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Kirschtaria(토론)의 26854477판 편집을 되돌림
1번째 줄:
{{다른 뜻|[[왕자]]|서양의 공작 작위|왕의 아들}}
{{서양식 등작}}
'''프린스'''({{llang|en|prince}})는 [[서양]]에서영어에서 [[공작 (작위)|공작]]을및 황제의 아들인 왕자를 가리키는 단어이다칭호이다. 어원은 라틴어의 '''프린캡스'''(prīnceps)로 원래는 왕 및 황제보다 한단계 낮은 군주 및 귀족의 작위로 사용되었다사용되었으며 대부분 왕 및 황제의 아들을 가리키는 칭호로 사용된다. 작위로서는 '''왕작'''(王爵)이라고도 부르며, [[황제]]가 그 아들이나 형제 또는 공신에게 내리는 작위였다. 추존왕도 작위를 내리지는 않았으나, 형식상 왕작과 같다. 작위와 봉지를 받은 왕을 번왕(藩王)이라 부르며, 번왕에는 국왕(國王)·군왕(郡王) 등이 있고 봉지 없이 작위만 받은 왕을 [[친왕]]이라 부른다.
 
== 역사 ==
7번째 줄:
 
이후 중세 유럽의 작위 체계에서 왕·황제의 아들에게 내리는 작위로 프린스가 많이 사용되면서 프린스가 왕자를 의미하는 단어가 되었다. 영국 왕세자의 작위 중 하나인 [[웨일스 공]](Prince of Wales)가 대표적인 예로, 원래 의미는 웨일스 지역의 군주인 웨일스 공(또는 대공)을 의미하는 작위였는데, 영국 왕세자의 대표적인 작위로 오랜 기간 사용되면서 프린스가 곧 왕자를 의미하는 단어가 된 것이다. 공주를 의미하는 [[프린세스]](princess)는 왕자에 대응해서 생겨난 여성형 칭호이며, 이 때문에 대공을 가리킬 때는 여성이라 해도 프린세스라 칭하지 않는다.
 
== 칭호 ==
=== 번왕 ===
{{참고|번국}}
번왕은 번국(藩國), 곧 제후국의 왕을 가리킨다. 이 때 제후국은 [[베트남]]의 경우와 같이 국외국도 있으나, [[청나라]]의 삼번처럼 국내국도 있다. 번왕이 반드시 국왕이지는 않으며, 군왕도 번왕의 한 종류이다.
 
[[일본사]]에서 [[구니]]의 통치자는 형식상 번왕에 해당한다.
 
=== 국왕 ===
작위와 함께 봉토로서 방국(邦國)을 받은 왕을 지칭할 때 “무슨무슨 국왕”이라고 부르는데, 이때의 작위가 국왕(國王)이다. 예를 들어 위나라(魏國)를 봉토로 받아 위왕(魏王) 또는 위국왕(魏國王)이라 한다. 국왕은 대개 황후가 낳은 황제의 적자에게 주어지며, 자신의 봉토에 대한 어느 정도의 자치권 역시 인정받았다. 군왕과는 달리 ‘국’을 생략하는 때도 있다. 여자일 때는 [[공주]](公主)의 작위를 받는다.
 
[[조선]]의 경우, 조선의 왕은 형식상 [[명나라]] 황제로부터 왕작을 받았다.
 
=== 친왕 ===
{{본문|친왕}}
친왕은 황제나 천황의 아들, 즉 그들의 서자나 형제 가운데 왕으로 책봉되었으나 봉지를 받지 못한 이를 가리킨다. 청나라에는 작위로서의 국왕이 폐지되자 친왕이 가장 높은 작위가 되었다.
 
[[일본]]에는 [[여성]]에게 내리는 [[내친왕]]이라는 작위가 있다.
 
==== 대한제국 ====
[[대한제국]]에서 봉해진 친왕으로는 [[대한제국 고종|고종]]의 세 서자인 [[완친왕]] · [[의친왕]] · [[의민태자|영친왕]]과 고종의 형 [[흥친왕]]이다.
 
친왕과 비슷한 것으로 [[대원왕]]이 있다. [[조선]] 시대 적통인 [[왕|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이 대원군인데, [[대한제국]]이 들어서면서 황제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이다.
 
==== 신라의 갈문왕 ====
{{본문|갈문왕}}
신라에서는 왕의 아버지, 장인 등에게 갈문왕으로 추봉하는 전례가 있었다.
 
=== 군왕 ===
군왕(郡王)은 옛 중국에서 황족에게 주던 작위로서, 친왕의 다음가는 작위였다. 대개 [[황태자]]의 아들들, 즉 [[황태손]]을 제외한 아들들에게 작위가 주어지며, 국왕이나 친왕의 세자 역시 군왕과 동급이다. 여자일 경우에는 군주(郡主)의 작위를 받는다.
 
군왕은 보통 국가를 다스리는 국왕보다도 한등급 아래로 취급된다. 한국 역사에서 유명한 사람 또는 일족으로는 [[보장왕]]과 그 후손이 있는데, 고려조선군왕(高麗朝鮮郡王)이며, 이때의 “고려”는 [[고구려]]를, “조선”은 [[고조선]]을 뜻한다.
 
=== 일본의 왕 ===
{{본문|왕 (일본 황실)}}
일본에서 [[왕 (일본 황실)|왕]]은 황족의 칭호 및 신위(身位)의 하나로, 현행 [[황실전범]](皇室典範)에서는 [[일본 천황]]으로부터 직계로 3대(증손에 해당) 이상 떨어진 황족 남자에 대한 칭호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왕의 비는 왕비(王妃)라고 칭한다.
 
구(舊) 황실전범이 시행되던 시대에는 이 칭호를 가진 사람이 많이 있었으나(가령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東久邇宮稔彦王) 등), 그들은 [[1947년]]에 새로운 황실전범이 시행됨에 따라 황적에서 이탈되었으며, [[1947년]] 이래 이 칭호를 가진 사람은 출생하지 않아, 현재 이 칭호를 가진 사람은 없다(같은 격의 여성 황족인 [[여왕 (일본 황실)|여왕]](女王)은 5명).
 
== 같이 보기 ==
* [[종주국]]
* [[종속국]]
* [[번 (정치)]]
 
[[분류:왕작| ]]
[[분류:귀족 작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