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진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정수==
구진법에서는 사용하는 숫자가 [[0]]부터 [[8]]까지이며 8 의 다음 인 [[9|구]]은 "10"이된다. 따라서, 십 (십진법 [[10]])는 11 (''구일''), 십일 (십진법 11)는 12 (''구이''), 십이 (십진법 12)는 13 (''구삼'') ...로 이어 십팔 (십진법 18)이 20 (''이구'')가된다.
 
이후의따라서, 수가도십진법 이십칠[[10]] (십)는 11 (''구일''), 십진법 [[11]](십일)는 12 (''구이''), 십진법 [[12]](십이)는 13 (''구삼'') ...로 이어 십진법 [[18]](십팔)이 20 (''이구'')가된다. 이후의 수가도 십진법 [[27]] (이십칠)는 30 (''삼구''), 삼십육 (십진법 [[36]] (삼십육)는 40 (''사구''), 사십구 (십진법 49 (사십구)는 54 (''오구사''), 육십사 (십진법 [[64]] (육십사)는 71 (''칠구일'')로, 팔십일 (십진법 81 (팔십일)이 100, 백 (십진법 100 (백)가 121이된다.
 
다음에 같은구진법에서는 "'''10 = [[3]]<sup>2</sup>'''" 이되는 배수"[[3의 거듭제곱|3의 멱 승수]]" 진법이므로, 다른 [[위치 기수법|표기법]]과는 엄연히 다른 성질을 가진다. 다음 표에 "[[2의 거듭제곱|2의 멱 승수]]"진수 인 [[육진법십육진법]], "(10 = [[52]]<sup>4</sup>), "3의 배수"진수 인 [[십진법육진법]] (10 = 2×3), "[[25]]의 멱 승수배수"진수 인 [[십육진법십진법]] (10 = 2×5) 과의 대비를 보여준다.
 
{|class="wikitable"
* 11 = 육진법14, 십진법10 (1×9 + 1)
|+ 표기법
* 13 = 육진법20, 십진법12 (1×9 + 3)
|-
* 17 = 육진법24, 십진법16, 십육진법10 (1×9 + 7) ('''<font color="red">2<sup>4</sup></font>''')
! 구진법 || 구진법의 분해 || [[십육진법]] || [[육진법]] || [[십진법]] || 소견
* 20 = 육진법30, 십진법18 (2×9)
|-
* 30 = 육진법43, 십진법27, 십육진법1B (3×9) ('''<font color="blue">3<sup>3</sup></font>''')
| 11 || 1×9 + 1 || A || 14 || 10 || -
* 36 = 육진법53, 십진법33 (3×9 + 6)
|-
* 40 = 육진법100, 십진법36 (4×9)
| 13 || 1×9 + 3 || C || 20 || 12 || -
* 45 = 육진법105, 십진법41 (4×9 + 5)
|-
* 54 = 육진법121, 십진법49 (5×9 + 4)
*| 7117 =|| 육진법144,1×9 십진법64,+ 십육진법407 (7×9|| +10 || 24 || 1)16 || ('''<font color="red">2<sup>64</sup></font>''')
|-
* 100 = 육진법213, 십진법81, 십육진법51 (1×9<sup>2</sup>) ('''<font color="blue">3<sup>4</sup></font>''')
| 20 || 2×9 || 12 || 30 || 18 || -
* 121 = 육진법244, 십진법100 (1×9<sup>2</sup> + 2×9<sup>1</sup> + 1)
|-
* 314 = 육진법1104, 십진법256, 십육진법100 (3×9<sup>2</sup> + 1×9<sup>1</sup> + 4) ('''<font color="red">2<sup>8</sup></font>''')
| 27 || 2×9 + 7 || 19 || 41 || 25 || '''5<sup>2</sup></font>'''
* 500 = 육진법1513, 십진법405 (5×9<sup>2</sup>)
|-
* 600 = 육진법2130, 십진법486 (6×9<sup>2</sup>)
*| 30 =|| 육진법43,3×9 십진법27,|| 십육진법1B1B (3×9)|| 43 || 27 || ('''<font color="blue">3<sup>3</sup></font>''')
* 764 = 육진법2521, 십진법625, 십육진법271 (7×9<sup>2</sup> + 6×9<sup>1</sup> + 4) ('''5<sup>4</sup>''')
|-
* 1000 = 육진법3213, 십진법729, 십육진법2D9 (3×9<sup>3</sup>) ('''<font color="blue">3<sup>6</sup></font>''')
| 36 || 3×9 + 6 || 21 || 53 || 33 || -
* 1331 = 육진법4344, 십진법1000 (1×9<sup>3</sup> + 3×9<sup>2</sup> + 3<sup>1</sup> + 1)
|-
* 1700 = 육진법10000, 십진법1296 (1×9<sup>3</sup> + 7×9<sup>2</sup>)
*| 272540 =|| 육진법13252,4×9 십진법2048,|| 십육진법80024 || (2×9<sup>3</sup>100 +|| 7×936 || '''<supfont color="red">2</sup> + 2</sup>1</supfont> + 5) ('''×<font color="redblue">23<sup>B2</sup></font>''')
|-
* 3000 = 육진법14043, 십진법2187, 십육진법88B (3×9<sup>3</sup>) ('''<font color="blue">3<sup>7</sup></font>''')
| 54 || 5×9 + 4 || 31 || 121 || 49 || -
* 5551 = 육진법30544, 십진법4096, 십육진법1000 (1×9<sup>3</sup> + 3×9<sup>2</sup> + 3<sup>1</sup> + 1) ('''<font color="red">2<sup>C</sup></font>''')
|-
* 10000 = 육진법50213, 십진법6561, 십육진법19A1 (1×9<sup>4</sup>) ('''<font color="blue">3<sup>8</sup></font>''')
| 65 || 6×9 + 5 || 3B || 135 || 59 || [[소수 (수론)]]
|-
*| 1771 =|| 육진법24,7×9 십진법16,+ 십육진법101 (1×9|| +40 || 144 || 7)64 || ('''<font color="red">2<sup>46</sup></font>''')
|-
*| 100 =|| 육진법213, 십진법81, 십육진법51 (1×9<sup>2</sup>) || 51 || 213 || 81 || ('''<font color="blue">3<sup>4</sup></font>''')
|-
*| 121 =|| 육진법244, 십진법100 (1×9<sup>2</sup> + 2×9<sup>1</sup> + 1) || 64 || 244 || 100 || -
|-
| 285 || 2×9<sup>2</sup> + 8×9<sup>1</sup> + 5 || EF || 1035 || 239 || 소수 (수론)
|-
*| 314 = 육진법1104, 십진법256,|| 십육진법100 (3×9<sup>2</sup> + 1×9<sup>1</sup> + 4) || 100 || 1104 || 256 || ('''<font color="red">2<sup>8</sup></font>''')
|-
| 500 || 5×9<sup>2</sup> || 195 || 1513 || 405 || -
|-
| 600 || 6×9<sup>2</sup> || 1E6 || 2130 || 486 || -
|-
*| 764 =|| 육진법2521, 십진법625, 십육진법271 (7×9<sup>2</sup> + 6×9<sup>1</sup> + 4) || 271 || 2521 || 625 || ('''5<sup>4</sup>''')
|-
*| 1000 =|| 육진법3213, 십진법729, 십육진법2D9 (3×91×9<sup>3</sup>) || 2D9 || 3213 || 729 || ('''<font color="blue">3<sup>6</sup></font>''')
|-
*| 1331 =|| 육진법4344, 십진법1000 (1×9<sup>3</sup> + 3×9<sup>2</sup> + 33×9<sup>1</sup> + 1) || 3E8 || 4344 || 1000 || -
|-
| 1700 || 1×9<sup>3</sup> + 7×9<sup>2</sup> || 510 || 10000 || 1296 || '''<font color="red">2<sup>4</sup></font>×<font color="blue">3<sup>4</sup></font>'''
|-
| 2725 || 2×9<sup>3</sup> + 7×9<sup>2</sup> + 2×9<sup>1</sup> + 5 || 800 || 13252 || 2048 || '''<font color="red">(2<sup>12</sup>)<sub>9</sub></font>'''
|-
*| 3000 =|| 육진법14043, 십진법2187, 십육진법88B (3×9<sup>3</sup>) || 88B || 14043 || 2187 || ('''<font color="blue">3<sup>7</sup></font>''')
|-
| 5000 || 5×9<sup>3</sup> || E3D || 24513 || 3645 || F (3×5) 의 배수
|-
*| 5551 =|| 육진법30544, 십진법4096, 십육진법1000 (1×95×9<sup>3</sup> + 3×95×9<sup>2</sup> + 35×9<sup>1</sup> + 1) || 1000 || 30544 || 4096 || ('''<font color="red">(2<sup>C13</sup>)<sub>9</sub></font>''')
|-
*| 10000 =|| 육진법50213, 십진법6561, 십육진법19A1 (1×9<sup>4</sup>) || 19A1 || 50213 || 6561 || ('''<font color="blue">3<sup>8</sup></font>''')
|}
 
===배수 판정법===
"10"이되는 구은 [[3]] 의 2 승이므로 3의 배수는[[배수]]는 일의 자리가 3 또는 [[6]] 또는 0 중 하나가된다.
 
또한 구 진법라도 육진법또는 십진법과 같은 배수 판정이 가능하다. 10-1 = [[8]] = [[2]]<sup>3</sup>되기 때문에, 각 자릿수의 합이 8의 배수이면 8의 배수이다. 2의 배수에 대해서도 각 자릿수의 합이 2의 배수이면 2의 배수가된다. 또한 2 자리 [[5]]의 배수는 자리의 차이가 0 또는 5된다.
 
;2의 배수, 4의 배수, 8의 배수
* 17 (2<sup>4</sup>) → 1+7 = 8
* 48 (십진법44) → 4+8 = 13, 1+3 = 4
* 132 (십진법 110) → 1+3+2 = 6
;5의 배수
* 27 (5<sup>2</sup>) → 7-2 = 5
* 55 (십진법 50) → 5-5 = 0
 
== 가분성 ==
줄 46 ⟶ 85:
십육진법는 1/2 = 0.8, 1/3 = 0.<u>5</u>555…, 1/4 = 0.4, 1/5 = 0.<u>3</u>333 ..., 1/8 = 0.2과 같이, 인수가 2의 멱 승수 뿐이므로, 2에서만 나눌 수없는 (홀수 분할 수 없다). 수열도 2의 멱 승수에 의해 건너 뛰는되기 때문에 3 씩또는 5 씩과 같은 홀수는 매우 진행이 나쁘다.
 
반대로, 구진법는 1/2 = 0.<u>4</u>444... 1/3 = 0.3, 1/4 = 0.<u>2</u>222..., 1/5 = 0.<u>17</u>17…, 1/8 = 0.<u>1</u>111...과 같이, 인수가 3의 멱 승수 뿐이므로 3에서만 나눌 수없는 (짝수 분할 수 없다). 이하, 1/3은 0.3, 2/3은 0.6, 1/9은 1/10 = 0.1, 3<sup>-3</sup>은 1/30 = 0.03, 3<sup>-4</sup>은 1/100 = 0.01, 3<sup>-5</sup>은 1/300 = 0.003, 3<sup>-6</sup>은 1/1000 = 0.001된다. 수열도 3 씩 의 진행이 매우 원활하다.
 
1/2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아도 1/3이 나누어 떨어지는 때문에, [[이진법]]와 십육진법는 "A 또는 B 중"밖에 낳을 수없는 결함을 가지고 있지만, [[삼진법]]와 구진수는 "A라도 B라도 아니고 C"라는 가치관를 창출 할 수있다.
 
또한 구진법은 10-1 = 8 = 2<sup>3</sup>이되므로 2<sup>-6</sup>은 1/71 = 0.<u>01234568</u>... 되어, 8 자리가 순환한다. 이것은 십진법에는[[십진법]]에는 10-1 = 9 = 3<sup>2</sup>으로 3<sup>-4</sup>가 1/81 = 0.<u>012345679</u>...로되어 9 자리가 순환하는 것과 같다. 1/2이 나눌 수없는 [[위치 기수법]] 중 2<sup>-n</sup> (2의 멱 승수의 [[역수]])의 [[순환소수|순환 절]]이 가장 짧은 것은 구진법이다. 마찬가지로 3<sup>-n</sup> (3의 멱 승수의 역수)라고 십진법이, 5<sup>-n</sup> (5의 멱 승수의 역수) 라고 [[육진법]]이 각각 순환 절이 가장 짧아진다.
 
== 관련 항목 ==
* [[3의 거듭제곱]]
* [[삼진법]]
* [[십육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