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분류가 없는 문서에 분류 필요 틀 추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분류 필요}}
=== 1980년대 ===
==== 1982년 ====
{{본문|1982년 한국프로야구}}
* 서울운동장([[동대문야구장]])에서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시구와 함께 첫 경기인 [[삼성 라이온즈]] [[이만수]]의 한국프로야구 1호 안타와 1호 홈런, 그리고 [[MBC 청룡]]의 [[이종도]]가 삼성 [[이선희 (야구인)|이선희]] 투수를 상대로 친 끝내기 만루홈런으로 시작되었다.
10번째 줄:
* [[삼성 라이온즈]]의 [[오대석]]이 프로야구 사상 첫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였다.(1982.06.14)
 
==== 1983년 ====
{{본문|1983년 한국프로야구}}
* 경기장 조명시설 확충으로 정규시즌에 본격적으로 야간경기 편성이 가능해졌다.
19번째 줄:
* [[이만수]]가 27홈런으로 홈런왕이 되었다.
 
==== 1984년 ====
{{본문|1984년 한국프로야구}}
* [[삼성 라이온즈]]가 전기리그 우승을 한 후 한국시리즈에서 편한 상대를 맞이하기 위해 져주기 게임을 했다(삼성 정규시즌 우승 1회). 그리고 삼성은 그들이 원한대로 [[롯데 자이언츠]]와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붙게 되지만, [[최동원]]의 역투에 밀려 우승의 문턱에서 좌절하고 말았다.
* [[롯데 자이언츠]]의 선발투수 [[최동원]]은 전무후무한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4승(1패)을 기록했다.
 
==== 1985년 ====
{{본문|1985년 한국프로야구}}
* [[한국야구위원회|KBO]]는 규정을 바꿔 전,후기 통합승률 1위 팀은 한국시리즈에 직행하고 전기리그 우승 팀과 후기우승 팀이 플레이오프를 해서 승리한 팀이 한국시리즈에 나가도록 했다. 그러나 1985년 [[삼성 라이온즈]]는 [[김시진]], [[이만수]], [[장효조]], [[니우라 히사오|김일융]] 등의 활약으로 전, 후기 우승을 했고(승률 7할이 넘으며, 이는 역대 최다 승률) [[1985년]]은 한국시리즈가 없는 유일한 시즌이 되었다(삼성 정규시즌 우승 2회).
30번째 줄:
* [[삼미 슈퍼스타즈]]가 5월 1일에 [[청보식품]]으로 구단 경영권이 매각되어, 6월 29일 [[청보 핀토스]]로 재창단되었다. 이는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구단 매각 사례이다.
 
==== 1986년 ====
{{본문|1986년 한국프로야구}}
* 제 7구단인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가 창단하였다.
36번째 줄:
* 그 해 [[해태 타이거즈]]의 [[선동열]]이 24승 6패에 평균자책점 0.99라는 성적을 거두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해태 타이거즈]]로서는 두 번째 우승이었다.
 
==== 1987년 ====
{{본문|1987년 한국프로야구}}
* [[삼성 라이온즈]]는 전, 후기 통합 우승을 달성하지만(삼성의 정규시즌 3회 우승) 규정에 따라 [[해태 타이거즈]]와 한국시리즈를 치렀다.
* [[해태 타이거즈]]는 [[삼성 라이온즈]]를 물리치고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하고 이 때부터 [[해태 타이거즈]]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 1988년 ====
{{본문|1988년 한국프로야구}}
* 1986년 창단한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가 새로 영입한 [[김영덕 (야구인)|김영덕]] 감독의 지휘 아래 이변을 일으키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지만 우승은 [[해태 타이거즈]]에게 돌아갔다.
* 야구회관이 개관되었다.
 
==== 1989년 ====
{{본문|1989년 한국프로야구}}
* [[한국야구위원회|KBO]]는 다시 규정을 바꿔 전, 후기 리그를 폐지하고 단일리그로 바뀌었다.
52번째 줄:
* [[해태 타이거즈]]가 사상최초로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4연패를 달성했다(정규시즌 우승은 단 1회).
 
=== 1990년대 ===
==== 1990년 ====
{{본문|1990년 한국프로야구}}
* 제 8 구단인 [[쌍방울 레이더스]]가 초대 감독을 [[김인식 (1947년)|김인식]]으로 선임하여 창단했다.
59번째 줄:
* [[타격]] 경쟁에서 [[해태 타이거즈]]의 [[한대화]]가 소수점 이하 다섯 째 자리인 사까지 가는 접전 끝에 수위타자를 차지했다. 삼성 라이온즈는 87년도에 이어 두 번째로 한국시리즈 4전 전패를 기록하고 말았다.
 
==== 1991년 ====
{{본문|1991년 한국프로야구}}
* 경기수가 126경기로 확대되었다.
* [[해태 타이거즈]]가 6번째 우승을 했다.
 
==== 1992년 ====
{{본문|1992년 한국프로야구}}
*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 내야수 [[장종훈]]의 시대였다. 장종훈은 한국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40홈런을 돌파하여 그 해 홈런왕과 MVP를 차지했다.
70번째 줄:
* [[한화 이글스|빙그레 이글스]]가 38경기중 30승을 달성하는 기록을 세웠다.
 
==== 1993년 ====
{{본문|1993년 한국프로야구}}
* [[김시진]], [[김재박]], [[장효조]] 등의 그동안 한국프로야구를 이끌어 왔던 선수들이 은퇴하지만, [[양준혁]], [[이종범]] 같은 신예들이 등장하면서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
76번째 줄:
* [[양준혁]]이 [[타격]] 1위, [[출루율]] 1위, [[장타율]] 1위를 차지하고, [[KBO 최우수 신인상|신인왕]]을 수상했다. [[해태 타이거즈]]의 우승으로 이종범은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최우수선수|MVP]]를 수상했다.
 
==== 1994년 ====
{{본문|1994년 한국프로야구}}
* 빙그레 이글스가 모그룹의 명칭인 '한화'를 강조하기 위해 [[한화 이글스]]로 팀명을 바꾼다.<ref>이후 [[빙그레]]는 [[한화그룹]]에서 계열 분리된다.</ref>
85번째 줄:
* [[해태 타이거즈]]의 [[이종범]]이 역대 최다 안타 (196개), 최다 도루 (84개), 100경기 이상 최고타율 (.393)등 타격 5관왕을 획득하며 유격수 최초 시즌 MVP로 선정되었다.
 
==== 1995년 ====
{{본문|1995년 한국프로야구}}
* 프로 야구 역사상 최초로 총 관중 500만명을 돌파, 한국 야구의 전성기였다.
92번째 줄:
* 1995년 6월 28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역대 두번 째 최다 득점기록이 세워졌다. [[삼성 라이온즈]]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였는데, 양 팀이 총 38득점을 했다. 이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삼성 라이온즈]]를 24:14로 이겼다.
 
==== 1996년 ====
{{본문|1996년 한국프로야구}}
* [[현대그룹|현대]]가 [[태평양 돌핀스]]를 420억에 인수하며 [[현대 유니콘스]]라는 이름으로 프로 야구에 등장했다.
100번째 줄:
* 정규리그 4위 였던 [[현대 유니콘스]]가 각각 정규리그 2,3위 였던 [[쌍방울 레이더스]], [[한화 이글스]]를 이기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하지만 정규리그 1위인 [[해태 타이거즈]]에게 2승 4패로 졌고, [[해태 타이거즈]]는 8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 1997년 ====
{{본문|1997년 한국프로야구}}
* [[해태 타이거즈]]가 전무한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9회 우승의 대 기록을 세웠다.
115번째 줄:
**** 삼성 13: 1 LG
 
==== 1998년 ====
{{본문|1998년 한국프로야구}}
* [[1998년 한국프로야구]] 역시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IMF 구제금융 사태]]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124번째 줄:
* [[타이론 우즈]]가 외국인선수로는 처음으로 MVP를 차지했다.
 
==== 1999년 ====
{{본문|1999년 한국프로야구}}
* OB 베어스가 모그룹인 '[[두산그룹|두산]]'을 강조하기 위해서 [[두산 베어스]]로 팀명을 바꾼다. (이후 OB 맥주는 두산그룹에서 독립된다.)
136번째 줄:
* [[현대 유니콘스]]의 [[정민태]]는 정규시즌 20승을 기록함으로 20세기 마지막 20승 투수로 장식했다.
 
=== 2000년대 ===
==== 2000년 ====
{{본문|2000년 한국프로야구}}
* 2000년 3월 구단주총회에서 기존의 광역지역연고제에서 도시지역연고제로 전환 결정<ref>[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5234&sc_section_code= 프로야구, 18년만에 도시연고제로 전환]</ref><ref>[https://sports.v.daum.net/v/20070111122021137 도시 연고제의 문제점-전망]</ref>
154번째 줄:
* 각 리그간 실력 차이 등으로 양대리그제가 폐지되고 단일리그제가 부활했다.
 
==== 2001년 ====
{{본문|2001년 한국프로야구}}
*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양대리그를 [[1998년]] 이전의 단일리그로 다시 바꾸었다. 이에 따라 [[올스타전]]의 팀 구분 역시 [[1998년]] 이전의 동군과 서군으로 환원되었다. [[쌍방울 레이더스]]가 해체된 후 창단된 [[SK 와이번스]]는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이 속해 있던 동군으로 편입되었다.
163번째 줄:
* 정규시즌은 [[삼성 라이온즈]]가 압도적인 힘을 보이며 우승했고(삼성 정규시즌 4회 우승), [[두산 베어스]]가 정규시즌 3위를 기록했지만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에서 [[한화 이글스]], [[현대 유니콘스]]를 차례로 꺾고 한국시리즈 진출해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4승2패로 승리하여 창단 이래 3번째 우승을 달성한다.
 
==== 2002년 ====
{{본문|2002년 한국프로야구}}
*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수익 향상을 위해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KBOP]]를 출범한다.
171번째 줄:
*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는 [[LG 트윈스]]와 [[삼성 라이온즈]]가 격돌했고, 6차전 9회말 [[마해영]]이 끝내기 [[홈런]]을 치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처음으로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를 제패<ref>정규시즌 5회 우승</ref>한다.
 
==== 2003년 ====
{{본문|2003년 한국프로야구}}
* 2003년 [[삼성 라이온즈]]의 [[이승엽]]이 56개의 [[홈런]]으로 아시아 [[홈런]] 신기록을 세웠다.<ref>[[2013년]] [[9월 15일]] [[일본 프로 야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소속 용병 [[블라디미르 발렌틴]]이 57호 [[홈런]]을 기록하면서 아시아 홈런 기록이 경신되었다.</ref>
178번째 줄:
* [[2003년]] [[일본 프로 야구]]에서 돌아온 [[현대 유니콘스]]의 에이스 [[정민태]] 활약에 힘입어 [[현대 유니콘스]]는 정규시즌 우승,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접전끝에 4승 3패로 우승을 하였다.
 
==== 2004년 ====
{{본문|2004년 한국프로야구}}
* 구원왕의 기준이 구원승과 [[세이브 (야구)|세이브]]를 더한 세이브포인트에서 [[세이브 (야구)|세이브]]의 개수로 바뀌었다. 그와 동시에 구원왕의 실질적 의미는 최다 세이브로 흡수되었다.
186번째 줄:
*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현대 유니콘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우승하며, 2연패와 함께 창단이래로 4번째 우승을 달성한다. 하지만, 그 해의 한국시리즈는 KBO측 운영의 미숙함등으로 3번의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2005년 ====
{{본문|2005년 한국프로야구}}
*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2004년 병역 비리 파동]]으로 인해 주축선수가 대거 빠지면서 팀당 경기수가 133경기에서 126경기로 축소되었다.
196번째 줄:
* [[손민한]]이 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KBO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진출을 하지 못한 팀에서 [[MVP]]를 차지했다.
 
==== 2006년 ====
{{본문|2006년 한국프로야구}}
* [[한화 이글스]]의 [[류현진]]이 투수부문 3관왕(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여 신인왕과 최우수 선수상을 동시에 획득하였다.
204번째 줄:
* [[삼성 라이온즈]]가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였고(정규시즌 우승 7회, 해태를 능가),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한화 이글스]]를 맞아 4승 1무 1패로 승리함으로써 2연패와 함께 창단 이래로 4번째 우승을 달성하였다.
 
==== 2007년 ====
{{본문|2007년 한국프로야구}}
* 한 시즌 누적 총 관중이 400만을 다시 돌파하였다.
212번째 줄:
* 시즌 종료 후, 같은 해 11월에 [[롯데 자이언츠]]에는 프로 야구 사상 첫 외국인 감독인 [[제리 로이스터]] 감독이 취임하였다.
 
==== 2008년 ====
{{본문|2008년 한국프로야구}}
*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면서 선수단을 이어받은 [[키움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가 창단하였다.<ref>기록을 승계받지는 않는다.</ref>
224번째 줄:
* [[2008년]] [[9월 3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 vs [[두산 베어스]] 경기는 최다 이닝(18회)동안 진행된 끝에 두산이 밀어내기 볼넷으로 1:0으로 간신히 승리를 거뒀다. 이 경기는 5시간 51분동안 진행되었고 0:23분에 정확히 끝났다. 그래서 이후 아무리 무승부가 유지되더라도 무조건 12회말까지만 경기하겠다고 결정했다.
 
==== 2009년 ====
{{본문|2009년 한국프로야구}}
* 온라인 야구 게임 [[마구마구]]의 운영업체인 [[CJ인터넷]]이 [[2009년]] 프로 야구 타이틀 스폰서를 맡게 됐다.
244번째 줄:
* [[2007년]], [[2008년]] 챔피언인 [[SK 와이번스|SK]]와 [[2009년]] 정규리그 1위 [[KIA 타이거즈|KIA]]가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맞붙게 되었다. [[KIA 타이거즈|KIA]]가 홈경기인 첫 2경기를 승리했지만, [[SK 와이번스|SK]]도 홈경기 2경기를 다시 승리하여 치열하게 시리즈가 전개되었다. 5차전에서 [[이용규]]의 '개구리 번트'를 이용한 [[KIA 타이거즈|KIA]]가 승리하였고, 또 6차전은 [[SK 와이번스|SK]]가 승리함으로써 7차전까지 경기가 이어졌다. [[10월 24일]] [[한국시리즈]] 7차전에서 5:5 동점 상황에서 9회말 SK 투수 [[채병용]]을 상대로 [[KIA 타이거즈|KIA]] [[나지완]]의 극적인 끝내기 솔로 홈런으로 [[KIA 타이거즈|KIA]]가 6:5로 승리하였다. 이로써 [[KIA 타이거즈|KIA]]는 한국프로야구 출범 이래 첫 10회 우승(정규 7회,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10회)을 차지하게 되었다.
 
=== 2010년대 ===
==== 2010년 ====
{{본문|2010년 한국프로야구}}
* [[2월 8일]] [[키움 히어로즈|서울 히어로즈]]가 타이어 업계회사인 [[넥센타이어]]와 2년간 메인 스폰서십을 계약함으로써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로 팀명 변경되었다.
260번째 줄:
* [[이대호]]는 타율, 출루율, 최다안타, 타점, 득점, 홈런, 장타율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여 한국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타격 7관왕을 차지하여 그해 MVP를 차지하였다.
 
==== 2011년 ====
{{본문|2011년 한국프로야구}}
* [[1월 11일]] 제9구단 창단을 위한 1차 이사회가 개최되었다. 하지만 [[롯데 자이언츠]]의 반대 의사로 인하여 제9구단 창단 승인이 유보되었다.
274번째 줄:
* [[11월 29일]] 삼성 라이온즈가 대한민국 최초로 소프트뱅크를 꺾고 [[아시아시리즈]] 우승을 하였다. (한국 프로팀 최초, 삼성 5: 3 소프트뱅크)
 
==== 2012년 ====
{{본문|2012년 한국프로야구}}
* [[LG트윈스]]의 [[박현준]]과 [[김성현]]이 [[2012년 한국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 혐의로 영구제명되었다.
294번째 줄:
* [[12월 11일]] 한국야구위원회 이사회에서 10구단 창단이 승인되었다.<ref>[http://www.sportsworldi.com/Articles/Sports/BaseBall/Article.asp?aid=20121211021962&subctg1=05&subctg2=00&OutUrl=naver KBO 이사회, 프로야구 제10구단 창단 만장일치로 승인]{{깨진 링크|url=http://www.sportsworldi.com/Articles/Sports/BaseBall/Article.asp?aid=20121211021962&subctg1=05&subctg2=00&OutUrl=naver }} (스포츠월드, 2012년 12월 11일)</ref> 한때 10구단 창단을 위한 이사회 개최가 지연되면서 선수협의 반발이 극화되어, 선수협이 이 날 개최될 예정이었던 골든글러브 시상식에 불참을 선언하였으나,<ref>[http://sports.donga.com/SPORTS/3/all/20121206/51372288/1 프로야구 선수협회, 10구단 승인 안 나면 골든글러브 불참] {{웨이백|url=http://sports.donga.com/SPORTS/3/all/20121206/51372288/1 |date=20160304200743 }} (스포츠동아, 2012년 12월 06일)</ref> 이 날 오전 10구단 창단 승인으로 인해 오후 4시 30분 골든글러브 시상식이 정상 개최되었다.
 
==== 2013년 ====
{{본문|2013년 한국프로야구}}
* 제9구단 [[NC 다이노스]]가 본격적으로 1군에 합류한다. NC 다이노스는 연고지인 [[창원시]]의 지리적 위치에도 불구하고 [[KBO 올스타전|올스타전]]에서는 웨스턴 리그(서군)로 편성된다.
308번째 줄:
* [[11월 1일]], [[삼성 라이온즈]]가 한국시리즈 4승 3패로 [[두산 베어스]]를 누르고 통산 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MVP는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 [[박한이]]가 차지했다. [[삼성 라이온즈]]는 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통합 3연패(한국시리즈 + 정규시즌)를 달성 하였다(V7).
 
==== 2014년 ====
{{본문|2014년 한국프로야구}}
* [[KIA 타이거즈]]가 새 홈구장인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로 이동했다.
320번째 줄:
* [[NC 다이노스]]가 창단 이후 [[2014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에 사상 첫번째로 진출하였다.
 
==== 2015년 ====
{{본문|2015년 KBO 리그}}
* 이 시즌부터 1군리그 명칭은 '''KBO 리그''' , 2군리그 명칭은 '''[[KBO 퓨처스리그]]'''로 변경된다.
341번째 줄:
* [[삼성 라이온즈]]는 5연속 정규리그우승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시리즈 직전 터진 주전급 투수 [[윤성환]], [[안지만]], [[임창용]]의 도박 파문으로 그들이 엔트리에서 제외되면서, 준플레이오프부터 기세가 남달랐던 [[두산 베어스]]가 4승 1패로 한국시리즈 우승을 하였다.
 
==== 2016년 ====
{{본문|2016년 KBO 리그}}
* 홈 충돌 방지 규정이 신설되어 홈에서의 포수의 움직임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되었다.
352번째 줄:
* [[두산 베어스]]가 [[NC 다이노스]]를 상대로 4승을 거두며 [[2016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최소 실점인 2실점으로 우승했다.
 
==== 2017년 ====
{{본문|2017년 KBO 리그}}
* [[SK 와이번스]]는 구단 사상 첫 외국인 감독인 [[트레이 힐만]] 감독이 취임했다.
360번째 줄:
* [[KIA 타이거즈]]가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4승 1패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였다.
 
==== 2018년 ====
{{본문|2018년 KBO 리그}}
* [[NC 다이노스]]가 마지막으로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 시즌이다. 2019 시즌부터는 [[창원NC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367번째 줄:
* [[SK 와이번스]]가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4승 2패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로 꺾고 우승하였다.
 
==== 2019년 ====
{{본문|2019년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가 2018년 11월 16일에 키움증권과 5년 500억에 메인스폰서 계약을 함에 따라 구단명을 [[키움 히어로즈]]로 변경하였다.
377번째 줄:
* [[두산 베어스]]가 [[키움 히어로즈]]를 상대로 4승을 거두며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를 우승하였다.
 
=== 2020년대 ===
==== 2020년 ====
{{본문|2020년 KBO 리그}}
* 이 시즌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서 사상 최초로 무관중으로 [[5월 5일]]부터 KBO 리그를 치렀다. 7월 26일부터 8월 23일까지, 10월 13일부터 10월 31일까지 유관중으로 진행하였다.
401번째 줄:
* [[NC 다이노스]]가 [[드류 루친스키|루친스키]], [[마이크 라이트|라이트]], [[애런 알테어|알테어]] 등 세 명의 외국인 선수와 신구조화로 [[두산 베어스]]를 4승 2패로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다.
 
==== 2021년 ====
{{본문|2021년 KBO 리그}}
 
409번째 줄:
* [[키움 히어로즈]]는 2020 시즌 [[키움 히어로즈]] 1군 수석코치였던 [[홍원기 (야구인)|홍원기]]를 새 감독으로 임명했다.
* [[한화 이글스]]는 구단 사상 첫 외국인 감독인 [[카를로스 수베로]] 감독이 선임된다.
 
== 각주 ==
{{각주}}
 
{{KBO 리그}}
{{KBO 리그 시즌}}
[[분류:KBO 리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