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트 1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로봇이 더함: be:Мурад I; 예쁘게 바꿈
백두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군주 정보
|이름=무라드무라트 1세
|그림=Muradhudavendigar.jpg‎
|재위=[[1359년]] ~ [[1389년]]
7번째 줄:
|목록=[[오스만 제국의 군주|오스만 제국 술탄]]
}}
'''무라드무라트 1세'''([[터키어]]:{{llang|ota|مراد الأول}}, {{llang|tr|I. Murat, HügavendigârMurad Hüdavendigâr}},[[1319년]] 또는 [[1326년]] – [[1389년]], [[아랍어]]:راد الأول )는 [[1359년]]부터 [[1389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제 3대 통치자였다. 그는 제 2대 [[오르한 1세]]와 [[비잔틴 제국]]의 공주 헬렌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형 슐레이만이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기 때문에[[1359년]] 아버지가 죽자 오스만 제국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는 오스만 제국의 제도 및 기초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을 [[제국]]이라고 불릴 수 있을정도로 발전시켰기에 훗날 "제왕"(Hüdavendigar)이라 불리었다.
 
== 생애 ==
무라드무라트 1세는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발칸반도에서 군사행동을 지속시켰다. [[1369년]] 비잔틴 제국의 트라키아 지방에 있던 중요거점 [[아드리아노폴리스]](현재 에디네)을 정복하여 이곳을 수도 [[부르사]]와 함께 제 2의 수도로 삼았다. 무라드무라트 1세는 [[유럽]]에 대한 영토확장 계속하여 [[세르비아]],[[불가리아]],[[헝가리]]의 제후국들과 싸워 [[1385년]]에는 [[소피아]]를 정복하여 거의 대부분을 점령했고, 발칸지방의 대부분을 오스만 제국의 영토로 편입시키며 [[비잔티움 제국]]을 압박해 황제에게 공물을 요구하였다.
 
또 한편 [[아나톨리아]] 지방의 제후국인 [[카라만]]의 연합군과 싸워 [[코나안 전투]]에서 승리하고, 투르크계 여러 제후국과 융화정책을 추진해 혼인등의 수단으로 영토를 확대했다. [[1389년]] 무라드 1세는 [[우로슈 4세]] 사후 쇠퇴를 시작한 [[세르비아]]와 싸움을 벌여 [[코소보 전투]]에서 세르비아의 왕자 라자르와 전투를 벌여 승리를 얻었다. 그러나 이 전투직후 전후처리의 석상에서 탈영병으로 가장한 세르비아의 귀족 [[밀로스 오블리크]]가 술탄의 막사로 들어가 독이 묻은 단검으로 무라드무라트 1세를 암살하였다. 밀로스 오블리크는 세르비아의 영웅서사시에 그 이름을 남겼으며, ''무라드를무라트를 찔러 죽인 영웅''으로 전해지고 있다.
 
무라드무라트 1세의 최고의 공적은 영토 확장이상으로 [[오스만 제국]]의 국가제도를 정비한 점을 꼽을 수 있다. 첫번째로 재상의 인원수를 늘리고 그 주석에 대재상으로 [[우라마]](지식인) 출신의 투르크계 유력자 챤달르 카라 하릴 파샤을 등용했다. 또한 군주 직속의 상비군으로써 보병군단 [[예니체리]]군단을 설립하고,사법대신(kaziasker), 총사령관인 베일러베이(beylerbeyi), 와지르(재상) 등 오스만 제국의 행정, 정부조직의 대부분이 그의 치세동한 확립되었다.
 
유목민이나 '''[[가지]]'''라고 불리는 전투집단으로부터 발전한 오스만 제국에게 있어 동족, 동년배중에 1인자에 불과했던 군주의 권력을 절대적인 통치자로써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1383년]] [[술탄]]의 칭호를 카이로에 있던 [[압바스 왕조]]의 [[칼리파]]로부터 처음으로 공식으로 인정받은것도 무라드무라트 1세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다.
 
동시에 이슬람법(샤리아)에 기초한 국가제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은 이슬람 국가로써 발전하면서, 한편으로 마지막에 지배층이 아닌 그리스도교인을 포함시킨것도 무라드무라트 1세 시기의 오스만 제국의 특성이었다.
 
{{전임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