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이집트 혁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952년 이집트 혁명과 관련 없는 내용 삭제
60번째 줄:
 
협상에서 파루크 1세는 나기브를 내각 총리로 임명하였다. 나기브는 파루크 1세가 전권을 내려놓고 망명할 것을 요구하였다. 파루크 1세는 이를 승인하였고 국외로 망명을 하였다.
 
== 내부 갈등 ==
1953년 6월 나기브는 공화정을 선포하여 군주제와 귀족 제도를 폐지하였고 이집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나세르는 부총리에 임명이 되었다. 그러나 나기브는 제대로 된 토지 개혁을 실시하지 않았다. 나세르는 나기브가 혁명 정부의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결국 나기브는 1954년 2월 대통령직에서 사임하였다. 그러나 갈등은 계속되었으며, 자유장교단이 결성한 혁명평의회에서 내부 권력 투쟁이 일어났다.
 
이 권력 투쟁에서 나세르는 신속한 토지 개혁과 세속주의 정책을 주요 의제로 내세웠다. 무슬림 형제단은 이집트에서 이슬람 질서를 완화하려는 나세르에 대항하였고 몇 차례의 암살 시도를 감행하였다. 나세르는 나기브가 반동적인 무슬림 형제단의 꼭두각시 노릇을 한다고 비판했다. 나세르는 무슬림 형제단에서 혁명에 동의하고 있던 일부 인사를 포섭하였고, 이집트 사회주의자 및 공산주의자의 지지를 확보하였다. 결국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였고, 나기브가 정치적으로 부활할 수 없도록 그를 가택 연금시켰다. 이후 나세르는 혁명평의회의 사실상의 지도자가 되었고, 평의회 내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의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해 무슬림 형제단을 탄압하였다. 1956년 6월 나세르는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다.<ref>Nutting, Anthony. Nasser. New York: E.P. Dutton, 1972. pp. 60-61</ref>
 
== 수에즈 위기 ==
대통령에 취임한 나세르는 토지 개혁을 단행하여 소작제를 폐지한 후 지주의 토지를 몰수하였고, 물수한 토지를 빈농과 소농에게 분배하였다. 또한 산업을 국유화하였으며, 외국 자본을 동결하였고, 부당한 자본은 몰수하였다. 이후 소비에트 연방과의 경제 협력을 통하여 국내 산업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러한 혁명 과정을 서유럽 국가들이 가만히 보고만 있을 리는 없었다. 영국·프랑스·이스라엘 3국은 비밀리에 군사협정을 맺고 이스라엘의 이집트에 대한 도발을 사주하는 한편 침공계획을 작성하기 시작하였고, 미국은 이라크의 실권자 누리 사이드를 포섭, 1955년 2월 [[바그다드 조약기구]](Baghdad pact)를 창설함으로써 중동지역에 대한 영향력 강화와 아랍권의 분열을 기도했다.
 
1956년 7월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 회사와 운하통행료의 국유화를 선언했다. 이에 영국은 격분하였고, 영국과 프랑스는 외교적 교섭과 군사행동 중 '폴리스 액션(police action)'으로서 후자를 택하였으나 미국은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양국에 권고하였다.
 
1956년 10월 29일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를 침공했고 11월 5일 영·프 연합 공수부대가 수에즈 운하의 관문인 포트 사이드에 투하되었다. 전세는 처음부터 완전한 시나리오하에 기습한 영국·프랑스·이스라엘에 의해 주도되어 11월 6일 수에즈 운하와 시나이 반도는 공격측에 점령되었다. 그러나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을 중심으로 한 유엔의 철군 요구와 세계 여론의 압력이 급증, 3국은 정치적 곤경에 놓이게 되었고, 11월 14일 [[유엔 총회]]에서 유엔 긴급군(UNEF)의 파견을 내용으로 하는 정전안이 채택되자 영국과 프랑스는 즉각 철수하였다.
 
== 각주 ==
{{각주}}
{{위키공용분류}}
<references />
 
{{근현대 중동 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