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퍼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군느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8
30번째 줄:
 
1980년대 부터 1990년대에 걸쳐 몇몇 팀이 가설상의 카이퍼 벨트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을 시작했다. 그리고 1992년 8월, 제인 루(Jane Luu)와 데이비드 주이트(David Jewitt)가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소행성 {{mp|1992 QB|1}}을 발견했다. 곧 소행성의 궤도가 확정되자 {{mp|1992 QB|1}}은 카이퍼 벨트 천체인 것이 판명되었다. {{mp|1992 QB|1}}은(명왕성, 카론 제외) 최초의 KBO이며 명왕성보다 먼 최초의 소행성이다. 또한 후에 소행성 번호 (15760)가 주어졌으나 정식 이름은 붙지 않고 임시 이름을 그대로 줄여 'QB1'으로 불린다. 고전적 KBO의 대표적인 그룹인 큐비원 족의 이름은 여기서 딴 것이다.<ref>
{{저널 인용| last1 = Murdin| first1 = P.| work = The Encyclopedia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date = 2000| isbn = 0-333-75088-8| doi = 10.1888/0333750888/5403| bibcode = 2000eaa..bookE5403.| title = Cubewano }}</ref><ref>{{저널 인용
|last1=Elliot
{{저널 인용
|last1=Elliot |first1=J. L.
|author2=et al.
|date=2005
|title=The Deep Ecliptic Survey: A Search for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II. Dynamical Classification, the Kuiper Belt Plane, and the Core Population
|url=http://occult.mit.edu/_assets/documents/publications/Elliot2005AJ129.1117.pdf
|journal=[https://en.wikipedia.org/wiki/The_Astronomical_Journal The Astronomical Journal]
|volume=129
|issue=
|pages=1117–1162
|arxiv=
|bibcode=2005AJ....129.1117E
|doi=10.1086/427395
|access-date=2015-02-27
}}</ref> 그 후 다음 해인 1993년에는 5개, 그 후엔 매년 10개 이상의 KBO가 발견되었고, 그 지역에 실제로 많은 천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archive-date=2013-07-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21180750/http://occult.mit.edu/_assets/documents/publications/Elliot2005AJ129.1117.pdf
}}</ref> 그 후 다음 해인 1993년에는 5개, 그 후엔 매년 10개 이상의 KBO가 발견되었고, 그 지역에 실제로 많은 천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2006년 시점에서 천 개 이상의 EKBO가 발견되었다. 또한 명왕성과 카론도 EKBO로 분류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