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평창동 보현산신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iwayama (토론 | 기여)
새 문서: 평창동보현산신각 平倉洞普賢山神閣 ▒ 지정번호 :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3호 ▒ 지정연월일 : 1973년 1월 26일 ▒ 규모·양식 : 정면1칸…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정보==
평창동보현산신각 平倉洞普賢山神閣
 
▒ 지정번호 :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3호
'''평창동보현산신각 平倉洞普賢山神閣'''
▒ 지정연월일 : 1973년 1월 26일
▒ 규모·양식
▒ 지정번호 :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3호
: 정면1칸, 측면1칸, 맞배지붕
▒ 소 유 자
▒ 지정연월일 : 1973년 1월 26일
: 사유
▒ 소 재 지
▒ 규모·양식: 정면1칸, 측면1칸, 맞배지붕
: 종로구 평창동 541-1
▒ 소 유 자: 사유
▒ 소 재 지: 종로구 평창동 541-1
평창동 보현산신각은 마을의 평안과 주민의 안녕을 산신에게 기원하기 위해 북한산 보현봉(普賢峰) 기슭에 세운 것이다.
줄 15 ⟶ 19:
제일(祭日)은 3월 1일 산신각ㆍ여산신각ㆍ부군당 세 곳에서 동시에 행하며 음력 2월 초순에 제관(祭官)과 임원 7명을 선정한다. 제물은 다른 곳과 비슷하나 돼지 한 마리를 통째로 삶아 바친다. 제의(祭儀)는 유례식(儒禮式)으로 엄숙하게 진행된다. 산신은 주신(主神)이고 여신과는 부부 사이며 신당이 아니고 산신각이기 때문에 일체의 소란을 피울 수 없고 따라서 도당굿 같은 것은 없다고 한다.
특히 산신각에 봉안되어 있는 산신도는 우리나라 고대 산신관념(山神觀念)의 전통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귀중한 민속자료로 주목된다.
 
{{서울시공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