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삼품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는 [[통일신라]]에서 시행된 한반도 최초의 관리 선발제도 즉, 준과거(準科擧)로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라고도 한다. [[신라]]의 [[국학]](國學)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치러졌으며 선발 요건은 학문 능력이었고, 특히 《[[효경]]<ref>가족과 나라에 헌신하고 왕에게 충성하는 효(孝)와 충(忠)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ref>》을 가장 우선하였다.
 
[[원성왕|열조 원성대왕]] 4년([[788년]]) 종래의 [[골품제]]를 기초로 한 벌족(閥族) 본위의 인재 등용을 지양하여 학벌 본위의 관리 채용을 지향하기 위해 독서삼품과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응시자는 [[독서]]의 성적에 따라 상·중·하의 삼품(三品)으로 나누어 채용되었다. 즉 ① 《[[춘추좌씨전]]》, 《[[예기]]》 또는 《[[문선]]》을 읽어서 능히 그 뜻을 통하고 《[[논어]]》, 《[[효경]]》에 밝은 자를 상품(上品), ② 《[[예기|곡례]](曲禮)》, 《[[논어]]》, 《[[효경]]》을 읽은 자를 중품(中品), ③ 《[[예기|곡례]]》, 《[[효경]]》을 읽은 자를 하품(下品)으로 구별하였다. 그러나 만일 《[[사서오경|오경]](五經)》, 《[[삼사 (역사서)|삼사]](三史)》, [[제자백가|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에 통한 자가 있으면 특품(特品)으로 우선나누어 기용하였다채용되었다.
 
골품제의 제약과 [[진골]] 귀족의 견제에 의해 큰 실효는 거두지 못하였다. 하지만 독서삼품과로 인해 전투 중심의 [[신라]] 사회를 [[문치주의]]로 바꾸는 계기가 되어 훗날 [[고려]]가 [[유교]]를 확립하고 [[과거 제도]]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시험과목 ==
* 상품(上品) : 《[[춘추좌씨전]]》, 《[[예기]]》 또는 《[[문선]]》을 읽어서 능히 그 뜻을 통하고 《[[논어]]》, 《[[효경]]》에 밝은 자.
* 중품(中品) : 《[[예기|곡례]](曲禮)》, 《[[논어]]》, 《[[효경]]》을 읽은 자.
* 하품(下品) : 《[[예기|곡례]]》, 《[[효경]]》을 읽은 자.
* 특품(特品) : 《[[사서오경|오경]](五經)》, 《[[삼사 (역사서)|삼사]](三史)》<ref>≪[[사기 (역사서)|사기]](史記)≫•≪[[한서]](漢書)≫•≪[[후한서]](後漢書)≫</ref>, [[제자백가|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에 통한 자가 있으면 우선 기용한다.
 
== 의의 ==
독서삼품과는 관리의 임명을 기존의 골품에 토대를 둔 귀족세력의 상하관계에서 결정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윤리와 정치사상으로서의 유학을 공부한 학문적 능력에 기준을 두었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크다. 비록 신라 하대에 이르러 신분적 폐쇄성이 증가하고 도당유학생의 적극적인 대두로 인해 독서삼품과가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고려시대에 본격적으로 시행된 과거제도의 선구적 제도로서의 역사적 위치와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3897&cid=46620&categoryId=46620 "한국민족대백과"]</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