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 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Hank2530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번역
2번째 줄:
'''대륙 철학'''(大陸哲學) 또는 '''콘티넨털 필로소피'''({{llang|en|Continental philosophy}})은 오늘날의 용법에 따르면, [[유럽 대륙]]을 중심으로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형성된 철학의 전통으로,<ref>"첫 번째 접근으로서, 우리는 아마도 19세기와 20세기 유럽 대륙의 철학이 전통들의 연속된 물결로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브라이언 레이터(Brian Leiter)와 마이클 로젠(Michael Rosen), 《옥스포드 핸드북:대륙 철학》(''The Oxford Handbook of Continental Philosophy'')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7), p. 2. 사이먼 크리첼리(Simon Critchley)와 윌리엄 쇼로버(William Schroder) (eds.), 《대륙 철학과 친구되기》(''A Companion to Continental Philosophy'') (Blackwell Publishing, 1998), p. 4.</ref> 동 시기에 영미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분석 철학]]에 대립되는 분류이다.
 
이러한 용어는 20세기 중반에 영어권 철학자들부터 사용한 것으로, 그들은 이 용어가 분석 철학에 속하지 않은 전통과 사상가들을 언급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대륙철학은 다음의 학파나 주의를 포함한다.: [[독일 관념론]], [[현상학]], [[실존주의]] (그리고성립 실존주의의 선구자들, 예를 들면이전의 [[키르케고르]], [[니체]] 등 포함), [[해석학 (철학)|해석학]], [[구조주의]], [[후기 구조주의]], [[해체주의]], [[여성주의 철학|페미니즘 철학]], [[정신분석학]],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 이론]], [[헤겔주의|헤겔철학]], [[마르크스주의|현대 마르크스주의]] 등이다.<ref>사이먼 크리첼리(Simon Critchley), 《대륙 철학: 매우 짧은 입문》(''Continental Philosophy: A Very Short Introduction'')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1), p. 13</ref><ref name = "Glendinning">사이먼 글렌디닝(Simon Glendinning), 《대륙 철학의 개념》(''The Idea of Continental Philosophy'') (에든버러대학교 출판부, 2006), pp. 58-65.</ref>
 
== 분석 철학과의 차이 ==
상술하였듯 대륙 철학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중반부터 영미권 철학자들이 새로운 분석철학의 흐름에 참여하지 않는 사상들을 통틀어 일컬을 때 빈번히 사용되기 시작했으며,시작한 글렌디닝(S.것으로 Glendinning)은 본래 부정적인 어감으로 사용되던 말이라고 지적한다여겨진다.<ref name = "Glendinning"/> 다만 20세기부터 분석 철학이 대두하면서 서양철학 내에서 현재와 같은 특징들은 이미 성립하고 있었으며있었는데, 분석철학의 선구자 중 한 명인 [[버트런드 러셀]]은 1945년 저서 《서양철학사》에서 형식적 추론에 근거하는지의 여부 등 몇가지 특징을 들어 영국의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의대륙의 구분을여타 제시한철학 간의 주요한 차이점들을 제시하려 한 바 있다.<ref>Russell, Bertrand. 1945.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Simon & Schuster. p. 643, 641. Ibid., pp. 643–47.</ref>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의 분류는 엄밀히 정의된 개념이 아니며 따라서 판단이 모호한 경우도 많다. 한편 철학자 마이클 로젠(Michael E. Rosen)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대립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분류를 설명하였다.<ref>Rosen, Michael E., "Continental Philosophy from Hegel." In ''Philosophy 2: Further through the Subject'', edited by A. C. Grayling.</ref>
#대륙 철학에서는 [[자연 과학]]이 세계를 이해하는 적절한 또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연구 기초를 과학적 방법에 두는 분석철학과 대립한다.
#대륙 철학자들은 대체로 철학이 사회적, 시공간적 배경, 언어, 문화, 역사 등의 문맥과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분석 철학이 보통 이러한 배경과 무관한 주제를 탐구하려 하는 것과 대조된다.
#많은 대륙 철학자들은 인간 주체 또한 이러한 조건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여기며, 따라서 자신들의 철학을 인간적, 윤리적, 정치적 움직임에 연관시키는 경향이 있다. [[마르크스]]가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에서 "철학자들은 다양하게 세계를 '분석'하려고만 해왔으나,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서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향성은 마르크스주의 전통에서 잘 드러나며, [[실존주의]]나 [[탈구조주의]] 등에 있어서도 핵심적인 특징이다.
#[[메타철학]]의 측면에서 자연과학적 탐구와 철학의 관련성에 대한 관점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대륙철학자들은 근현대에 자연과학이 대상영역을 확장하면서 철학의 영역으로 들어온 것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이며, 이러한 움직임에 대항하여 철학의 방법론이나 원칙을 재정의해야 한다고 보기도 한다. 대륙철학자들은 세계의 구조나 상황이 경험 실증적 연구만으로는 얻어질 수 없는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기 때문이다.<ref>Solomon, Robert C. (1988). Continental philosophy since 1750: the rise and fall of the self.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ref>
 
그러나 이러한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의 구분은 일종의 가족유사성에 따른 것으로서 엄밀히 정의된 개념이 아니며, 따라서 판단이 모호한 분류라는 비판이 있다. 또한 글렌디닝(S. Glendinning)은 대륙철학이라는 용어는 본래 분석철학자들에 의해 경멸적으로 사용되던 표현에 불과했다고 지적한다.<ref name = "Glendinning"/>
 
==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