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개인 의견을 본문에 기재하면 안 됩니다. 평창이씨 위키백과 항목부터 수정하고 내부의견 조율하여 의견 개진하는 게 순서 아닐까요? 개인적으로 경주이씨와 평창이씨는 동일 선조의 후손이라고 생각하지만, 평차이씨 위키백과 항목에서 시조를 이광으로 하고 있어 참고하여 반영했을 뿐 다른 의도는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태그: m 모바일 웹
태그: m 모바일 웹
35번째 줄:
일설에는 아버지로 알려진 이금현과 형제 관계라고 전한다. 이금현(李金現), 이금서(李金書) 부자의 이름상의 '금(金)'자가 같이 쓰인 점에서 비롯된 오해인 것 같다. 그러나, 신라와 고려의 옛 풍습에 아들의 이름에 아버지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니, 권행(權幸, 안동권씨 시조)의 아들 인행(仁幸), 공직(龔直, ?~939, 연산공씨 시조)의 아들 직달(直達)이 그 예이다.
 
[[경주 이씨]] 대동보에 따르면 이금서의 아들은 1남 이윤홍(李潤弘), 2남 이윤원(李潤遠), 3남 이윤장(李潤張)이며<ref>[[평창 이씨]] 본원 선계록에 의하면 "금서공은 [[경순왕]] 김부의 셋째 딸 '신란궁부인'을 맞아 부마가 되어 두 아들을 두셨다. 장자는 휘 윤홍이니 [[경주 이씨]]의 선조가 되시고, 둘째 아들은 휘 윤장이니 [[평창 이씨]]의 시조이시다."라고 하여 이윤장을 2남으로 기록하고 있다.</ref>, 2남 이윤원(李潤遠)은 [[가평 이씨]](加平李氏)로, 3남 이윤장(李潤張)은 [[평창 이씨]](平昌李氏)로 분적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평창 이씨]]는 [[경주 이씨]] 분적종이 아니라고 밝혀져 분적종에서 제외되었고, [[가평 이씨]](加平李氏)는 중국에서 유래되어 본래부터 분적종이 아니다. [[평창 이씨]] 내부적으로 [[조선 숙종|숙종]] 대의 족보를 근거로 이광(李匡)을 이윤장(李潤張)의 8세 손으로 보아 이윤장(李潤張)을 시조로 보는 분파와분파<ref>중앙종친회 측(정숙공파등 13개파)</ref>와 이광(李匡)을 시조로 보는 분파의분파<ref>대종회 측(익평공파등 5개파)</ref>의 대립이 있었으나, [[조선 숙종|숙종]] 대의 족보가 위작으로 밝혀져 '이광'(李匡)을 시조로 확정하고 이윤장과의 관련성에 선을 그었다.
 
[[이제현]](李齊賢)의 묘지명(墓誌銘)에 의하면 "신라왕 김부(金溥 : 敬順王)가 국토를 바치고 고려 조정에 들어와 태조(太祖)의 딸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樂浪公主)에게 장가들어 딸<ref>신란궁부인 김씨이다.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는 출가 후 신란궁부인으로 불렸는데, 그 딸인 김씨가 다시 신란궁부인에 봉작되었다.</ref>을 낳았고, 그 딸이 금서의 아내가 되어 윤홍(潤弘)을 낳았으며" 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또 이윤홍이 '신라말' 병정(兵正)을 했다는 기록을 들어 연대상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한다.<ref>이에 대해 경주이씨 대종보 총편에 '고려 초 관제에 병부령(兵部令)을 설치할 때 병정(兵正)을 두었고 품계는 재상(宰相)과 같다.'고 설명하고 있다.</ref> 그러나 이금서가 중원태수(中原太守) 호부랑중(戶部郞中)으로 고려에서 처음 벼슬을 시작했고, 그 아들 이윤홍의 병정(兵正) 벼슬과 관련하여 [[고려]] 초 관제에 병부령(兵部令)을 설치하면서 병정(兵正)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윤홍의 병정(兵正) 벼슬은 [[고려]] 초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