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보가드로 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상수 정보
|이름=아보가드로 상수 ''N''<sub>A</sub>, ''L''
|종류=[[물리 상수]]
|값=6.022<span style="margin-left:.25em">1</span>40<span style="margin-left:.25em">7</span>6
9번째 줄:
}}
 
'''아보가드로 상수'''({{llang|en|Avogadro constant}}, ''N''<sub>A</sub>)는 물질량을 포함한 1[[몰 (단위)|mol입자수]] 구성 입자([[원자물질량]],과 관계짓는 [[분자비례상수]],이다. [[이온SI 단위]] 등)나타내면, 속에 들어 있는 입자의 수이다. 이아보가드로 상수는 [[국제단위계]]에서 정확히 6.02202214076×10<span style="margin-left:.25em"sup>123</spansup>40<span&nbsp;[[몰 style="margin-left:.25em"(단위)|mol]]<sup>7−1</spansup>6<span style="margin:0값을 가진다.15em 0[[무차원 수]]인 6.25em">×</span>1002214076×10<sup>23</sup>&nbsp;mol을 '''아보가드로 수'''({{llang|en|Avogadro number}})라고 한다. [[입자수]] ''N'', [[물질량]] ''n'', 아보가드로 상수 ''N''<supsub>−1A</supsub> 값을대하여 가진다<math>N=nN_A</math>가 성립한다.
 
물질의물질량의 양을SI 나타내는단위인 ''(mole, 단위표기기호: mol)은 그동안 '[[탄소-12]] 12g12&nbsp;g 속에 들어있는 원자의 개수물질량'으로 정의됐다. 하지만 2018년2019년 몰의 기준도 탄소-12가 아니라 정확하게 정의된 아보가드로 상수 ''N''<sub>A</sub> = 6.022 140 76 × 10<sup>23</sup>&nbsp;mol<sup>−1</sup> 으로 재정의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hellodd.com/?md=news&mt=view&pid=63350|제목=[헬로디디]탄소는 잊어라···'아보가드로 상수'로 1 mol 재정의|뉴스=헬로디디|언어=ko|확인날짜=2018-09-13}}</ref>
 
이 물리 상수의 이름은 19세기 이탈리아의 과학자 [[아메데오 아보가드로]]를 딴 것이다. [[장 바티스트 페랭]]이 이 이름을 처음 사용했다. 페랭은 이 수를 "아보가드로 상수"로 불렀다. 이 상수의 값은 1865년 [[요한 요제프 로슈미트]]가 [[이상 기체 법칙]]을 이용해 계산해 냈으며, 그래서 독일어 권에서는 이 값을 "로슈미트 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로슈미트 수는 원래 1&nbsp;cm<sup>3</sup> 내에 들어있는 입자 개수에 붙여진 이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