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죄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 가톨릭 교회의 칠죄종 ==
현대의 「[[가톨릭교회 교리서]]」에서는 「칠죄종」에 대해서, [[요하네스 캇시아누스]]나 [[교황 그레고리오 1세]] 이래 전통적으로 죄의 근원으로 간주해져 온 것으로서 언급되고 있다. 그것은 이하의 일곱 개다<ref name="Catechism1866">「[[가톨릭교회 교리서]]」#1866(한국어판 694페이지) 카톨릭 중앙 협의회 {{ISBN|978-4877501013}}</ref>.
 
(일곱 개의 게재순서는 「가톨릭교회 교리서」의 라틴어 규범판<ref>[http://www.vatican.va/archive/catechism_lt/p3s1c1a8_lt.htm#V.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_Articulus 8: Peccatum]#1866 (「가톨릭교회 교리서」라틴어 규범판) [[로마 교황청]] 공식 사이트</ref>과 한국어판(2011년)으로 일부 다르지만, 여기에서는 한국어판에 쓰여져 있는 차례<ref name="Catechism1866" />에 의한다.
 
공식 번역명은 천주교용어자료집에서 따온다.<ref>{{웹 인용|url=http://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5163&keyword=&gubun=03|제목=GoodNews 가톨릭정보|언어=ko|확인날짜=2019-05-23}}</ref>
{| class="wikitable"
! 한국어 !! 라틴어 !! 영어<ref>[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6D.HTM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_Article 8 SIN_V. The Proliferation of Sin]#1866 (「가톨릭교회 교리서」 영문판) 로마 교황청 공식 사이트</ref>
|-
| 교만
|{{lang|la|superbia}}
|{{lang|en|pride}}
|-
| 탐욕
|{{lang|la|avaritia}}
|{{lang|en|greed}}
|-
| 질투
|{{lang|la|invidia}}
|{{lang|en|envy}}
|-
| 분노
|{{lang|la|ira}}
|{{lang|en|wrath}}
|-
| 색욕
|{{lang|la|luxuria}}
|{{lang|en|lust}}
|-
| 식탐
|{{lang|la|gula}}
|{{lang|en|gluttony}}
|-
| 나태
|{{lang|la|pigritia seu acedia}}(중세에는 {{lang|la|acedia}})
|{{lang|en|sloth or acedia}}
|-
|}
 
머릿글자를 모아 SALIGIA로 줄여 사용하기도 한다.
 
중세의 크리스트교의 세계관이 가장 잘 나타내지고 있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서사시, 「[[신곡]]」연옥편에서도, [[연옥]]산의 일곱 개의 관에서 사망자가 이 죄를 맑게 하게 되어 있다([[신곡#연옥편 Purgatorio|연옥편]]을 참조).
 
== 악마와의 연계 ==
[[1589년]], 독일의 [[페터 빈스페르트]]({{lang|de|Peter Binsfeld}})는 죄와 [[악마]]의 관계를 적은 저작을 저술했지만, 그 중으로, 칠죄종도 특정의 악마와 관련짓고 있다. 이러한 일곱 개의 대죄와 악마와의 관련은 크리스트교의 본질적인 부분과 무관계하지만, 통속적인 [[그리모워르]]에서 인용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