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랑 나흐 오스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파일:Bundesarchiv R 49 Bild-0131, Aussiedlung von Polen im Wartheland.jpg|섬네일|260px|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추방당하는 폴란드인. 폴란드의 서부는 독일 식민 계획의 일환으로 독일인의 이주시키기 위해 폴란드인이 추방되었다.]]
'''드랑 나흐 오스텐''' ({{llang|de|Drang nach Osten}}, 독일어로 "동부에 대한 갈망"<ref>Pim den Boer, Peter Bugge, Ole Wæver, Kevin Wilson, W. J. van der Dussen, Ole Waever, European Association of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The history of the idea of Europe'', 1995, p. 93, {{ISBN|0-415-12415-8}}, {{ISBN|978-0-415-12415-7}}</ref> "동부로 돌격",<ref name="Best_2008">Ulrich Best, ''Transgression as a Rule: German-Polish cross-border cooperation, border discouse and EU-enlargement'', 2008, p. 58, {{ISBN|3-8258-0654-5}}, {{ISBN|978-3-8258-0654-5}}</ref> "동부로의 전진",<ref name="Lerski_1996">Jerzy Jan Lerski, Piotr Wróbel, Richard J. Kozicki, ''Historical Dictionary of Poland, 966–1945'', 1996, p. 118, {{ISBN|0-313-26007-9}}, {{ISBN|978-0-313-26007-0}}</ref> "동부로의 진전"<ref name="Osmańczyk_2003">Edmund Jan Osmańczyk, Anthony Mango,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2003, p. 579, {{ISBN|0-415-93921-6}}, {{ISBN|978-0-415-93921-8}}</ref>, "동부로의 욕망"<ref>Marcin Zaborowski, ''Germany, Poland and Europe'', p. 32</ref>을 뜻함)은 19세기 독일 확장을 위해 슬라브 민족의 땅을 점령한다는 개념이다.<ref name="Osmańczyk_2003"/> 이 용어는 19세기 독일 민족주의 운동의 모토가 되었다.<ref name="Wippermann">W. Wippermann, Der "deutsche Drang nach Osten": Ideologie und Wirklichkeit eines politischen Schlagworte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1, p. 87</ref> 일부 역사 담론에서는 드랑 나흐 오스텐을 [[중앙과 동부 유럽의 독일인 정착 역사|동부 유럽에서의 독일인 정착]](History of German settlement in Eastern Europe)과 관련하여 중세 [[튜턴 기사단]]이나 정치적 [[독일인화]], 현대의 [[나치 독일]] [[레반스라움]]과 관련짓기도 한다.<ref name="Lerski_1996"/><ref>Ingo Haar, ''Historiker im Nationalsozialismus'', p. 17</ref> 이것은 독일의 민족주의와 [[나치즘]]의 핵심적 요소 중 하나이다. 1944년 2월 7일 히틀러의 연설에서 "동쪽으로, 항상 동쪽으로 우리 [[아리아 민족]]이 확장해야 한다. 이것은 독일 민족의 확장 선포 지역의 방향이다."라고 말했다.<ref>''Hitler, a chronology of his life and time'', Milan Hauner, Macmillian, 1983, p. 197</ref>
 
== 용어의 유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