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번째 줄:
'''통섭'''이란 말은 20세기말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에드워드 오스본 윌슨]]의 1998년 저서 《통섭, 지식의 대통합》을 통해 다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사회생물학》(1975년)을 저술한 인본주의적 생물학자로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간격을 매우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또한 C.P 스노우의 1959년 작 <두 문화와 과학 혁명>에서도 다루어진 바가 있다. 윌슨은 과학, 인문학과 예술이 사실은 하나의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분리된 각 학문의 세세한 부분을 체계화시키는 데에만 목적을 두지 않는다. 모든 탐구자에게 그저 보여지는 상태뿐만이 아닌 깊이 숨겨진 세상의 질서를 발견하고 그것을 간단한 자연의 법칙들로 설명하고자하는 시도이다. 이러한 점에서는 반대방향으로 연구하지만 오히려 [[환원주의]]에서 추구하는 것과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윌슨의[[윌슨]]의 제자인 [[이화여대]]의 [[최재천 (동물행동학자)|최재천교수]]가 《통섭, 지식의 대통합》을 번역하여 한국에 통섭의 개념을 본격적으로 알리기 시작하였다. 통섭이라는 단어는 [[성리학]]과 [[불교]]에서 이미 사용되어온 용어로 '큰 줄기를 잡다'라는 뜻을 지닌다.
 
한편 [[상지대]]의 [[최종덕]] 교수는 [[한국 의철학회]]에서는 통섭이 마치 학문간 동등하고 상호적이며 양방향적 관점의 합일로 오해하게 하고 있으나 원래 윌슨의 개념은 인문학이 자연과학에 흡수되는 통합을 의미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8061732131&code=960100]
또한 2006년 창립된 [[한국 의철학회]]는 의학과 철학을 아우르는 학문과 실천과 덕성으로 구성된 의(醫)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하고 학술지와 학술대회를 열고 있다.[http://www.philomed.or.kr/page/page.php?p=a2]
 
[[웬델 베리]]는 그의 책 《[[삶은 기적이다]]》에서 [[윌슨]]의 위 책 《통섭》이 기계적 [[환원주의]]에 근거해서 세계를 파악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한다.
 
== 참고서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