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농동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소농(小農)은 소토지를 소유한 자영농을 가리키며, 소부르주아로 분류된다. 영세농과 다른 점은, 영세농은 다양한 분야의 업종과 노동 형태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순수 농업 차원에서의 자립성이 존재하지 않으나, 소농은 순수 농업 차원에서의 자립성을 일정 향유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농은 부농의 공격적인 토지 매입과, 자본주의 발전에 따라 언제든 농촌 프롤레타리아 계급으로 떨어질 수 있는 운명에 처한 상태이다.
 
레닌은 소농이 소부르주아이며, 혁명성이 낮지만 프롤레타리아의 주요한 동맹으로서 자유주의 혁명뿐이 아닌, 사회주의 혁명에서도 노동계급이 인입해야 할 계층으로 여겼다. 그 이유는, 소농이 반(半)봉건 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위 계층의 부르주아에게 상당 부분의 이익을 침해당하고 있다는 의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소농은 충분히 프롤레타리아의 경계에 서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언제든 프롤레타리아적 계급의식을 갖출 수 있는 존재라고 판단할 수 있다. 멘셰비키파의 경우는 레닌의 이론에 반대하고 소농은 엄연한 부르주아이며, ‘노동계급의 적’이라고 보았다.
 
“소농이 사회주의 혁명에서까지 포섭될 수 있는 계층인가?”에 대한 문제에서 멘셰비키와 레닌의 볼셰비키는 상당한 논쟁을 벌였다. 멘셰비키파의 경우는 레닌의 이론에 반대하였으며, 소농은 엄연한 부르주아이며, ‘노동계급의 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 중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