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구식 태그 시각 편집
태그: 구식 태그 시각 편집
1,394번째 줄:
 
f가 ''죄''의 배수일 때 정확하게 동등하게. 여기서 π은 우터링거의 불평등에서 최적의 상수로 나타나며, 고유값의 [[Variational theorem|변동적 특성화]]를 이용하여 가장 작은 파수라는 것을 따른다. 따라서 π은 두 엔드포인트([[Sobolev space|소볼레프]] 공간)에서 소멸되는 [0,1]의 함수 공간에 대한 파생사업자의 최소 [[Singular value|단수값]]이다.).
 
 
'''<big>글레이셔-킨켈린</big>''' '''<big><math>K</math>함수(K-function)</big>'''
: <math>K(n)=\prod_{k=1}^{n-1} k^k</math>
: <math>\prod_{k=1}^\infty k^{1\over k^2} = \left(\frac{A^{12}}{2\pi e^\gamma} \right)^{{\pi^2}\over6}</math>
: [[원주율]] <math>{\pi} ,</math> [[E (상수)|자연로그의 밑]]<math>{e} \;\; , \;\;\; \gamma</math>[[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big>글레이셔-킨켈린 <math>G</math>함수(G-function)</big>'''
 
: <math>G(n)=\prod_{k=1}^{n-2} k!=\frac{\left[\Gamma(n)\right]^{n-1}}{K(n)}</math> 여기서 <math>\;\; \Gamma(n)</math>는 [[감마 함수]]
 
: <math>A=\lim_{n\to\infty} { {(2\pi)^{n\over2} n^{{n^2\over2}-{1\over12}} e^{{{-3n^2}\over{4}}+{1\over12}}}\over{G(n+1)} }</math>
:
 
=== 복소수 계산 ===
줄 1,465 ⟶ 1,478:
:<math>R_{\mu \nu} - {1 \over 2}g_{\mu \nu}\,R + g_{\mu \nu} \Lambda = {8 \pi G \over c^4} T_{\mu \nu}</math>
: 여기서 <math>R_{\mu \nu}\,</math>은 [[리치 곡률]], <math>R\,</math> 은 [[스칼라 곡률]], <math>g_{\mu \nu}\,</math>는 [[계량 텐서]], <math>\Lambda\,</math> 는 [[우주 상수]], <math>G\,</math> 는 [[중력 상수]], <math>c\,</math> 는 [[빛의 속도|광속]], 그리고 <math>T_{\mu \nu}\,</math>는 [[에너지-운동량 텐서]]이다.
 
'''<big>글레이셔-킨켈린</big>''' '''<big><math>K</math>함수(K-function)</big>'''
 
: <math>K(n)=\prod_{k=1}^{n-1} k^k</math>
: <math>\prod_{k=1}^\infty k^{1\over k^2} = \left(\frac{A^{12}}{2\pi e^\gamma} \right)^{{\pi^2}\over6}</math>
: [[원주율]] <math>{\pi} ,</math> [[E (상수)|자연로그의 밑]]<math>{e} \;\; , \;\;\; \gamma</math>[[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big>글레이셔-킨켈린 <math>G</math>함수(G-function)</big>'''
 
: <math>G(n)=\prod_{k=1}^{n-2} k!=\frac{\left[\Gamma(n)\right]^{n-1}}{K(n)}</math> 여기서 <math>\;\; \Gamma(n)</math>는 [[감마 함수]]
 
: <math>A=\lim_{n\to\infty} { {(2\pi)^{n\over2} n^{{n^2\over2}-{1\over12}} e^{{{-3n^2}\over{4}}+{1\over12}}}\over{G(n+1)} }</math>
:
 
=== 확률과 통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