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잔글 49.172.64.24(토론)의 편집을 2001:2D8:E19D:172D:0:0:2E83:80A5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1번째 줄:
{{다른 뜻|개성 첨성대|경주 첨성대|개성에 위치한 첨성대}}
으하하핳
{{문화재 정보
| 이름 = 경주 첨성대<br /><small>慶州 瞻星臺<br />Cheomseongdae Observatory, Gyeongju</small>
| 그림 = Cheomseongdae-1.jpg
| 그림설명 =
| 국가 = {{KOR}}
| 유형 =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 ~ 제100호)#제1호 ~ 제100호|국보]]
| 번호 = 31
| 지정 = [[1962년]] [[12월 20일]]
| 해지 =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839-1번지
| 시대 = [[신라]]
| 소유 = 국유
| 참고 =
| 면적 =
| 수량 = 1기
| 전승지 =
| 전승자 =
| 지도 = 대한민국
| 띄움 =
| 꼬리표 = 경주 첨성대
| 너비 =
| 대체지도 =
| 설명 =
| 위도도 = 35.834674
| 경도도 = 129.219042
| 웹사이트 =
| 문화재청 = 11,00310000,37
}}
 
'''첨성대'''(瞻星臺)는 [[경상북도]] [[경주시]] [[반월성]] 동북쪽에 위치한 [[신라]] 중기의 석조 건축물로, [[선덕여왕]]때에 세워진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알려져 있다.<ref>“是王代 鍊石築瞻星臺” (《[[삼국유사]]》 권1, 기이1, 善德王知幾三事).</ref><ref name="안내문">현지 안내문</ref>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 ~ 제100호)|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으핳핳
 
== 구조 및 위치 ==
첨성대는 신라의 왕궁이 있었던 월성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362개<ref group="주">전체 돌의 수는 세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 362라는 수가 1년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음력]] 1년은 약 354.37일이며, 당시 신라에서는 양력을 사용하고 있었다.</ref>의 [[화강암]] 벽돌을 사용하여 원통형으로 축조하였다.<ref group="주">홍사준(1963)의 실측에 의하면 원통형에 사용된 석재는 362매이며, 그 이외에도 지대석 8매, 기단석 12매, 상부정자석 2단 8매, 중간정자석 총 8매, 남측 창문의 문주석 2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f> 높이는 9.4미터, 밑면 지름 5.17m, 지대석 한 변 길이는 5.35m이다. 돌로 27층을 쌓았으며, 꼭대기에는 다시 우물 정(井) 모양의 2층의 천장돌이 있다. 13층에서 15층에 이르기까지 정남향의 네모난 문이 있고, 이 문의 아래로 12층이 있고 위로 13층이 있으므로 첨성대 위아래의 중간에 문이 위치한다. 이 문에 사다리를 걸쳐 사람이 오르내렸다.<ref name="안내문"/> 내부에는 12단까지 흙이 채워져 있고 여기에 사용된 돌의 수는 362개이다. 내부에 19단과 20단, 25단과 26단이 장대석을 이루고 있다.
 
=== 보존상태 ===
2005년 언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북쪽으로 7.2센티미터, 동쪽으로 2.4센티미터 정도 기울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에 따르면 원인은 북동쪽 지반이 무르고 수분이 많은 탓으로 보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은 [[한국 전쟁]] 이후 기울어짐이 심해졌으며 당시 북쪽의 도로를 지나던 [[탱크]] 등에 의해 지반이 약화되었다고 보고 있다.<ref>
조선일보 2005. 7. 3.</ref> [[문화재청]]은 이에 대해 우려할 수준은 아니며, 국내외 연구진에 의한 연구 결과 또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라고 밝히고 있다.<ref>[http://heritage.go.kr/cpomfile.do?action=select&optRep=K&cpfi_num=1413‘첨성대 안정성’ 기사 관련 문화재청의 입장] 문화재청 보도 자료 2005. 07. 05. 및 [http://www.ocp.go.kr/data/file_data/board/repo/8/1903/%C3%B7%BC%BA%B4%EB%B0%FC%B7%C3%BA%B8%B5%B5%C0%DA%B7%E1.hwp hwp원문]{{깨진 링크|url=http://www.ocp.go.kr/data/file_data/board/repo/8/1903/%C3%B7%BC%BA%B4%EB%B0%FC%B7%C3%BA%B8%B5%B5%C0%DA%B7%E1.hwp }} -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ref>
 
[[2016년]] [[9월]] 경주에 발생한 지진의 여파로 첨성대 위쪽 돌이 탈각되었고, [[2017년]] [[1월]] 복구작업에 있지만 난항을 겪고있다.
 
=== 용도 ===
첨성대는 그 위에 목조 구조물이 세워져 [[혼천의]](渾天儀)가 설치되었으리라는 생각과, 개방식 ‘[[돔]]’으로서의 관측대라는 견해도 있다.
첨성대는 창문을 제외하면 어느 방향에서나 같은 모양이며, [[계절]]과 [[태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구]](日晷)를 측정하여 시간을 헤아릴 수 있으므로 [[4계절]]과 [[24절기]]를 확실히 정할 수 있다.
정남(正南)으로 열린 창문은 사람이 사다리를 걸쳐 놓고 오르내리는 데도 쓰였지만, [[분점|춘·추분]](春·秋分)에 태양이 [[남중]](南中)할 때 이 창문을 통하여 태양광선이 바로 대(臺) 안의 밑바닥까지 완전히 비출 수 있는 위치에 열려 있다. 그러므로 동·하지(冬·夏至)에는 창문 아래 부분에서 광선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므로 분점(分點)과 지점(至點) 측정의 보조역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기의 정확한 측정에 의하여 역법(曆法)을 바로 잡기 위한 측경(測景)을 목적으로 설립된 규표(圭表), 즉 측경대로서 일구를 측정하는 천문대일 뿐 아니라, 신라 천문 관측의 중심지로서, 신라 천문 관측에서 자오선과 동서남북 4방위의 표준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첨성대는 그 구조가 상징하는 바 하늘에 대한 [[천원지방설]](天圓地方說)에 의거하여 축조되었으리라고 해석되고 있으며, 27단으로 이루어진 것은 선덕여왕이 27대 왕임을 상징한다는 해석도 있다. 천상(天象)의 이변(異變)이 있을 때 외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상설 천문대로 생각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첨성대라 명명한 것은 첨성대가 세워진 이후 신라의 천체 관측 기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 김봉규 박사는 한국천문학회 봄 학술대회(7일 충북대학교 개신관) 초청발표에서 신라 첨성대가 천문대였다는 결정적인 증거를 찾았다고 밝혔다. 김 박사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증보문헌비고 등에 수록된 천문관측기록을 분석하여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으며, 이 연구 결과는 4월 14일 영국 더렘에서 개최되는 국제 고천문 학술발표대회에서도 발표될 예정이다.
김봉규 박사는 첨성대가 만들어진 이후, 기록된 유성의 떨어진 위치들이 모두 첨성대를 둘러싸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첨성대에서 천체를 관측했다는 결정적인 증거이다. 또한 첨성대가 완성된 후 신라의 천문관측 기록의 수가 이전보다 10배 이상 증가했다는 것과 질적으로 정밀해졌다는 것도 추가적인 자료로 제시하였다.
 
=== 건립 시점 ===
첨성대에 관한 최초 기록인 《삼국유사》는 첨성대의 건립시점을 선덕여왕대(632~647)로 밝히고 있고, 《삼국유사》 이후의 사서에서도 이에 반하는 기록이 보이지 않으므로 선덕여왕대(632~647년)에 첨성대가 건립된 것만큼은 확실해 보인다.<ref>이기동, 1981 「선덕여왕의 시대-첨성대 논쟁에 음 그렇군요 덧붙여서」 <한국과학사학회지>3-1, pp.145~146.</ref>
 
== 연구 ==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는 첨성대가 기록을 토대로 신라의 천문대라고 입증하였다.<ref>[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ewsMaterial/2424 /ref 첨성대는 천문대였다 - 천문(연) 7일 한국천문학회에서 발표] 2011년 4월 7일</ref>
 
첨성대는 내부에 혼천의를 넣어서 관측했다는 주장이 강하지만 창문을 빼면 어느 방향으로 보던 똑같은 모양이라서 위에 있는 장치로 직접 보았다는 주장도 있다.
 
==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