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전기 기관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철도차량
|차량명 = 구형8000호대 전기기관차전기 기관차 (50 C/S Group)
|배경색 = #157FFB
|글자색 = white
|그림 = Two Korail Class 8000 locomotives.jpg
|그림크기 = 250px
|그림설명 = [[심포리역]]으로 진입하는 8060호, 8037호 전기 기관차
|설계 = 50 C/S Group컨소시엄
|제작사 = [[알스톰]]
{{기호없는 목록| ''[[대우중공업]]'' (→[[:en:Swiss Locomotive and Machine Works|SLM]])}}
|제작연도 = [[1972년]] ~ [[1977년]]<br>[[1986년]] ~ [[1990년]]
|사용량생산량 =4 94
|도입량사용량 =94
|도입량 =
|차륜배열 = Bo-Bo-Bo
|궤간 = [[표준궤]] 1,435
줄 24 ⟶ 25:
|전기방식 = [[교류]] 25,000V 60Hz
|집전방식 = [[집전장치#싱글암 식|싱글암 팬터그래프]]
|제어방식 = [[사이리스터 위상제어|사이리스터 제어위상제어]]
|최고속도 = 85~120
|출력 = 5,300<ref>{{웹 인용 |url=http://kric.or.kr/jsp/railplaza/rcd/railDogam2Detail.jsp?p_id=A030402001&seq=21 |제목=철도산업정보센터- 지식백과 > 차량도감 |확인날짜=2015-05-0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6232906/http://kric.or.kr/jsp/railplaza/rcd/railDogam2Detail.jsp?p_id=A030402001&seq=21 |보존날짜=2016-04-06 |url-status=dead }}</ref>
|견인력 = 426 kN(5,300 kgf)
줄 32 ⟶ 34:
|도입단가 = {{기호없는 목록 |495,000달러 (1972년~1975년) |1,041,667달러 (1976년~1977년) |438,060,000원 (1979년) |1,858,182,000원 (1986년) |2,228,800,000원 (1990년)}}<ref>{{서적 인용 |저자=변성우 외 |날짜=1999 |제목=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위치=서울 |출판사=철도차량기술검정단 |쪽=213·214·219}}</ref><ref>{{보고서 인용|저자=최연혜·강영일|url=http://www.kric.or.kr/KricFileDownload.do?file=/20150722/FileUpload.do/2014+%EC%B2%A0%EB%8F%84%ED%86%B5%EA%B3%84%EC%97%B0%EB%B3%B4%28%EC%A0%9C52%ED%9A%8C%29.pdf|제목=제52회 2014 철도통계연보|출판사=[[한국철도공사]]·[[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한국철도시설공단]]|쪽=1230, 1244|id=행정간행물 등록번호: 11-1510000-000002-10|날짜=2015-07|확인날짜=2015-10-27}}</ref>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배속처 = 청량리, 제천, 영주, 수색
|영업최고속도=85|설계최고속도=120}}
}}
'''8000호대 전기 기관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용 중인 [[전기 기관차]]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교류 전기 기관차로, [[1971년]] 산업선 전철화에 맞추어 도입되었다. 운용 초기에는 여객, 화물용으로 두루 쓰이다가 [[8200호대 전기 기관차|8200호대 전기기관차]]가 도입된 후에는 화물용으로 주로 쓰이고 있으며 간간히 여객열차도 견인한여객 열차도 있다견인한다.
 
== 역사 ==
[[알스톰]]을 주체로 하여 [[ACEC]], [[MTE]]([[:fr:Matériel de traction électrique (constructeur)|fr]]), [[AEG]], [[지멘스]], [[브라운-보베리]]([[:en:Brown, Boveri & Cie|en]]) 등의 6개 사가 참여한 50 C50C/S 컨소시엄에서 개발하였다.<ref>{{서적 인용 |저자=변성우 외 |날짜=1999 |제목=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위치=서울 |출판사=철도차량기술검정단 |쪽=213}}</ref>
 
1970년 대한민국 정부와 프랑스 정부간의 차관에 따라 [[SNCF]]의 BB15000형 전기기관차를 변형한 형태로 당시 [[철도청]]에서 도입하였다.
줄 42 ⟶ 45: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유럽]]으로부터 차관으로 66기를 도입하였는데 이를 초기형이라고 한다. 이후 [[1976년]]부터 [[1977년]]까지 24기를 추가로 도입한 차량은 중기형이라고 부르는데, 이를 넓은 구분으로는 전기형의 범주로 보며, 협의의 전기형과는 약간의 차이만 존재한다. 후기형으로 구분되는 8091호부터 8094호까지의 기관차는 각각 [[1986년]], [[1988년]], [[1989년]], [[1990년]]에 국산화되어 제작되었으며, 송풍구를 전기형과 중기형보다 높게 설치하였고 방열판의 위치에서 차이가 있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80018091~8090호8094호를 제외한 90량은 모두 폐차되었고퇴역되어, [[8500호대 전기 기관차|8500호대 전기기관차]]로 대체되었다. 2016년 이전에 퇴역된 50량의 고철 매각 공고가 발의되었다.<ref name="onbid2016">{{웹 인용|url=http://www.onbid.co.kr/op/ppa/plnmmn/publicAnnouncePsnsDetail.do?pbctNo=9238174&plnmNo=397889|제목=대전철도차량정비단 경량철 등 각종고철 8,550,296kg(폐차287량)|날짜=2016-06-07|웹사이트=온비드|확인날짜=2016-07-03|저자=이종훈}}{{깨진 링크|url=http://www.onbid.co.kr/op/ppa/plnmmn/publicAnnouncePsnsDetail.do?pbctNo=9238174&plnmNo=397889 }}</ref>
 
== 기술적 사양 ==
사이리스터 제어를위상제어를 기반으로 한 650kW급 직류전동기 6개를 배열하여 전체출력 3,900kW의 출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어비를 6.4(15:96)로 올려 최고속도는 85km/h로 낮으나 견인력이 높다. 대차배열은 산악지형에 최적화 하기 위하여 Bo-Bo-Bo 배열을 채택하고 있다. 도입 구분에 따라 전기형, 중기형, 후기형으로 구분한다. 80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주행 시에 [[송풍기]]가 작동하면서 들리는 소음이 있으며, 이는 [[1999년]] 이후에 도입된 [[8100호대 전기 기관차|8100호대]], [[8200호대 전기 기관차|8200호대]], [[8500호대 전기 기관차]]에서는 전반적으로 들리지 않는다
 
== 현황 ==
[[1972년]]부터 [[1977년]], [[1986년]]부터 [[1990년]]까지 94량이94기가 도입되었고, [[2020년]] 현재 4량이4기가 운행하고 있다.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9량이 보존 중이다.
 
{| class="wikitable sortable" width="800"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줄 54 ⟶ 57:
!width="45"|차호 !! width="100"|도입 시기 !! width="100"|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8001호||rowspan="20"|[[1972년]]||rowspan="4"|[[2012년]]||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보존되며, 현재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유치선에 유치 중이다.
|-
|8002호|||
줄 62 ⟶ 65:
|8004호|||
|-
|8005호||[[2011년]] [[11월]]||노후화로 조기 폐차
|-
|8006호||[[2012년]]||
|-
|8007호||[[2011년]] [[11월]]||노후화로 조기 폐차
|-
|8008호||rowspan="20"|[[2012년]]||
줄 164 ⟶ 167:
|8055호||
|-
|8056호||1975년 11월 3일 [[소산천 철교 화물열차 추락 사고]]로 경미하게 파손되어, 1977년 1월에 서울공작창에서 사고차량수선하였다.
|-
|8057호||rowspan="10"|[[1975년]]|||
|-
|8058호||rowspan="1"|[[2014년]]||1975년 11월 3일 [[소산천 철교 화물열차 추락 사고]]로 대파되어, 폐차 예정이었으나 1979년 1월에 서울공작창에서 재생하였다. 최초의 정비단 재생 전기 기관차이다.내구연한을 연장했다. 2014년 노후화로 폐차 발령 사고차량남.
|-
|8059호||rowspan="1"|[[2013년]]|||
줄 185 ⟶ 188:
|8065호||
|-
|8066호||초기형 마지막 도입분이다.
|-
|8067호||rowspan="5"|[[1976년]]||rowspan="5"|[[2016년]] [[12월 6일]]||
줄 193 ⟶ 196:
|8069호||
|-
|8070호||제천조차장에 보존 중이였으나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8070호||
|-
|8071호||
줄 199 ⟶ 202:
|8072호||rowspan="19"|[[1977년]]||rowspan="3"|[[2017년]] [[2월 16일]]||
|-
|8073호||제천조차장에 보존 중이였으나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8073호||
|-
|8074호||제천조차장에 보존 중이였으나 계획이 백지화 되어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8074호||
|-
|8075호||rowspan="6"|[[2017년]] [[3월 17일]]||
줄 211 ⟶ 214:
|8078호||
|-
|8079호||1989년 10월 21일 [[동해역]] 인상선에서 입환용 기관차와 충돌하였으나 복구하였다.
|8079호||
|-
|8080호||
줄 221 ⟶ 224:
|8083호||
|-
|8084호||영주기관차사업소 구내 유치 중이다.
|8084호||
|-
|8085호||rowspan="3"|[[2017년]] [[5월 19일]]||제천차량사업소 구내 유치 중이다.
|-
|8086호||제천차량사업소 구내 유치 중이다.
|8086호||
|-
|8087호||영주기관차사업소 구내 유치 중이다.
|8087호||
|-
|8088호||rowspan="3"|[[2017년]] [[7월 11일]]||제천차량사업소 구내 유치 중이다.
|-
|8089호||제천차량사업소 구내 유치 중이다.
|8089호||
|-
|8090호||중기형 마지막 도입분이다. 중기형은 마지막으로 퇴역하였다. 제천차량사업소 구내 유치 중이다.
|8090호||
|-
|'''8091호'''||[[1986년]]||운행 중||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내구연한 만료가 되면 바로 보존될 예정이다.
|-
|'''8092호'''||[[1988년]]||운행 중||
|-
|'''8093호'''||[[1989년]]||운행 중|| 철도청 터널마크가 잇는 기관차 였으나 중검수후 없어졋다.
|-
|'''8094호'''||[[1990년]]||운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