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엽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파란악마 (토론 | 기여)
部立이 무슨 의미인지 아시는 분?
파란악마 (토론 | 기여)
다시 일단 저장
28번째 줄:
:[[엔랴쿠 천황|엔랴쿠]]({{lang|ja|延暦}}) 2년([[783년]]) 무렵에 [[오토모노 야카모치]]의 손에 의해 완성되었다.
 
다만, 이 만요슈는 공표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엔랴쿠 4년([[785년]])에 야카모치가 죽자 곧 [[오토모노 쓰기히토]]({{lang|ja|大伴継人}})에 의한 [[후지와라노 타네쓰구]]({{lang|ja|藤原種継}}) 암살 사건이 발생해, 야카모치도 연좌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요슈'라는 가집의 편찬은, 특별 사면에 의해 야카모치의 죄가 용서된 엔랴쿠 25년([[806년]])에 간신히 완성되었다고 봐도 된다수 있다.
 
==구성==
전체 20권이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 있게 편집되지는 않았고, 몇 권씩 편집되어 있던 것을 그러모아 하나의 가집으로 만들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노래의 수는 4500여 수로부터 이루어지지만, 다른 판본의 사본에 의거해 세는 방법도 있고, 노래 수에 관해서도 갖가지 설이 있다.
歌の数は四千五百余首から成るが、[[写本]] 이전의 책に基づく数え方があり、歌数も種々様々の説がある。
 
각 권은 연대순이나 부류별로부류별, 구별되고[[구니]]({{lang|ja|国}})별 등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또한 각 권의 노래는 어떠한 분류로무언가의 나눌부류로 나누어져 있다.
 
내용상으로는 [[소카조카]]({{llanglang|ja|雑歌/ぞうか}})・[[소몬카]]({{llanglang|ja|相聞歌/そうもん}})・[[반카]]({{llanglang|ja|挽歌/ばんか}})의 3개의3대 분류로 되어 있다.
 
*소카조카({{lang|ja|雑歌}})): "여러 가지로 표현된"갖가지 노래"(くさぐさのうた)라는 뜻으로 相聞歌소몬카挽歌반카 이외의 노래가 収められている。공통된담겨 소재를있다. 공적인 성질을 가진 궁궐과 관계된 노래, 여행을 하던여행 중에 읊은 노래, 자연이나 사계절을 찬미한 노래가노래 많다등이다.
*소몬카({{lang|ja|相聞歌}}):  "소몬"(相聞)이라는 단어는 서로 겪은 소식을 통해서 서가문답을 안부를교환하는 묻는것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말하며, 주로 남녀의 사랑을 다루는데읊는 문답 형식의 사용한다노래이다.
*반카({{lang|ja|挽歌}}): 棺を曳く時の歌。 관을 끌 때의 노래. 망자를 애도하고 추모하는 노래이다.
 
표현 양식에서는양식으로는,
 
*기부쓰친시({{llang|ja|寄物陳思/きぶつちんし}}): - 사랑의 감정을 자연으로 비유해서 표현한 양식이다표현.
*세이주쓰신쇼({{llang|ja|正述心緒せいじゅつしんしょ}}): -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양식이다표현.
*에이부쓰카({{llang|ja|詠物歌/えいぶつか}}): 사계절을- 표현한사계절을 양식이다표현.
*히유카({{llang|ja|譬喩歌/ひゆか}}): - 자신의 생각을 ものに託して 표현등으로 나눌 수사물에 있는빗대어 양식이다표현.
 
등으로 나누어진다.
항14だけが東歌(あずまうた)의 이름을 갖고 있다. 이 권에는、上総・下総・常陸・信濃四国の雑歌、遠江・駿河・伊豆・相模・武蔵・上総・下総・常陸・信濃・上野・下野・陸奥十二国の相聞往来歌、遠江・駿河・相模・上野・陸奥五国の譬喩歌・国の分からないものの雑歌、相聞往来歌・防人歌・譬喩歌・挽歌などが収められている。
 
항14だけが14권만이 아즈마우타({{lang|ja|東歌/あずまうた)의}})의 이름을 갖고 있다. 이 권에는, 上総・下総・常陸・信濃四国の雑歌、遠江・駿河・伊豆・相模・武蔵・上総・下総・常陸・信濃・上野・下野・陸奥十二国の相聞往来歌、遠江・駿河・相模・上野・陸奥五国の譬喩歌・国の分からないものの雑歌、相聞往来歌・防人歌・譬喩歌・挽歌などが収められている。
 
가체는 단가(短歌)・장가(長歌)・旋頭歌의 3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짧은 구는 5음절로 표기되고, 긴 구는 7음절로 표기된다.
*단가는 57577의 5구로 구성되어 있다.
*장가는 수십구에서 20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장가의 마지막에는 구별되어 있고 1수가 一首か数首添える短歌は反歌と呼ばれている。
*세도카({{llang|ja|旋頭歌/せどうか}})는 단가에 1번 편성한 것을 다시 더한 형태로 형식은 2번 반복한 형태이다. 머리에 해당되는 3구를 꼬리의 3구の次に置くことも出来るところから旋頭歌とついたといわれ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