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오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봇: 플리스틱과 환경을(를) 플라스틱과 환경(으)로 분류 대체함; 예쁘게 바꿈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플라스틱 오염'''({{llang|en|Plastic pollution}})은 사용된 [[플라스틱]]이 방치되어 지역을 [[오염]]시키는 것을 말한다.
 
1950년대 이후 사용량이 폭증한 플라스틱은 세계 시장 규모가 7500억7,500억 달러(한화 840조원840조 원)에 이르게 되었다. 유엔에 따르면 [[2016년]] 세계의 [[플라스틱 병]]은 4천800억개로4,800억 개로 집계되었다. 2021년에는[[2021년]]에는 그 수가 5천830억개로5,830억 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플라스틱이 폐기물의 약 10%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는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자연 분해 기간이 기하급수 적으로 늘어나 버렸다. 스티로폼 컵은 50년, 일회용 기저귀는 450년, 낚시줄은 600년이 걸린다. 반면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의 양은 매우 적은 상황이다. 결국 도시에는 폐비닐이 쌓이고, 강과 해안에는 플라스틱 병들이 수북하며, 바다는 거대한 플라스틱 뭉치들이 떠다는 상황이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04/0200000000AKR20171204118200009.HTML?input=1195m |제목='플라스틱 쓰레기와의 전쟁' 지구촌 행동수칙 나온다 |뉴스=연합뉴스 |저자=박인영 |날짜=2017년 12월 4일}}</ref>
 
[[유엔환경계획]](UNEP)이 2016년 5월 펴낸 보고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와 미세 플라스틱>에 따르면, 플라스틱이 2010년에만 최소 480만t에서 최대 1270만t이 바다로 흘러들어갔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각에서는 2050년 바다에 물고기와 플라스틱의 비율이 50 대 50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1997년 발견된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는 2009년 두배 가까이 커져 [[한반도]]의 7배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바다 쓰레기섬의 90%가 플라스틱이다. 이 중 잘게 쪼개진 플라스틱들은 바다를 떠다니다 바다 생물에게 먹히게 되는데, 바다 쓰레기섬 주변 어류 35%의 뱃속에서 작은 플라스틱이 들어있다고 알려졌다. 한 편 1mm 미만의 플라스틱 입자들은 [[미세 플라스틱]]이라 하는데 [[먹이사슬]]을 통해 음식으로 인간의 몸속에 도달해 문제가 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url=http://science.dongascience.com/supplementviews/cate-view?acIdx=11806&acCode=16&agIdx=&page=1 |제목=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 |뉴스=동아사이언스 |저자=손미현 |날짜=2012년 8월 |확인날짜=2016-10-22 |archive-date=2016-1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22215304/http://science.dongascience.com/supplementviews/cate-view?acIdx=11806&acCode=16&agIdx=&page=1 }}</ref><ref>{{뉴스 인용 |url=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2363890738 |제목=플라스틱 쓰레기 대안은? |저자=문광주 |뉴스=환경미디어 |날짜=2016년 9월 19일 |확인날짜=2016년 10월 9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10164308/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2363890738 |보존날짜=2016년 10월 10일 |url-status=dead }}</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812000020 |제목=편리하지만 환경 오염원 되는 플라스틱 |저자=박진숙 |뉴스=부산일보 |날짜=2016년 8월 11일}}</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756711.html |제목=바닷속 플라스틱 알갱이, 당신도 만개씩 먹고 있다 |뉴스=한겨례 |저자=김정수, 노수민 |날짜=2016년 8월 15일}}</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