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독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경제학에서 '''수요 독점'''({{lang|en|monopsony}})이란 수요자 1명이 독점력을 행사하는 시장 구조를 말한다. 수요 독점 이론은 경제학자 [[조안 로빈슨]]의 저서 "The Economics of Imperfect Competition"에서 제시되었다.<ref>{{서적 인용|성1=Robinson|이름1=Joan |제목=The Economics of Imperfect Competitions |날짜=1969 |출판사=Springer |isbn=978-1-349-15320-6 |판=2 |url=https://link.springer.com/book/10.1007/978-1-349-15320-6}}</ref> 수요 독점에서 1명의 구매자가 다른 구매자와의 경쟁에 직면하지 않게 되므로, [[완전경쟁시장]]의 경우보다 낮은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 독점력의 원천 ==
수요 독점인 노동시장에서 독점력의 원천은 근로자의 직업에 대한 선호와 직장을 옮기기 위한 이동 비용을 들 수 있다.<ref>{{서적 인용|성1=Manning|이름1=Alan |제목=Monopsony in Motion: Imperfect Competition in Labor Markets |날짜=2003 |출판사=Princeton University Press |위치=NJ}}</ref> 근로자가 특정한 직무에 관한 선호를 갖고 있으며, 근로자의 선호를 만족하는 직장이 적은 경우에는 기업이 노동 시장에서 독점력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가 이직하는 데 비용이 드는 경우에는 다른 기업이 근로자를 유인할 때 훨씬 높은 임금을 제시하여야 하는데, 이직 비용이 노동시장에 상당한 수준의 관성효과를 유발한다.<ref name="borjas">{{서적 인용|성1=Borjas|이름1=George J. |제목=노동경제학 |날짜=2017 |출판사=시그마프레스 |isbn=978-89-6866-853-1 |쪽=202-208 |판=7}}</ref> 이직에 드는 비용이 높아 근로자가 쉽게 이직을 결정할 수 없게 된다면 기업은 노동시장에서 수요 독점력을 갖게 된다.
== 수요 독점 모형 ==
=== 한계 지출 ===
줄 18 ⟶ 21:
=== 최저임금 ===
[[File:Effect of minimum wage in monopsony labor market.svg|섬네일|수요 독점 노동 시장에서의 최저임금의 효과]]
만약 노동시장에서 기업이 시장력을 갖고 있다면 최저임금을 적절히 설정하는 경우 임금과 고용량이 모두 증가될 수 있다.<ref>{{저널 인용|성1=Stigler|이름1=George J. |제목=The Economics of Minimum Wage Legislation |저널=American Economic Review |날짜=1946 |권=36 |호=3 |쪽=358-365}}</ref><ref name="borjas">{{서적 인용|성1=Borjas|이름1=George J. |제목=노동경제학 |날짜=2017 |출판사=시그마프레스 |isbn=978-89-6866-853-1 |쪽=202-207 |판=7}}</ref> 최저임금은 그 임금 수준에서의 공급곡선상 공급량에 도달할 때까지 한계지출곡선을 수평선으로 만드는 효과가 있다.
 
수요 독점에서는 한계수입생산과 한계지출이 일치하는 노동량에 대응하는 공급곡선에서의 임금 <math>w_m</math>에서 임금이 결정될 것이지만, 최저임금제의 도입으로 한계지출이 최저임금 수준의 수평선으로 바뀌게 된다. 경쟁시장에서의 임금을 최저임금으로 설정한다면 임금은 <math>w^{*}</math>, 노동량은 <math>L^{*}</math>에서 결정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