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행동 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4번째 줄:
 
이러한 단계들은 캔퍼(Kanfer)와 새슬로(Saslow)가 고안한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바꿔야 할 행동이 과한 건지 부족한 것인지, 그리고 치료를 받은 적 있는지를 판별한 후에, 심리사는 개입(intervention)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도 판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목표가 행동을 감소시키는 거였다면, 기준치에 호응하여 감소가 있었을 것이지만, 임계행동(critical behavior)이 기준치에 혹은 기준치 이상이라면, 개입은 실패한 것이다.
 
 
평가 단계는 다음과 같다.<p>
줄 34 ⟶ 33:
 
재개념화 단계는 인지행동치료의 인지치료 부분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호프만(Hofmann)은 근대 인지행동치료 접근법을 간략 기술하였다.
 
=== 치료 프로토콜 ===
인지행동치료 프로토콜은 다양하며, 포로토콜 간에는 중요한 유사성이 있다. '인지행동치료'라는 용어에는 주의분산(distraction), 형상화(imagery), 동기부여 자기대화(motivational self-talk)와 같은 자기지시(self-instruction), 안정화(relaxation) 또는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적응적 대처전략 개발(부정적 혹은 자멸적 사고 최소화), 고통과 목표설정에 있어서 부적응적 신념 개선 등과 같은 다양한 개입 방식이 포함된다. 치료는 특정 기법 추동의 심리적 장애에 대한 간편하고 직접적이며 기한이 정해진 치료법과 함께 책자로 작성되기도 한다. 인지행동치료는 개별치료와 집단치료로 이용되며, 기법들은 자기계발 적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임상가와 연구자 일부는 인지재구축(cognitive restructuring)과 같은 인지치료에 중점을 두지만, 일부는 생체내 노출치료(in vivo exposure therapy)와 같은 행동치료에 중점을 두기도 한다. 심상적 노출치료(imaginal exposure therapy) 등은 인지와 행동 두 접근방식을 적절히 조화시킨다.
 
== 방법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