* 김병익·[[김현 (문학평론가)|김현]] 편《정현종》(은애, 1979)
* 이광호 엮음《정현종 깊이 읽기》(문학과지성사, 1999) ISBN 8932011354
* 이영섭 외《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날때 : 정현종의 시세계》(문학동네, 1999)
* 정과리 외《영원한 시작》(민음사, 2005) ISBN 8937425394
 
===정현종 작가론·작품론===
* [[고은]]〈사물의 꿈〉《월간문학》(1972년 8월호)
 
===정현종 연구 학위논문===
* 황치복,〈鄭玄宗 詩 硏究 : 이미지와 時間 意識을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 임현순, 〈鄭玄宗 詩의 몸 이미지와 言語的 想像力 硏究〉. 이화여대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998)
* 남진숙, 〈韓國 環境生態詩 硏究 : [[이형기]], 정현종, [[이하석]], [[최승호 (시인)|최승호]] 詩를 중심으로〉동국대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998)
* 정복여, 〈정현종 시의 상상력 연구〉. 중앙대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손효진, 〈정현종 시에 나타난 사물의 자기동일성 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김규진, 〈정현종 시 연구 : 생태의식을 중심으로〉. 경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김수림, 〈[[김지하]]·정현종 초기 서정시의 물질적 상상력과 문체〉.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권계영, 〈정현종의 시의 시간의식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류보희, 〈정현종 시 미학 연구〉. 인천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손민달, 〈한국 생태주의 시의 미학적 특성 연구 : 정현종, 김지하, 최승호를 중심으로〉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강세미, 〈정현종 시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소영, 〈정현종 시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최혜인, 〈정현종 시의 변모 양상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유재훈, 〈정현종 초기시의 이미지 연구〉 수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김인옥, 〈정현종 시세계 연구 : 생명에 관한 상상력과 문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최영미, 〈정현종 시의 생명의식 연구〉. 숭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전정은, 〈정현종 시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 연구 : '나무' 이미지를 중심으로〉. 경성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참고자료 ==
* {{뉴스 인용
|url=http://www.donga.com/docs/magazine/shin/2008/03/06/200803060500015/200803060500015_1.html
|제목=<nowiki>[원재훈 시인의 작가 열전] ‘詩 완벽주의자’ 정현종</nowiki>
|저자=원재훈
|쪽=454~473
|출판사=신동아
|작성일자=2008-03-01
|확인일자=2008-03-16
}}
 
[[분류:1939년 태어남]]
[[분류:대한민국의 시인]]
[[분류:대한민국의 번역가]]
[[분류:대한민국의 대학교수]]
[[분류:서울특별시 출신자]]
[[분류:연세대학교 동문]]
[[분류:대광고등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