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llang|ja|南海トラフ巨大地震|난카이토라후쿄다이지신}})은 [[필리핀해판]]과 [[아무르판]]{{efn|일반적으로는 [[유라시아판]]의 [[수렴 경계]]라고 부르지만 2014년 이시바시 교수는 난카이 해곡 지진에서는 아무르판이 만드는 [[동북일본]]의 동진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고 있다.(출처: [[#Ishabashi (2014)|石橋(2014), p103-107, p152-158.]])}} 사이 판 경계의 [[섭입]] 지대인 [[난카이 해곡]]에서 일어날 것으로 추정하는 [[거대지진]]을 일컫는 말이다.<ref>[[#Ishabashi (2014)|石橋(2014), p2-8. p98-107.]]</ref><ref name="Seno2011">瀬野徹三(2011): [http://www.eri.u-tokyo.ac.jp/seno/Papers/jisin.nankai.eq.pdf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破壊の様態とシリーズについての新たな考え」],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1年</ref> 때로는 [[초거대지진]]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ref>{{Cite web |author=島崎邦彦 |title=日本の巨大地震と超巨大地震 |url=http://www.toray-sf.or.jp/activity/lecture/pdf/57-h19_1.pdf |format=PDF |work= |publisher=第57回 東レ科学振興会科学講演会記録 |date=2007 |accessdate=2019-12-05}}</ref><ref name="Koyama2013">小山順二, 都筑基博, 蓬田清, 吉澤和範(2013): [https://hdl.handle.net/2115/52306 2011年東北沖超巨大地震が明らかにした超巨大地震の多様性], 北海道大学地球物理学研究報告, '''76''', 129-146.</ref> 자세히로는 '''난카이 해곡을 따라 발생하는 거대지진'''({{llang|ja|南海トラフ沿いの巨大地震|난카이토라후조이노쿄다이지신}})이라고 부른다.<ref>宇津『[[#Utsu0|地震の事典]]』p582.</ref><ref>[[#NAOJ, RikaNenpyo2018|理科年表(2018), p734, p736, p737-738, p743.]]</ref><ref name="Matsuoka-Okamura2011"2011">松岡裕美・岡村眞(2011): [https://cais.gsi.go.jp/YOCHIREN/report/kaihou87/12_02.pdf 12-2 津波堆積物から見た南海トラフ沿いの巨大地震履歴], 地震予知連絡会会報, 第87巻, 12-2.</ref>
 
2011년 8월 [[일본 내각부]]에 설치된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모델 검토회"(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가 검토한, 난카이 해곡을 따라가는 지역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규모의 지진도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이라고 부르거나 짧게 '''난카이 해곡 지진'''(南海トラフ地震)이라 부르며 이 문서에서도 위의 정의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 지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