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링크를 추가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기원과 역사: 링크를 추가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76번째 줄:
천문학은 [[인간]]이 하늘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면서 동·서양의 양쪽에서 가장 일찍 태동한 학문 중의 하나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농사]]와 [[날씨]] 예견 그리고 해양, [[지리]] 관측과 측량이 그 주요 동기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지역에서는 [[스톤헨지]]처럼 천문학적 목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유적이 건설되기도 했다. 제사 같은 종교적 목적 외에도 이러한 [[천문대]]들은 1년의 길이를 재거나, 매해 일정한 시기에 농사를 짓고, 수확하기 위해 하늘을 관측하는데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history">Forbes, 1909</ref>
 
망원경이[[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에는 천문관측은 높은 건물 같은 곳에서 맨 눈으로 이루어졌다. 문명이 발전하면서, 특히 [[메소포타미아]], 중국, 이집트, 그리스, 인도, [[마야 문명]] 등에서 천문대가[[천문대]]가 만들어졌고, 우주의 본질에 탐구가 시작되었다. 초기 천문학은 오늘날에는 [[측성학]]으로 알려진, 하늘에서 별과 행성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러한 관측으로부터, 행성의 운동, [[태양]], [[]], 지구의 본질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당시에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태양과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고 믿어졌다. 이를 [[지구중심설]], [[천동설]]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모형이라고 부른다.<ref>
{{서적 인용
| last=DeWitt
130번째 줄:
| accessdate=28 October 2007}}</ref>
히파르쿠스는 또한 방대한 1020개 별의 목록을 작성했으며, 북반구의 대부분의 별자리는 이러한 그리스 천문학에서 유래했다.<ref>Thurston, H., [http://books.google.com/books?id=rNpHjqxQQ9oC&pg=PA2 ''Early Astronomy.''] Springer, 1996. {{ISBN|0-387-94822-8}} p. 2</ref>
반면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프톨레마이오스]]는 [[천동설]]을 주장하였고, 당시의 천문학을 집대성한〈[[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알마게스트》(Almagest)|알마게스트]]〉를 남겼다. 천동설은 [[기독교]]의 교리에 더 부합하였으므로, 중세에 들어서는 이 책은 천문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책으로 받아들여졌고, 코페르니쿠스가[[코페르니쿠스]]가 등장하기 전까지 천동설이 널리 믿어지게 된다.
 
<!-- 이 부분은 영어위키 Antikythera mechanism에서 따온 것인데, 사실인지 아닌지 논쟁이 있음. 따라서 삭제함.
176번째 줄:
| isbn=90-04-09855-0
| page=350}}</ref>
964년에는[[964년]]에는 페르시아 천문학자 [[알 수피]]([[:en:Abd al-Rahman al-Sufi|Azophi]])가 안드로메다 은하를 발견하고, "[[:en:Book of Fixed Stars|Book of Fixed Stars]]"라는 책에서 이에 대해 서술하였다.<ref name="NSOG">
{{서적 인용
| last= Kep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