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칸트 학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신칸트파'''(新Kant派)는 법실증주의유물론적 법·국가·정치사상을 칸트 철학을 재활용함으로써 극복하려고 나타난 19세기 ...
 
시들해봇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 베버 - 막스 베버 문서로 링크 걸음
1번째 줄:
'''신칸트파'''(新Kant派)는 [[법실증주의]] 및 [[유물론]]적 법·국가·정치사상을 [[칸트 철학]]을 재활용함으로써 극복하려고 나타난 [[19세기]] 말 [[독일]]의 이상주의적 철학 및 법사상의 학파이다. [[실증주의]]나 유물론은 있어야 할 것(당위)과 있는 것(존재)을 분리하지 않고 경험적 [[존재]](現實在) 일변도의 과오를 범하였다 하여 양자를 엄격히 구별하는 [[칸트]]의 2원론에 의한 극복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칸트 철학의 강조하는 점의 상위에 의하여 마르부르크학파와 독일 서남학파(西南學派)로 나누어졌다.
 
마르부르크학파는 선험적 형식주의를 채택하여 순형식화에 힘썼다. [[슈타믈러]]는 이 방법과 학파에 속하는 [[법철학]]자이다. 한편 서남학파는 칸트의 “방법이 대상을 제약한다.”라는 구성주의를 강조하고, 방법에 착안하여 여러 과학을 분류하였다([[리게르트]]의 《자연 과학과 문화 과학》). 또 칸트의 당위와 존재의 2원론을 [[가치]](價値)와 [[실재]](實在)로 바꾸고 양자의 관계에 착안하여 [[과학 방법론]]을 전개하였다(M.[[막스 베버|베버]]의 《사회 과학과 가치 판단》). 이 방법과 학파에 속하는 법철학은 [[라스크]]로부터 비롯하였다. 라스크는 문화 과학 속에서 특히 [[규범]]과 실재에 걸쳐져 있는 [[법률학]]만은 [[법사실학]](法事實學)과 [[법규법학]](法規法學)의 2원적 방법을 가져야 한다는 이론을 세웠다. 신칸트파의 법철학에 다채로운 꽃을 피게 하고 열매를 맺도록 한 것은 라스크를 이은 [[라드부르흐]]이다.
 
== 함께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