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공주 (고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91번째 줄:
* 2자 : 김굉(金錫, 김황(金湟)으로 개명, 고려 외손·공신(功臣)·평장사(平章事)) - [[나주 김씨]] 비조로 소원시킴.<ref>역사에 시조 김운발은 [[경순왕]]의 손자라 전하는데, 작금에 와서 일부 [[나주 김씨]]에서 시조 김운발의 아버지가 '김황'이라 한다. 또 경순왕 계자(季子. 막내아들)인 [[범공]] 스님과 동일인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정작 《김은열 묘지명》 원문에는 [[경순왕]] 2자 김굉(또는 김황)과 4자 김은열은 [[고려 태조]]의 외손으로, 고려 평장사를 지내고 나라에 공이 있는 신하여서 특별히 장지(葬地)도 하사(下賜)해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사서(史書) 및 《증보문헌비고》와 《조선씨족통보》에도 별도 인물로 기록하고 있다.</ref> <ref>계자(季子)란 막내아들을 의미하는데, [[죽방부인]] 소생이라는 제2자 김굉(또는 김황)과 제3자 김명(金鳴)[또는 김명종(金鳴鍾)의 서차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ref>
* 3자 : 김명(金鳴, 김명종(金鳴鍾)으로 개명) - [[경주 김씨|경주 김씨 영분공파]] 파조로 소원시킴<ref>작금에 와서 [[경주 김씨]] 일문에서는 '김명종'의 시호가 '김영분'(金永芬)이며, [[경순왕]]과 [[죽방부인]] 사이의 셋째 왕자라 한다. [[경주 김씨]] 영분공파 시조로 모시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사서(史書)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로, 《증보문헌비고》 및 《조선씨족통보》도 별도 인물로 기록하고 있다.</ref>
* 4자 : 김은열(金殷說, 고려 외손·공신(功臣)·평장사(平章事)·대안군(大安君)) - [[경주 김씨|경주 김씨 은열공파]] 파조로 소원시킴<ref>일설에 [[경순왕]] 제3자라 한다.</ref>
* 5자 : 김중석(金重錫, 김석(金錫)으로 개명) - [[의성 김씨]] 시조로 소원시킴<ref>일설에 [[경순왕]] 제4자라 한다.</ref>
* 6자 : 김건(金鍵) - [[강릉 김씨]] 시조로 소원시킴<ref>작금에 와서 [[강릉 김씨]] 시조라 한다. 그러나 《증보문헌비고》 및 《조선씨족통보》에는 이름이 누락되어 있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