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군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세계화|날짜=2019-09-23|1=대한민국}}
{{군사 계급}}
'''대장'''(大將/육군, 공군, 해병대 : General/해군, 해안경비대 : Admiral) [[군대 계급]] 중 하나이다. [[중장]]의 위, [[원수 (군사)|원수]]의 아래에 위치한다. 현재 [[대한민국 국군|대한민국 군]] 포함 대부분의 군에서는군대에서는 실질적으로 가장 높은 계급이다. 2019년2020년 기준 대한민국의 4성 장군은 합참의장[[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한미연합사[[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한미연합부사령관]], 육군[[대한민국의 지상작전사령관|육군지상작전사령관]], 육군[[대한민국의 2작전사령관으로제2작전사령관|육군제2작전사령관]]으로7명이었다7명이다.
[[파일:2012년 6월 공군 6전대 헬기(2) (7982282375).jpg|섬네일|군용 헬기]]
'''대장'''(大將/육군, 공군, 해병대 : General/해군, 해안경비대 : Admiral)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다. [[중장]]의 위, [[원수 (군사)|원수]]의 아래에 위치한다. 현재 [[대한민국 국군|대한민국 군]] 포함 대부분의 군에서는 실질적으로 가장 높은 계급이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의 4성 장군은 합참의장, 각 군 참모총장,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육군 지상작전사령관, 육군 2작전사령관으로 총 7명이었다.
 
== 진급 ==
다른 계급과는 달리 대장은 진급하기 위한 조건이 매우 까다로우며 진급 난이도도 매우 높다. [[소위]]로 임관하면 중장까지 [[소대장]]이나 그와 상응하는 지휘보직을 모두 이수해야 하며 [[소대장]], [[중대장]], [[대위]]급 참모, [[소령]]급 참모, [[대대장]], [[중령]]급 참모, [[연대장]], [[사단 (군사)|사단]] [[참모장]], [[사단장]]<ref>병과가 [[기갑]]일 경우 기계화보병사단장 보직 임무를 반드시 수행해야만 한다. 현재로서는 [[박찬주 (1958년)|박찬주]]가 유일한 기갑 대장이다.</ref>, [[군단]] [[참모장]], [[군단장]]을군단장을 모두 거쳐야 대장에 진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 성립된다. 또한 병과가 [[보병]]일 경우에 한해서 [[특전사]]에서 복무한 경력이 있어야 한다. 그런 고로 [[소위]] 및 [[중위]] 시절 [[특전사]] [[부중대장]]을부중대장을 지냈으면 소대장 경력이 없기 때문에 대장으로 진급하지 못하며 그 때문에 대장으로 진급한 장성들의 이력을 보면 주로 지휘 보직이 적은 [[소령]] 계급 시절에 특전사에서 복무한다.
 
== 혜택 ==
군에서 가장 높은 계급인 대장은 많은 혜택을 받는다. 첫 번째는 높은 급여이다. 대장의 월급은 2019년 기준 817만 원 정도라고 한다. 이는 준장보다 약 1.7배 많은 수준이다. 이 밖에도 정근수당, 관리업무수당, 직급보조비, 자녀교육비 등의 수당을 받는다. 두 번째는 의전 서열이다. 4성 장군은 군 내 의전 서열 2위로 국방부 장관 바로 다음이다. 부대 방문시 예포 19발로 환영을 받는다. 셋째, 전용 차량이 지급된다. 지휘관 전용 지프차 외에도 3800cc급 승용차가 지급된다. 또한 이동 시에 군용헬기나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다섯 번째는 관사이다. 대장으로 진급하면 약 200평 정도의 관사를 지급받는다. 4성 장군의 관사는 보안상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밖에도 국군복지단에서 운영하는 호텔, 콘도 등에는 1~2등급 객실이 항상 비어있다. 마지막으로 4성 장군은 죽어서도 예우를 받는다. 4성 장군이 죽으면 현충원에 묻히게 되는데 현충원에 묻히는 일반 묘가 1평 정도인데 4성 장군의 묘는 8평이다.
 
== 계급장 ==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모두 4성 장군. 단, (해병대의 경우 대장은 실존하지 않으며 해병대 최선임자인 해병대 사령관은 중장이다.<ref>해병대 사령관은 해군 예하에 편성되어 있는 해병대라는 조직 전체를 지휘하는 직책이며, 해병 장교로서 갈 수 있는 최고 계급으로 보면 된다. 그래서 4성 장군, 제독인 참모총장보다는 낮지만 중장 중 유일하게 참모총장급 권력과 예우를 받기 때문에 국군 대장 다음으로 중장 중 서열이 가장 높은 것이다. 그런데 합참, 국방부에 있는 2차 보직으로 가면 국군 의전상 해병대 사령관보다 의전 서열 순위가 낮기 때문에 2차 중장 보직을 받을 수 없는 것이며, 혹여나 대장으로 진급하더라도 1차 보직인 참모총장은 당연히 수행할 수 없을 뿐더러, 연합군 부사령관의 경우도 육군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갈 수 있는 자리가 현 상황에서는 없다고 보면 된다. 더군다나 합동참모의장의 경우 국군 대장 2차 보직으로서 1차 보직을 마치고 영전하기 때문에 해병대 사령관이 대장으로 진급해서 바로 합참의장으로 갈 수도 없는 것이다. 이렇듯 해병대 장성급 인사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는데 2019년 4월 군인사법 개정으로 해병대 내에서도 대장 진급이 법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이 남아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해병대 내 대장 진급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ref>)
 
{|class-wiki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