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 (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문신에서 무신으로 고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46번째 줄:
|참전 = [[전기 왜구]]토벌<br />- [[전라도]] [[지리산]]([[1377년|1377]], 21세),<br />- [[황해도]] [[해주]]([[1389년]]),<br />- [[양광도]] [[아산시|영주]] [[도고산]]([[1390년]]),<br />- [[황해도]] [[신천군|문화현]]([[1393년]]),<br />- [[평안도]] [[녕원군|영녕현]]([[1393년]])
}}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음력 7월 1일]]) 고려국 동북면 화령군 출생 ~ [[1419년]] [[10월 15일]]([[음력 9월 26일]]) 조선국 한성부 인덕궁에서 서거.,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무신이자 [[조선]]의 제2대 [[군주|임금]]이다. [[성]]은 [[이씨|이(李)]], 초명은 방과(芳果), [[휘]]는 경(曔),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 [[자 (이름)|자]]는 광원(光遠)이다. 선양([[선위]])한 뒤에는 아우 [[조선 태종|태종]]이 '''인문공예 상왕'''(仁文恭睿 上王)으로 존호(尊號)를 올렸고, 사후 조선 중후기까지 시호인 '''공정대왕'''(恭靖大王)으로 불리다가 [[조선 숙종|숙종]] 때 정식으로 묘호와 시호를 올려 '''정종 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定宗恭靖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이다.
 
== 생애 ==
정종은 [[1357년|공민왕 6년]](1357) [[7월 18일]]([[음력 7월 1일]])에 태조 이성계와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품이 온화하며 용맹하고 지략이 뛰어나 태조 이성계를 도와 여러 전쟁터에 참여하여 [[왜구]](倭寇, [[왜|왜나라]] 출신 도둑떼 무리)를 토벌하는 등 왜구 격퇴 공적을 세웠다.
 
=== 생애초기 왜구토벌 ===
충정왕 시기부터 본격화 된 왜구의 침입은 [[고려 우왕|우왕]] 시대의 14년간<ref>* 비교, '''[[임진왜란]]'''은 [[1592년|선조 25년]](1592) [[음력 4월 13일]] ~ [[1598년|선조 31년]](1598) [[음력 11월 19일]]까지 '''6년 7개월 동안''' 지속되었다.</ref> 378회(기간평균, 14년간 14일 간격)를 침입할 정도로 절정에 달하였다.
왜구의 침입이 [[고려]] 제30대 왕 [[1350년|충정왕 2년]](1350,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조카)부터 본격화 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고려 우왕]] 때에 이르면 14년간<ref>* 비교, '''[[임진왜란]]'''은 [[1592년|선조 25년]](1592) [[음력 4월 13일]] ~ [[1598년|선조 31년]](1598) [[음력 11월 19일]]까지 '''6년 7개월 동안''' 지속되었다.</ref> 378회(기간평균, 14년간 14일 간격)를 침입할 정도로 절정에 달하였다. 무엇보다도 해안가에서는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여 심지어 [[강화도]]가 약탈당하고 도읍지 [[개경]]까지 위협을 받을 정도였으며 이때 정종의 조부 [[조선 환조|환조대왕]]이 개경에 이주하게 되었는데 때마침 [[양광도]](楊廣道)에 왜구가 침입하여 개경을 위협하여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274832&q=판군기감사 판군기감사] 겸 [[병마사|서강병마사]]로 임명되어 나아가 왜적을 물리쳤다. 왜구는 단순한 해적 정도의 수준이 아니라, 배후에 유력한 영주가 있어 그들에 의해 움직였다. 그 대표적인 영주가 [[대마도]]의 영주였다. 일본정부([[무로마치 막부]] 정권)에게 왜구 통제를 요구하였으나 진전이 없어 강경하게 대처하여 [[홍산대첩]]([[1376년]], [[최영]]), [[진포대첩]]([[1380년]], [[최무선]]), [[황산대첩]]([[1380년]], [[이성계]]), [[관음포대첩]]([[1383년]], [[정지]]), [[대마도 정벌|대마도 1차정벌]]([[1389년]], [[박위]]) 등의 전쟁을 거치고 비로소 소멸되어갔다.<ref>* 출처, 《한민족 전쟁사 총론 (韓民族戰爭史總論)》(저자:이재 외 5인, (주)교학연구사 1988년 초판 출판), 144∼149쪽</ref><ref>* 출처, 《한민족 전쟁사 총론 (韓民族戰爭史總論)》(저자:이재 외 5인, 편저:육사 사학과, (주)교학연구사 1995년 재판본 출판)</ref>
 
이 시기에 정종은 [[1377년|우왕 3년]](1377, 21세) [[음력 5월]]에 [[이성계]]를 수행하여 [[지리산]]까지 노략질하기 위해 진출한 왜구를 치는데 일조를 했으며, 기록상으로 이때부터 국왕 즉위([[1398년|태조 6년]], 1398)까지 약 21년 동안을 왜구토벌 등으로 전쟁터를 누볐다.
59번째 줄:
 
=== 정치국면 전환과 친원파 축출 ===
원나라가 정치 불안 등으로 쇠퇴해 가자 [[고려 공민왕]](恭愍王, 재위 1351~1374)은 몽골식 복장과 머리모양을 폐지하고 [[친원파]](親元派)를 숙청하는 등 일련의 반원 정책을 추진하였다. [[홍건군]]의 침입(紅巾之亂)과침입과 내부 반란을 잘 넘긴 공민왕은 무명의 승려 [[신돈]](辛旽)을 파격적으로 등용하였다. 이는 고려 말의 [[권문세족|고려말 권문세가]](權門勢家) 등의 저항을 정면으로 돌파하면서 [[원 간섭기]] 내내 문제가 되었던 불법적인 토지, 노비 소유 문제, 인재등용의 과거시험, 조세문제 등을 과감히 개혁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친원파가 대부분인 [[권문세족]] 등의 반발 속에 [[신돈]] 정권이 축출([[1371년|공민왕 20년]], 1371)되고 친정(親政)을 시작하였으나 개혁은 끝내 실패로 돌아갔다.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기에 친정을 시작한 개혁군주 [[고려 공민왕]](당시 45세)이 [[자제위]](子弟衛)<ref>* 자제위, [[1372년|공민왕 21년]](1372)에 궁중에 둔 관청. 중국 원(元)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인재 양성을 통해 국권과 왕권을 강화할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권문세족 및 관료층의 자녀들로 구성되었다.</ref> [[홍륜]], [[최만생]] 등에 의해 처참하게 피살된 사건, 즉 [[공민왕 시역사건]]([[1374년]]) 이후부터 [[1383년|우왕 9년]](1383)까지 [[친원파]] [[이인임]](李仁任) 일당에 의해 고려의 조정은 농단, 전횡되고, 친명파(親明派)들은 숙청되고 있었다.
 
이렇듯이 고려말기에는 국내적으로는 권문세족들에 의해 고려 조정이 농단, 전횡되어 피폐되었으며, 국외적으로는 장기간 왜구 침략으로 국가의 존망이 위태로운 시기였다.
 
정종은 [[1386년|우왕 12년]](1386, 30세1386년), [[고려 우왕]]과 [[최영]]의 계획아래 [[의금부|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의 부만호(副萬戶)가 되어, 도만호(都萬戶)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16a2377a&q=왕안덕 왕안덕]{{깨진 링크|url=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16a2377a&q=%EC%99%95%EC%95%88%EB%8D%95 }}(王安德)과 함께 고려 조정을 농단하고, [[전횡]]하던 [[친원파]] [[이인임]](李仁任) 등을 축출시키는데 일조하여 정치국면의 전환을 이루어냈으며, 결국 그의 일당은 분격한 [[고려 우왕]]과 [[최영]]이 주도하고 [[신진사대부|신진세력]]이 협력하여 축출되었다.<ref>* 이인임(李仁任),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시해된 후, [[명덕태후]]([[고려 공민왕|공민왕]]의 친모)와 대립하였으나 끝내 [[고려 우왕]]을 옹립하였다. [[명덕태후]]와 함께 모사하여 [[고려 우왕]]의 생모인 [[반야 (고려)|반야]]를 익사, 살해하였다.([[1376년|우왕 2년]], 1376)<br />{{참고|고려 우왕|반야 (고려)}}</ref>
 
=== 조선 개국 ===
줄 112 ⟶ 110:
* 능(陵)은 추존왕, 추존왕비를 포함한 왕과 왕비의 무덤이다.
*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그리고 왕의 사친(私親: 종실로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임금의 생가 어버이)의 무덤을 일컫는 말이다.
* 묘(墓)는 왕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주, 왕의 서자, 서녀인 군과 옹주, 왕의 첩인 후궁, 귀인 등의 무덤을 말한다.</ref>은 [[황해도]] [[개풍군]] 흥교리(興敎里)에 있는 [[후릉 (조선)|후릉]](厚陵)이다. [[강화도]] 북쪽의 예성강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다. 후대 왕릉과는 달리 [[후릉 (조선)|후릉]](厚陵, 정종과 [[정안왕후]]), [[제릉]](齊陵, 친모 [[신의왕후]]), 후궁 [[성빈 지씨]]의 능은 북한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에서 제외되었다.
 
[[2009년]] 조선시대를 통치한 왕과 왕비의 능(陵) 44기 가운데 40기가 세계유산으로 지정됐는데 빠진 4기는 [[제릉]] ([[조선 태조|태조]]의 왕비 [[신의왕후]]) · [[후릉]](제2대 정종과 [[정안왕후]])과 폐위된 [[조선 연산군|연산군]] (제10대) · [[조선 광해군|광해군]] (제15대)의 능이다. (→[http://www.unesco.or.kr/heritage/wh/korwh_choseon.asp 조선왕릉(유네스코한국위원회)], →[http://whc.unesco.org/en/list/1319/ 조선왕조의 왕릉(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UNESCO)])
 
== 가계 ==
{| class="wikitable"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조선 제2대 국왕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정종''' 定宗 
!출생
!사망
|-
|'''[[1357년]] [[7월 18일]]''' <small>('''[[음력 7월 1일]]''')</small>'''<br>{{국기|고려}} 동북면 함흥부 귀주 사제
|'''[[1419년]] [[10월 15일]]''' <small>('''[[음력 9월 26일]]''')</small>''' (62세)<br>{{국기|조선}} [[한성부]] 인덕궁 정침
|}
 
줄 140 ⟶ 136:
|1335년 - 1408년
|style="text-align:center|[[조선 환조|환조대왕]] 이자춘 <small>桓祖大王 李子春</small><br>[[의혜왕후]] 최씨 <small>懿惠王后 崔氏</small>
|style="text-align:center|'''  조선의 초대 국왕 <br>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
|-
!모
줄 174 ⟶ 170:
!비고
|-
|style="text-align:center|'''빈'''
!빈
|[[성빈 지씨]] 誠嬪 池氏
| rowspan="2" |[[충주 지씨|충주]]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생몰년 미상''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지윤]] <small>池奫</small><br>[[순흥 안씨]] <small>順興 安氏</small>
|
|-
!| rowspan="5" |'''숙의'''
|[[숙의 지씨]] 淑儀 池氏
| rowspan="5" |
줄 206 ⟶ 202:
|
|-
!|'''궁주'''
|style="text-align:center|[[가의궁주]] 유씨<br>嘉懿宮主 柳氏
|
줄 215 ⟶ 211:
 
=== 왕자 ===
《[[연려실기술]]》 기록에 의거하여 나열하였다.
{| class="wikitable"
! colspan="2" |군호
줄 228 ⟶ 224:
|원생 元生
|  ?   - 1461년
|style="text-align:center|성빈 지씨
| style="text-align:center|의혜택주 최씨 義惠宅主 崔氏<ref>{{웹 인용|url=http://royal.kostma.net/Data/images/JSK_WJ_K21036/Large/G002+JSK+KSM-WJ.1908.1111-20090525.K21036-IMG.002_02_001a.JPG|title=《璿源系譜》|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4204829/http://royal.kostma.net/Data/images/JSK_WJ_K21036/Large/G002+JSK+KSM-WJ.1908.1111-20090525.K21036-IMG.002_02_001a.JPG|archive-date=2016-03-04|url-status=dead|access-date=2014-06-24}}</ref>
|
|-
줄 237 ⟶ 233:
|  ?   - 1456년
| rowspan="2" |숙의 기씨
|   style="text-align:center|순창 설씨 淳昌 薛氏
|
|-
줄 244 ⟶ 240:
|의생 義生
|  ?   - 1435년
|   style="text-align:center|남양 홍씨 南陽 洪氏
|
|-
줄 250 ⟶ 246:
|[[선성군]] 宣城君
|무생 茂生
|style="text-align:center|'' 생몰년 미상''
|style="text-align:center|성빈 지씨
|style="text-align:center|오천군부인 정씨 烏川郡夫人 鄭氏<ref>[[정몽주]]의 손녀</ref><br>안강군부인 김씨 安康郡夫人 金氏<br>평산군부인 한씨 平山郡夫人 韓氏
|
|-
줄 259 ⟶ 255:
|귀생 貴生
|  ?   - 1451년
|style="text-align:center|숙의 문씨
|   style="text-align:center|양구 유씨 楊口 柳氏<br>   해풍 장씨 海豊 張氏
|
|-
줄 267 ⟶ 263:
|종생 終生
|1406년 - 1470년
|style="text-align:center|숙의 이씨
|style="text-align:center|의춘군부인 남씨 宜春郡夫人 南氏
|
|-
줄 276 ⟶ 272:
|  ?   - 1449년
| rowspan="3" |숙의 윤씨
|style="text-align:center|여성군부인 송씨 礪城郡夫人 宋氏
|
|-
줄 283 ⟶ 279:
|녹생 祿生
|  ?   - 1450년
|   style="text-align:center|고령 박씨 高靈 朴氏
|
|-
줄 289 ⟶ 285:
|[[석보군]] 石保君
|복생 福生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생몰년 미상''
|   style="text-align:center|원주 김씨 原州 金氏
|
|-
줄 296 ⟶ 292:
|[[덕천군 (1397년)|덕천군]] 德泉君
|후생 厚生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숙의 지씨
|style="text-align:center|고택군부인 이씨 高澤郡夫人 李氏<ref>[[이종무]]의 딸</ref>
|
|-
줄 303 ⟶ 299:
|[[임성군]] 任城君
|호생 好生
|   style="text-align:center|평창 이씨 平昌 李氏
|
|-
줄 309 ⟶ 305:
|[[도평군]] 桃平君
|말생 末生
|   style="text-align:center|용인 이씨 龍仁 李氏<br>   전주 최씨 全州 崔氏
|
|-
줄 316 ⟶ 312:
|보생 普生
|숙의 윤씨
|   style="text-align:center|화순 최씨 和順 崔氏
|
|-
줄 323 ⟶ 319:
|융생 隆生
| rowspan="2" |숙의 기씨
|   style="text-align:center|충주 권씨 忠州 權氏
|
|-
줄 330 ⟶ 326:
|선생 善生
|1419년 - 1475년
|style="text-align:center|양덕군부인 홍씨 陽德郡夫人 洪氏
|
|}
줄 344 ⟶ 340:
|1
|[[함양옹주]] 咸陽翁主
| rowspan="8" style="text-align:center|''생몰년 미상''
|성빈 지씨 또는 숙의 윤씨
| style="text-align:center|밀양위 密寧尉 박갱 朴賡
|
|-
|2
|[[숙신옹주 (정종)|숙신옹주]] 淑愼翁主
|    style="text-align:center|숙의 기씨
|style="text-align:center|양평공 良平公 김세민 金世敏
|
|-
|3
|[[덕천옹주]] 德川翁主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미상''
|   style="text-align:center|변상복 邊尙服
|
|-
|4
|[[고성옹주]] 高城翁主
| style="text-align:center|호평공 胡平公 김한 金澣
|
|-
|5
|[[상원옹주]] 祥原翁主
|    style="text-align:center|숙의 기씨
|   style="text-align:center|조효산 趙孝山
|
|-
|6
|[[전산옹주]] 全山翁主
|     style="text-align:center|''미상''
|   style="text-align:center|이희종 李希宗
|
|-
|7
|[[인천옹주]] 仁川翁主
|    style="text-align:center|숙의 윤씨
|   style="text-align:center|이관식 李寬植
|
|-
|8
|[[함안옹주]] 咸安翁主
|     style="text-align:center|''미상''
|style="text-align:center|월림군 月林君 이항신 李恒信
|
|}<br />
줄 431 ⟶ 427:
* [[유만수 (조선)|유만수]]
* [[왜구]]
* [[건원릉]](健元陵: 부왕 ·[[조선 태조제릉]]·[[후릉 (조선)|후릉]]
* [[제릉]](齊陵: 친모 [[신의왕후]]), [[황해도]] [[개풍군]] 대련리(大蓮里), {{좌표|37|53|47.4936|N|126|33|24.2958|E|region:US-CA_type:landmark|display=inline}}
* [[후릉 (조선)|후릉]](厚陵: 정종과 [[정안왕후]]), [[황해도]] [[개풍군]] 흥교리(興敎里), {{좌표|37|50|1.017|N|126|32|3.1488|E|region:US-CA_type:landmark|display=inline}}
* [[명]]
** [[명 혜종]] ([[1398년]]~[[1402년]]?)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