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말말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각주 문단 정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1번째 줄:
'''속말말갈'''(粟末靺鞨)은 [[말갈]]의 한 부족이다. 반농반수렵(半農半狩獵)을 주로 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는 모든 말갈들을 복속시켰고 [[물길]]이 차지한 옛 [[부여]] 지역의 [[송화강]] 일대에 거주하는 물길 7종 하나인 속말말갈은 자주가장 [[고구려]]를 약탈하다가나중에 [[581년]]~[[600년|600]]에, 고구려와의 싸움에서 패배하여,[[고구려]] 복속되었다정복되었다.
 
이때 속말말갈 궐계부(厥稽部)의 만돌<ref>《[[북사]]》, 《[[신당서]]》등에 따르면, 말갈의 추장을 대막부만돌이라고 하는데, 《[[책부원귀]]》에서 돌지계의 형으로 언급되는 만돌과 동일한 것으로 보이고, 일부 학자들은 [[만주]]와 어원이 동일하다고 추측하고 있다.</ref>과 그의 동생 [[돌지계]]는 홀사래부(忽賜來部)·굴돌시부(窟突始部)·열계몽부(悦稽蒙部)·월우부(越羽部)·보호뢰부(步護賴部)·파해부(破奚部)·보보괄리부(步步括利部) 등 8부의 정예병 수천여 명을 이끌고, 부여성 서북으로부터 부락을 거느리고 관새를 향하여 [[수나라]]에 내부하였다.<ref>《太平寰宇記》卷七十一 河北道二十 ''隋北蕃風俗記云, 初開皇中, 栗來靺鞨與髙麗戰不勝, 有厥稽部渠長突地稽者, 卒忽賜來部·窟突始部·悦稽蒙部·越羽部·步護賴部·破奚部·步步括利部, 凡八部勝兵數千人, 自扶餘城西北, 齊部落向關内附, 處之柳城, 乃燕都之柳城在燕都之北. 煬帝大業八年, 為置遼西郡, 并遼西懐遠瀘河三縣, 以統之, 取秦漢遼西郡為名也. 唐武徳元年, 改為燕州總管府, 領遼西瀘河懐遠三縣. 其年廢瀘河縣. 六年, 自營州南遷寄治於幽州城内. 貞觀元年, 廢都督府, 仍省懐遠縣. 開元二十五年, 移治所于幽州北桃谷山. 天寳元年, 改為歸徳郡. 乾元元年, 復為燕州.''</ref><ref>《太平寰宇記》卷六十九 宋樂史撰 河北道十八 幽州 ''幽都縣十二鄉. 舊縣即薊縣地. 今邑治薊西界. 按郡國縣道記云, 建中二年, 於羅城内廢燕州廨置在府北一里. 其燕州本國, 因栗末靺羯首領突地稽.) 當隋開皇中, 領部落歸化, 處之於營州界. 煬帝八年, 為置遼西郡, 翊地稽為太守, 治營州東二百里汝羅城. 後遭邊冦侵抄, 又寄治于營州城内. 唐武徳二年, 改遼西郡為燕州, 仍置總管. 六年, 自營幽徙居幽州城内, 歴代襲燕州刺史. 建中初, 為朱滔所破滅, 尋州廢, 立此縣于故城.''</ref>
 
말갈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긴 《[[수서 (역사서)]]》에서 불열말갈 동쪽 지방의 화살만 모두 돌촉(石鏃)인데, 바로 옛날 숙신씨의 지역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줄 11 ⟶ 9:
[[조양]]에서 출토된 석상 2점의 족속을 속말말갈로 추정하기도 한다.
 
[[668년]], [[신라]]와고구려가 [[당나라]] 군대가 고구려를 멸망시키자,멸망하자 고구려에 복속되었던 말갈족들은 사방으로 흩어지거나 당나라의 [[차오양 시|영주]](營州)로 강제 이주당했다.
 
[[696년]], 영주에서 거란의 [[이진충]](李盡忠)이 당나라에 반기를 들자 , [[대걸중상]]<ref>일각에서는《[[통지]]》에서 당 고종 시기의 장수인 사리아박(舍利阿搏)의 예를 들며 [[대걸중상]]은 사리부(舍利部)의 추장족(酋長族) 사리씨(舍利氏)가 대(大)씨의 본래 성씨라고 한 것을 근거로 삼아 대걸중상을 속말말갈 사리부의 추장으로 보고있다.</ref>은 말갈반인 [[걸사비우]]와 함께 각각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들을 이끌며 영주를 탈출했다.
 
이후 대조영이 이끄는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들은 당나라군대의 추격을 피해 요동을 떠나 [[읍루]]의 [[동모산]]으로 가서 나라를 세웠으니 그 나라가 바로 [[발해]]다.<ref>《[[신당서]]》에는 발해 대씨를 [[고구려]]에 부속되있던 '''속말말갈인'''으로 설명하고 있고, 《[[구당서]]》에는 '''발해말갈'''의 [[대조영]]을 '''고구려의 별종'''이라고 기록하여 '''말갈의 걸사비우'''와 그 세력을 구분하고 있다.</ref> 대조영은 당나라를 토벌하고 영주를 정복하였다.
 
== 속말말갈 지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