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약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imsyndy (토론 | 기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48번째 줄:
<br />
=== 청교도의 언약신학 ===
청교도에게 있어 언약신학은 그들의 신학에 있어 핵심적이다. 이 신학에 대해서 집필한 자는 [[패트릭 길레스피]](1617-1675)로 행위언약과 은혜언약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심도있게 다루었다. <ref>{{서적 인용|url=https://www.worldcat.org/oclc/802070523|제목=A Puritan theology : doctrine for life|성=Beeke, Joel R., 1952-|위치=Grand Rapids, Michigan|isbn=978-1-60178-166-6}}</ref>
 
* 두 언약의 목적은 공히 하나님의 영광이다.
* 아담은 본성의 씨의 머리이고, 그리스도도 그의 영적인 씨의 머리이다. 이것을 언약론 또는 대표론(Federalism)이라고 한다.
* 두 언약 모두 완전한 의(perfect righteousness)를 요구한다.
 
청교도 특히 뉴잉글랜드의 언약신학의 어원을 찾는 작업은 [[페리 밀러]]의 [[17세기 뉴잉글랜드의 지성]]에서 비롯하였는 데, 비어마는 언약의 정치,사회적 적용에 대한 해석이 루터와 칼빈에게서 온 것이 아닌 쯔빙글리와 불링거의 스위스 개혁파에서 왔다고 주장하였다.<ref>{{저널 인용|제목=Federal Theology in the Sixteenth Century: Two Traditions?|저널=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성=Bierma|이름=Lyle D.|url=https://www.galaxie.com/article/wtj45-2-03|날짜=1983|권=45|호=2}}</ref>
66번째 줄:
 
=== [[페리 밀러]]의 [[청교도]]의 [[언약신학]]평가 ===
밀러는 청교도에 대한 역사적 연구 중에서 세속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펼쳤는 데, 그는 언약신학이 칼빈주의에서 청교도로 가는 과정에서 언약신학이 중심으로 나왔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신학적인 용도나 도구로써 사용되어, 청교도들의 국가관과 구원관에 핵심으로 작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입장에 대하여 [[조지 말스덴]]은 밀러의 증거가 성경으로 뒷받침을 하기 보다는 그의 독창적인 관점이라고 비평하였다.
 
=== [[카를 바르트]]의 언약신학에 대한 비판적 견해 ===
바르트는 이 언약신학이 중세시대에 이미 있었으며, 특히 행위언약에 대한 거부감을 가졌고, 제한적 속죄론에 대하여 반대하였다.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