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지하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psp (토론 | 기여)
잔글 →‎노선망의 확정: 기조를 띠다
2기 지하철
9번째 줄:
 
== 노선망의 확정 ==
앞서 있었던 계획은 근본적으로 기존 네트워크에 지선을 추가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것은 지하철 사각지대에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만으로도 지하철을 건설할 수 있게 해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서울의 통행특성에 대하여 면밀하게 분석하지 않고 고속 간선망을 설계한 것이었다. 이미 [[1기 지하철]]만으로도 출퇴근시간대에는 매우 높은 혼잡도를 보이고 있던 상황이었다. 여기에 2기 지하철에서 들어오는 인파까지 더해진다면 그 혼잡도는 더욱 극심한 것이 될 것이었다. 더욱 많은 통행(목표치는 총여객수송량의 50%였다)을 지하철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따라서 더 많은 간선망이 필요했다. 그리고 그 간선망은 되도록이면 도심을 관통해야만 했다. 서울에서도 이제 직주분리는 매우 일반적인 현상이었고, 통근통행과 업무통행은 도심 그리고 1980년대 후반부터는 강남으로도 집중하기 시작했다. 이들 지역으로 진입하는 [[1기 지하철]]의 통행량을 분담하기 위해서라도 간선망은 도심이나 강남을 통과해야만 했던 것이다. 물론 지하철 사각지대에 대한 배려가 이미 간선망이 어느 정도 이뤄진 시점에서 이뤄지고 있는 2기 지하철의 노선계획에서 빠져서는 안되었다. 굴곡노선이나 짧은 역간거리가 2기 지하철에서 상대적으로 눈에 많이 띄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이러한 기조를 띤 계획이 [[1989년]] 서울시가 [[국토개발연구원]]에 발주한 용역에서 나온 결과였고, 여기서 개설해야한다고 논의된 노선은 [[서울 지하철 2호선|2]]·[[서울 지하철 3호선|3]]·[[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4]] 연장과 ·[[서울 지하철 5호선|5]]·[[서울 지하철 6호선|6]]·[[서울 지하철 7호선|7]]·[[서울 지하철 8호선|8]]·[[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의 총 길이 약 204Km의 노선이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의 경우에는 [[군자차량사업소|군자기지]]의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정차량사업소|신정기지]]의 건설과 본선 연결이 주된 이유였고, [[서울 지하철 3호선|3]]·[[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은 입주가 진행되었으나 지하철이 없어 교통난을 겪고 있던 개포 및 노원 일대에 지하철을 제공하기 위해서였다. 도심 관통 간선망으로 기획된 것은 [[서울 지하철 5호선|5]]·[[서울 지하철 6호선|6]]·[[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이었으며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은 서울 동남부의 연결 및 [[광주대단지]] 계획 당시부터 구상되어 [[1971년]] 8월에 있었던 수도권 전철망 구성 계획에도 포함되어있던 성남전철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만 이 노선은 [[분당선]]과의 경합을 피하기 위해 성남 구시가를 두루 관통하는 노선이 되었다.
 
한편 교직류 양용차량에 대한 투자를 하지 않고 또한 토목 및 건축 비용 감소를 위해 2기지하철은 교외 전철과의 직결운행을 염두에 두지 않고 계획되었다(서울지하철건설삼십년사, 서울시:2003). 구체적으로 살펴볼 경우, 2기 지하철 차량의 높이는 4750mm인데 반해 서울메트로 차량의 높이는 4900mm에서 5000mm인 경우를 들 수 있다<ref> 운영 회사 제공 자료 참조.
15번째 줄:
*서울메트로의 차량제원 http://www.seoulmetro.co.kr/bi/bi_main.jsp?subPage=bi_2_2.jsp&m_def=7&ss_def=4&leftM_def=2&leftS_def=2 </ref>.
 
== 3·4호선의 연장 == <!--및 2호선 신정지선의 건설 ==-->
[[1기 지하철]] 노선의 연장선 및 지선은 이미 이전의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사업 진행이 빠른 편이었다. [[1989년]]부터 이들 사업이 진행되었다.
<!--=== 3·4호선 연장선 ===-->
우선 [[1989년]] 12월 3, 4호선 연장구간 공사가 착공되었다. [[과천선]] 또한 같은 시기에 착공되었으나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이 시공을 전 구간 담당하였다. 다만 [[사당역|사당]] - [[남태령역|남태령]] 구간은 서울시가 운영하게 되었다.
 
==== 3호선 연장선(수서 - 양재) ====
[[파일:Seoul-Metro-3-Suseo-station-platform.jpg|thumb|250px|[[수서역]]]]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연장선은 이미 [[1986년]] 건설고시가 되어 있었으나 보류되었다. 그러나 개포, 대치, 수서지구의 입주로 인한 교통량의 처리 및 본선의 운행밀도 증가, 노선 연장 및 [[일산선]]으로 인한 지축기지 용량 부족으로 인해 필요해진 [[수서차량사업소|수서기지]]에 대한 연락선 확보를 위해 사업이 추진되었다.
 
노선은 원래 양재~개포~수서였다. 그러나 대치동 주민이 집단민원을 제기하자 양재~대치~탄천변~수서로 노선이 1차 변경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개포동 주민이 집단민원을 제기하였고, [[1989년]] 9월에는 대치동에서 남하, 개포동을 통과([[대청역]])하고 수서지구를 지나([[일원역]]) 수서로 가는 노선이 최종 확정되었다.
 
개통은 [[1993년]] 10월이었고, 동시에 [[수서차량사업소|수서기지]] 역시 가동을 시작하였다. 이미 개발이 [[근린주구]](近鱗住區) 형태로 진행되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이후의 인구 분포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며, 주거지역이 대부분의 토지 이용 형태이므로 승객의 밀도는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전체의 평균 이하다. [[분당선]] 개통으로부터 연장선 개통에 이르는 시기동안은 [[분당선]] 승객이 갈아탈 수 있는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이외의 유일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말단의 굴곡이 부각되기도 했다.
 
==== 4호선 연장선(상계 - 당고개) ====
[[파일:Danggogae Station 409.jpg|thumb|250px|[[당고개역]]]]
이 노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을 상계동 동부로 연장시키기 위해 건설된 노선이다. 이 지역은 [[상계역]], [[노원역]] 등지의 고층 고밀도 근린주구 개발형태와는 달리 저층 고밀도 개발이 전개된 지역이다. 그에 따라 지역 주민의 경제력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형 여건상 도로의 기능 발휘엔 한계가 있었으므로, 대용량 대중교통 공급이 이뤄져야만 했던 곳이었다. 부지는 하천부지를 전용하였고, 그 위에 고가철도 건설을 시행했다.
 
[[1993년]] 4월 개통하였고, 회차를 위해 인입선이 개설되었다. 부지 여건상 회차선 개설을 위해 [[수락산]]에 터널을 시공하였다.
 
<!--=== 2호선 신정지선의 건설 ===-->
== 5·6·7·8호선의 건설 ==
=== 착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