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특정 http → https 변환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불교}}
 
'''대지법'''(大地法, {{llang|sa|[[:en:mahā-bhūmika|<span style="color: black">mahā-bhūmika</span>]]}}, {{llang|pi|[[:en:sabbacittasādhāraṇa cetasikas|<span style="color: black">sabbacittasādhāraṇa cetasikas</span>]]}}, {{llang|en|[[:en:Mental factors (Buddhism)|<span style="color: black">universal mental factors</span>]]}})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位]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cw}}[[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cw}}[[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cw}}[[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cw}}[[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cw}}[[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08 T29n1558_p0019a08 - T29n1558_p0019a11]. 심소법(心所法)|ps=<br>"論曰。諸心所法且有五品。何等為五。一大地法。二大善地法。三大煩惱地法。四大不善地法。五小煩惱地法。地謂行處。若此是彼所行處。即說此為彼法地。"}}{{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1 161-162 / 1397]. 심소법(心所法)|ps=<br>"논하여 말하겠다. 온갖 심소법에는 바야흐로 다섯 가지의 품류가 있다.
무엇을 다섯 가지라고 하는 것인가?
첫 번째는 대지법(大地法)이며, 둘째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이며, 셋째는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이며, 넷째는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이며, 다섯째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이다. 여기서 '지(地)'란 이를테면 행처(行處), 즉 생기하는 영역을 말하니, 만약 이것이 이러저러한 것(즉 심소)의 행처가 될 경우 이것을 설하여 그러한 법의 '지'라고 하는 것이다.<sup style="color: blue">15)</sup><br><sup style="color: blue">15)</sup> 즉 심왕(心王)이 이러저러한 심소법이 일어나는 소의처가 될 때 그러한 심왕을 '지'라고 한다는 뜻."}}{{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a19 T29n1562_p0384a19 - T29n1562_p0384a23]. 심소법(心所法)|ps=<br>"論曰。諸心所法。且有五品。大地法等。有別異故。此復云何。一大地法。二大善地法。三大煩惱地法。四大不善地法。五小煩惱地法。地謂容止處。或謂所行處。若此是彼容止所行。即說此為彼法之地。地即是心。"}}{{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39 439 / 3087]. 심소법(心所法)|ps=<br>"논하여 말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