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tbotgourou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바꿈: ja:ハドリアノポリスの戦い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교전국1=[[동로마 제국]]
|교전국2=고트족 연합군
|지휘관1=[[발렌스]]†<br/>[[세바스티아누스 (전사함4세기)|세바스티아누스]]†
|지휘관2=[[프리티게른]]<br/>알라테우스
|병력1= 15,000 - 30,000
21번째 줄:
==배경==
[[376년]] [[훈족]]의 침입으로 위협을 받은 [[고트족]]은 [[동로마 제국]]의 [[발렌스]] 황제에게 로마 제국의 영토로의 이주를 허가해 달라고 청원하였다. 발렌스는 그들의 청원을 받아들여 [[트라키아]]로 이주할 것을 허가하고 지방 정부에게 그들의 정착을 도와주라고 명령했다. 그들은 로마의 [[푀데라티|동맹 부족]]이 되어 안정적으로 정착해 살 수 있었다. 그러나 트라키아의 총독 루키피누스는 황제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도나우 강]]을 건너온 고트족의 재산을 빼앗고 거처를 마련해 주지 않아 이들은 거의 기아 상태에 빠졌다.
[[377년]] 여름 고트족 난민들은 생존을 위해 필사적인 저항에 나섰다. 그들은 마리아노폴리스로 몰려가서 루키피누스와의 면담을 요청햇으나 총독 루키피누스는 거절하고 오히려 군대를 이끌고 이들을 해산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루키피누스는 오히려 고트족에게 패하여 달아났고 발렌스는 [[서로마 제국|서로마]] 황제 [[그라티아누스]]에게 증원군을 요청했다. 동서 로마 제국의 대규모 증권군에도 불구하고 고트족과 로마군 어느 쪽도 분명한 승리를 이루지 못한 채 2년이 경과하였다. [[378년]] 봄, 발렌스는 그라티아누스의 약속을 받고 마침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발칸 반도]]로 향했다. 발렌스는 시리아의 [[안티오키아]]를 출발해 5월 말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다. 그라티아누스도 증원군을 더 보냈으나 [[알레마니족]]이 [[라인강]]을 넘어 쳐들어오자 병력을 다시 불러들였고 갈리아에서 알레마니족을 격퇴하는데 성공했다. 한편 발렌스는 [[아드리아노폴리스]]까지 진군하여 상당한 규모의 고트족을 격퇴하고 서방의 증원군을 기다리고 있었다.
 
[[377년]] 여름 고트족 난민들은 생존을 위해 필사적인 저항에 나섰다. 그들은 마리아노폴리스로 몰려가서 루키피누스와의 면담을 요청햇으나 총독 루키피누스는 거절하고 오히려 군대를 이끌고 이들을 해산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루키피누스는 오히려 고트족에게 패하여 달아났고 발렌스는 [[서로마 제국|서로마]] 황제 [[그라티아누스]]에게 증원군을 요청했다. 동서 로마 제국의 대규모 증권군에도 불구하고 고트족과 로마군 어느 쪽도 분명한 승리를 이루지 못한 채 2년이 경과하였다.
 
[[378년]] 봄, 발렌스는 그라티아누스의 약속을 받고 마침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발칸 반도]]로 향했다. 발렌스는 시리아의 [[안티오크]]를 출발해 5월 말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다. 그라티아누스도 증원군을 더 보냈으나 [[알레마니족]]이 [[라인강]]을 넘어 쳐들어오자 병력을 다시 불러들였고 갈리아에서 알레마니족을 격퇴하는데 성공했다. 한편 발렌스는 [[아드리아노폴리스]]까지 진군하여 상당한 규모의 고트족을 격퇴하고 서방의 증원군을 기다리고 있었다.
 
==전투의 경과==
줄 33 ⟶ 30:
다음날 전투가 개시되었다. 아드리아노폴리스의 성문을 나선 로마군은 적을 발견하자 마자 급하게 공격을 시작했다. 미처 전열이 갖추어지기도 전에 시작한 공격으로 로마군은 처음부터 밀릴수 밖에 없었다. 로마군은 전투단위와 명령체계가 분명한 반면 부족단위의 고트족은 개별적으로 전투에 임했다. 고트족은 짐수레를 둥글게 둘라싸고 방어진을 취했고 가운데에 함께온 가족과 재산을 놓고 필사적으로 로마군을 공격하였다. 로마군은 각 전투 단위마다 기능에 따라 효과적으로 응대하는 전략을 취하지 못하고 고트족에게 격퇴당했다. 상대를 야만족이라고 얕보았던 발렌스는 전투 경험이 없었다.
 
고트족 기병에 밀린 로마군은 대대장 35명과 군단 전체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막대한 손실을 입고 패했다. 로마군 총사령관 세바스티나누스와 부사령관 트라야누스는 전사했다. 발렌스도 그 전투에서 죽었는데 정확히 어떻게 죽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화살에 맞아 죽었다고도 하고 호위대에서 떨어져 들판의 농가의 오두막에 숨어들었다가 고트족에세 불에 태워져 죽었다고도 한다.<ref>[[시오노 나나미]]는 발렌스 황제가 불에 타 죽었다고 저작《[[로마인 이야기]] 14권: 그리스도의 승리》에 기록하였다.</ref>
 
== 결과 ==
고트족은 로마 병사들이 값나가는 물건을 놓고 왔을 것으로 추정되는 [[에디르네|아드리아노폴리스]]를 공략하러 갔다. 하지만 전체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패잔병이 [[에디르네|아드리아노폴리스]]로 도망쳐서 방위에 앞장서고 있었다. 결국 공략을 단념한 고트족은 그대로 로마 가도를 따라 [[남동쪽]]으로 향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목표로 삼은 것이다. 하지만 이곳은 [[비잔티움 제국|로마 제국 동방의 수도]]였다. 게다가 방위 면에서는 만점인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고트족은 이 대도시를 공략하는 것도 일찌감치 단념했다.<ref>[[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14권: 그리스도의 승리》. 311쪽.</ref>
== 영향 ==
이 전투의 패배는 로마인에게 아주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로마군은 더이상 천마무적의 불패가 아니며 야만족은 로마군을 압도하게 되었다. 황제가 전투에서 죽은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로마군이 게르만족에게 참패한 것도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그러나 예전의 패배는 곧 로마군은 일어나서 복수했지만 이 전투의 패배는 결코 설욕되지 않았다. 결국 로마의 게르만화는 더 이상 시대를 거스를 수 없는 일이 되고 말았다.
 
발렌스의 뒤를 이어 [[테오도시우스 1세]]가 동로마의 황제가 되었고 그는 계속해서 밀려오는 고트족을 결국 로마 영토 안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 주석 ==
<references/>
[[분류:고대 로마의 전투]]
[[분류:비잔티움 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