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유 조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BULLET. (토론 | 기여)
Meunier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정리}}
'''베르사유 조약'''({{lang|en|Treaty of Versailles}}, {{llang|fr|Traité de Versailles}}, {{llang|de|Friedensvertrag von Versailles}})은 [[1919년]] 6월, [[독일 제국]]과 [[연합국]] 사이에 맺어진 [[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협정이다. [[파리 강화 회의]] 중에 완료되었고 협정은 [[1919년]] [[6월 28일]] 11시 11분에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서명되어 [[1920년]] [[1월 10일]] 공포되었다. 조약은 [[국제 연맹]]의 탄생과 [[독일]] 제재를 규정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독일]] 제재는제재에 관한 안건은 [[파리 강화 회의]]중 다뤄지지 않았었다.
 
[[Image:Treaty of Versailles Signing, Hall of Mirrors.jpg|350px|thumb|right|베르사유 조약의 서명, 1919년]]
줄 11 ⟶ 12:
[[파일:William Orpen - The Signing of Peace in the Hall of Mirrors, Versailles.jpg|210px|thumb|right|베르사요 조약, 윌리엄 오르펀]]
 
모든 나라들의 지도자들을 평화 조약 체결에 초대했지만 패전국에는 지도자가 없었으며, 러시아는 [[1917년]]에 전장에서 떠난 상태였다. 몇몇 인사들은 대단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는데, 4개 승전국의 지도자들이 그들에 해당된다. [[프랑스]]의 [[조르주 클레망소]], [[영국]]의 수상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이탈리아]]의 [[http://en.wikipedia.org/wiki/Vittorio_Emanuele_Orlando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미국]]의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바로 그들이다.
 
지도자들은 서약을 개별적으로 작성하였고, 각각의 주장은 다양하였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자신이 새롭게 구상한 14개조 평화원칙을 국제 사회에 공표하기를 원했다. 윌슨은 새로운 외교 관계는 사람들 스스로 주권을 갖고 국가간의 협력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연합국]]의 승리에 그의 군대가 큰 역할을 했을므로 그에게 대단한 명성이 있었고 정치적으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줄 18 ⟶ 19:
 
그들 사이의 타협은 그 누구도 완벽하게 만족시키지 못했고, 조약은 항상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비판을 받아왔다. "모든 것은 너무 빠르게 처리되었고 전쟁의 끔찍한 현실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에 의해 엉망으로 처리되었다.", "강압적인 이 평화는 새로운 증오를 키울 것이다." 또는 "[[유럽]]의 경재 재건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논의되지 않았다."
 
===피우메 사건===
조약의 서명은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리예카|피우메]]를 점령해서 몇개월 늦춰졌다. [[1920년]] [[12월]]이되어서야 [[이탈리아]] 해군의 참여로 [[리예카 자유국|피우메 자유국]]을 건립하는 [http://en.wikipedia.org/wiki/Treaty_of_Rapallo,_1920 라팔로 조약]이 채결되었고 이 '''라팔로 조약'''은 '''베르사유 조약'''의 공식 발표를 가능케하였다.
 
==조약의 내용==
줄 40 ⟶ 44:
* 군대는 육해군을 합쳐 10만 명으로 제한하며, 항공 전력은 금지한다.<ref> 독일 공군은 1935년에 정식으로 창설되었기 때문에 베르샤유 조약에서는 거론하지 않았다. </ref>
* 새로운 전차의 개발 및 배치를 금지한다.
* [[라인 강]] 왼쪽지역 그리고 [http://en.wikipedia.org/wiki/Koblenz 코블렌츠], [[마인츠]], [[쾰른]]을 비무장한다.
 
===경제 관련 규정===
줄 51 ⟶ 55:
 
조약의 4번쨰 부분은, 배상자의 신분인 [[독일]]은 [[독일 제국]]의 식민지들은 포기하라고 명령 받았따.
[[연합국]]내부에서도 [[아프리카]]독일 식민지 근처에 식민지를 갖고 있던 식민지 강국들([[대영제국]], [[프랑스]], [[벨기에]], Union[http://en.wikipedia.org/wiki/Union_of_South_Africa of South Africa남아프리카연방])이 [[카메룬]], 독일 동아프리카 식문지(지금의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남서아프리카 지역(지금의 [[나미비아]]을 나눠 가졌다. 독일남서아프리카식민지는 [[1914년]]~[[1915년]] 이미 Union[http://en.wikipedia.org/wiki/Union_of_South_Africa of South Africa에남아프리카연방]에 의해 군사적으로 정복되었었다. 이에 이어, [[독일]]은 상업적 이익(은행의 식민지 지점들, 관세협정들) 을 포기하여야했다.
 
== 다른 [[동맹국]]들과의 조약 ==
[[동맹국]]들과의 조약은 패전국 별로 나눠서 서명되었다.
[[http://en.wikipedia.org/wiki/Treaty_of_Saint-Germain-en-Laye_(1919) 생제르맹 조약]]과 연계된 [[트리아농 조약]]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다음과 같이 분할했다:
*[[오스트리아]]는 [[독일어]]권 인구가 거주하는 토지를 줄인다.
*[[헝가리]] 정부의 독립
줄 65 ⟶ 69:
 
[[Image:Map Europe 1923-fr.svg|thumb|center|500px|1923년의 유럽지도]]
 
==사회적 파장과 결과==
[[파일:Bundesarchiv Bild 183-R02190, Deutsche Reparationslieferungen.jpg|thumb|200px|베르사유 조약이후 전후 재건을 위한 물자들을 실은 기차들]]
 
'''베르사유 조약'''은 여러가지 비평을 받았다. 베르사유 조약이 낳은 실망 또한 베르사유 조약이 야기시킨 불공정함은 [[유럽]]의 정치에 수십년 후에도 중요한 역할은 하였다.
 
[[미국 상원]]은 [[미국]]이 [[국제 연맹]]에 가입하는 것의 비준을 거부했다. 즉 [[미국 상원]]은 [[미국]]이 [[국제 연맹]]에 들어가는 것을 원치 않았다. 이것은 바로 이 [[국제 연맹]]이란 기구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프랑스]]는 조약으로 이익을 본 중요국가들중 하나이다.(알자스로렌의 반환, 독일 서부지역의 비무장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분할 그리고 재건을 위한 막대한 경재적 지원) 하지만 [[프랑스]]는 만족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프랑스]]는 영구적인 [[라인 강]] 좌안지역의 지배권을 원했기 때문이다.
베르사유 조약 435번 항목은 [[1860년]] 체결된 [http://en.wikipedia.org/wiki/Treaty_of_Turin 토리노 조약]에서의 영토분할 중 일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435번 항목은 [http://en.wikipedia.org/wiki/Savoy 사부와]의 영토분할에 관련된 비무장 지대들은 제거했다. [[1932년]] [[프랑스]]는 [[헤이그]] [[국제사법재판소]]로부터 토리노 조약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고 [http://en.wikipedia.org/wiki/Savoy 사부와]와 [[스위스]]에 《무력을 앞세워》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판결받았다.
 
불평은 [[이탈리아]]에서도 강하게 표출되었다. 사람들은 1차대전이《절단된 승리》로 끝났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연합국]]이 [http://en.wikipedia.org/wiki/Istria 이스트리아 ], [[달마티아]], [http://en.wikipedia.org/wiki/Province_of_Trento 트렌토 지방]의 영토 분할에 관해서 약속한 것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파시즘|파시스트]]들은 연합국에 대한 이 배신감을 이용하는 방법을 알았고 그것을 독을 품은 [[민족주의]]의 밑거름으로 삼았다.
 
===재건===
재건을 위해 [[바이마르 공화국]]에게 막대한 비용을 부담했다. 심각한 경제적 고충에 부딪히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는 금방 전쟁 보상금을 지불의 불가를 나타냈다. [[연합국]]은 그래서 자연자원을 요구했다. [[독일]]의 자연재화 배달이 늦어지자, [[프랑스]]와 [[벨기에]]는 [[1923년]] [http://en.wikipedia.org/wiki/Ruhr_Area 루르 지방]을 점령한다. 이것은 또 다시 [[독일]]의 경제를 불안정화로 내몰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은 해결되지 않았다. [[미국]]의 감독 아래 [http://en.wikipedia.org/wiki/Dawes_Plan 도스안]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독일]]이 부담해야 하는 부담그이 역시 너무 높게 설정되있었고 이것은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게 만든다. [[1929년]] 완성되어진 [http://fr.wikipedia.org/wiki/Plan_Young 영안]이 그것이다. [[독일]]의 부담금은 감소되었고 상환 날짜들도 모두에게 합리적으로 조정되었다. [[독일]]에서는 재건사업이 오랜기간동안 정치적 논쟁거리가 되었고 강렬한 복수심을 조장했다. [[1929년]] 정부에 반대하는 한 탄원서가 접수가 되었다. 이 탄원서는 전쟁보상금 지급을 반대하는 법의 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주장했다. 하지만, 국민투표에 참여율이 매우 낮았고 투표자의 약 95%가 반대하였다.
 
[http://fr.wikipedia.org/wiki/Plan_Young 영안]에 따르면 전쟁보상급은 [[1988년]]까지 지급된다. 하지만 [[대공황]]과 함께 지급이 중단된다. [[1933년]] [[나치즘|나치]]가 [[독일]] 권력을 잡고 재건에 관한 모든 것을 거부한다. 전쟁보상금 지급이 최종적으로 중단되었고 [[독일 제국]]의 식민 영토들은 [[1990년]] 독립을 한 [[나미비아]]을 제외하고 [[1960년]] 초반 [[아프리카]]인들의 독립 이전까지 유지 되었다.
 
==베르사유 조약 원본==
 
'''베르사유 조약''' 원본은 [[프랑스]] 외무부의 문서보존실에 보관되었으나 히틀러의 명령으로 빼앗겨 사라졌다.<ref>http://www.lefigaro.fr/actualite-france/2008/12/20/01016-20081220ARTFIG00214-le-demenagement-polemique-des-archives-du-quai-d-orsay-.php 2008년 12월 20일 피가로</ref>
 
줄 74 ⟶ 96:
 
== 바깥 고리 ==
* {{fr}} [http://www.diploweb.com/ue/husson.htm J. Bainville, J.M. Keynes : 베르사유 조약의 평가] Edouard Husson, 독일전문가
{{위키자료집|베르사유조약}}
* {{fr}} [http://hypo.ge-dip.etat-ge.ch/www/cliotexte/html/traite.de.versailles.html 베르사유조약과 관련되 텍스트들]
{{-}}
* {{fr}} [http://www.crdp-reims.fr/memoire/bac/1GM/connaissances/reparations.htm 1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 연표]
{{제1차 세계 대전}}
* {{fr}} [http://www.herodote.net/Textes/tVersailles1919.pdf 베르사유 조약]
 
{{토막글|유럽사}}
 
[[분류:19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