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궐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
 
〈'''동궐도'''〉(東闕圖)는 조선후기 [[조선 순조|순조]] 연간에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인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궁궐 전경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궁궐 그림이다. 현재 두 점이 전해지는데, [[고려대학교#박물관|고려대박물관]]과 [[동아대학교 박물관|동아대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소장본은 1989년 국보 제249호로 등록되었으며, 동아대학교 소장본은 1975년 보물 제596호 "궁궐도"로 등록되었다가 1995년에 고려대학교 소장본과 같이 국보 제249호로 승격되었다.
 
== 소장본의 특징 ==
45번째 줄:
 
== 화법 및 평가 ==
동궐도는 장대한 규모와 정교한 묘사에 있어서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궁궐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평가받는다.<ref>[http://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오른쪽 위에서 비껴 내려다보는 시각으로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두 궁의 전각과 다리·담장은 물론 연꽃과 괴석 등 조경까지 실제와 같은 모습으로 선명하고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배경이 되는 산과 언덕 부분의 묘사방식은 [[남종화]](南宗畵)의 준법을 따르고 있으나, 채색을 써서 입체적으로 그린 건물의 표현과 자연스러운 원근 처리 등에 있어서는 서양화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
동궐도는 오른쪽 위에서 비껴 내려다보는 시각으로,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두 궁의 전각과 다리·담장은 물론 연꽃과 괴석 등 조경까지 실제와 같은 모습으로 선명하고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배경이 되는 산과 언덕 부분의 묘사방식은 [[남종화]](南宗畵)의 준법을 따르고 있으나, 채색을 써서 입체적으로 그린 건물의 표현과 자연스러운 원근 처리 등에 있어서는 서양화법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이 작품은 도화서 화원들의 원숙하고도 절묘한 기법으로 그려진 우수한 작품으로서 《궁궐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내용들이 보다 입체적이고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과학기술사의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각종 건물·시설·명칭 등이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동궐도는 당시에 유행했던 화풍을 파악할 수 있는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자료일 뿐만 아니라, 건축·조경·과학기술사·궁궐사 등 각 분야의 연구에서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리고 화려하고 장엄했던 조선후기 궁궐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옛 모습을 잃은 현재의 궁궐들을 복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위키공용분류}}
 
이 작품은 도화서 화원들의 원숙하고도 절묘한 기법으로 그려진 우수한 작품으로서 《[[궁궐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내용들이 보다 입체적이고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과학기술사의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각종 건물·시설·명칭 등이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동궐도는 당시에 유행했던 화풍을 파악할 수 있는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자료일 뿐만 아니라, 건축·조경·과학기술사·궁궐사 등 각 분야의 연구에서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리고 화려하고 장엄했던 조선후기 궁궐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옛 모습을 잃은 현재의 궁궐들을 복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 참고자료 ==
* {{문화재청 문화재|11,02490100,11}}{{위키공용분류}}
 
{{서울시공개자료}}{{대한민국의 국보| 국보 제201호 - 제300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