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토 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함께 보기 → 같이 보기)
26번째 줄:
당시 [[신라]]는 계속된 전쟁 속에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 시달릴 때 아미타불은 그 두려움을 없애줄 뿐만 아니라 죽은 자를 극락왕생시킨다는 믿음으로 민간에 널리 퍼져 나갔으며, 아울러 『[[삼국유사]]』에 전하는 많은 [[설화]]를 통해서도 당시에 유행했던 아미타신앙을 엿볼 수 있다. 이렇듯이 불교에서는 낙원을 정토로 지칭하며 부처·보살이 가는 청정(淸淨)한 세상으로 곧 불교의 이상사회를 말한다. 이곳은 자연적 환경과 물질적 풍요를 누릴 뿐만 아니라, 누구나 자비와 지혜로 충만한 삶을 사는 사회라고 전해지고 있다.<ref>『삼국유사(三國遺事)』,『신라정토사상사(淨土思想史)연구』(안계현, 아세아문화사, 1979),『정토사상(淨土思想)』(홍윤식, 한겨레출판사, 1980),「신라백월산이성설화(新羅白月山二聖說話)의 연구」(김영태, 『불교사학논총』, 1965),「신라의 미타사상(彌陀思想)」(김영태, 『불교학보』 12, 1975) 참고</ref>
 
== 함께같이 보기 ==
* [[극락]]
* [[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