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초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ef name="norman"
6번째 줄:
== 개괄 ==
[[파일:US pat 6097894 fig 3.png|right|thumb|320px|[[캐논 EOS-1D]] 시리즈의 45개 자동 초점 포인트]]
자동 초점 방식은 크게 능동 방식(Active System)과 수동 방식(Passive System)으로 나뉜다. 능동 방식은 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가 [[초음파]]나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능동’이라고 불린다. 수동 방식은 물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춘다. <ref name="norman">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ref>
 
단순한 자동 초점 방식은 초점 포인트가 하나뿐이다. 그러나 발전된 자동 초점 방식에서는 초점 포인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캐논 EOS 3]] 및 [[캐논 EOS-1D]] 시리즈는 45개의 자동 초점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자동 초점은 보통 수동 초점보다 빠르고 정확하다. 현재 시판하는 많은 카메라는 프레임(화면)에 자동 초점 포인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으며, 자동으로 피사체를 감지하여 초점을 맞춘다(보통 가장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춘다.). 몇몇 컴팩트 카메라와 대다수의 [[SLR 카메라]]는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하여 계속적으로 물체에 초점이 맞도록 하는 기능(Predictive autofocus 또는 AI Servo AF 또는 Continuous-servo AF)을 가지고 있다. <ref>[http://www.nikon.com/about/technology/core/software/caf/index.htm Predictive Focus Tracking System]</ref> <ref> Ralph E. Jacobson, Sidney F. Ray, Geoffrey G. Attridge, and Norman R. Axford. The Manual of Photography: Photographic and Digital Imaging (9th ed.). Oxford: Focal Press. ISBN 0-240-51574-9. </ref> <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디지털 카메라|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대부분 영상 촬영에 쓰이는 [[CCD]]/[[CMOS 이미지 센서]]를 자동 초점 센서로도 활용한다. [[디지털 SLR 카메라]]의 경우 [[필름]] [[SLR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자동 초점을 위한 별도의 [[CCD]]/[[CMOS 이미지 센서]]를 가지고 있다.
21번째 줄:
* 광학 시스템의 초점 조절 방식 (렌즈 이동)
 
이 두 방식은 전자적 혹은 기계적·전기역학적(electromechanical)으로 연동되어 동작한다.<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 이용 방식 ===
27번째 줄:
능동 방식은 [[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와 [[적외선]]을 이용하는 경우로 나뉜다.
 
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카메라의 초음파 발생 장치에서 방출된 초음파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카메라로는 [[폴라로이드 (기업)|폴라로이드사]]의 Spectra, SX-70가 있다.<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적외선]]을 이용하는 거리 측정 방법에는 [[삼각 측량]] 및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세기 측정,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시간 측정과 같은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카메라의 자동 초점 방식에는 이들 중 [[삼각 측량]]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카메라에서 계속적으로 방향을 달리하며 적외선을 조사(照射)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의 세기가 최대가 될 때 적외선 조사를 멈춘다. 이때의 적외선 조사 각도로 삼각 측량을 수행한다. 적외선 이용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카메라로는 [[니콘 주식회사|니콘]] 35TiQD, 28TiQD 및 [[캐논 주식회사|캐논]] AF35M을 들 수 있다. 적외선 이용 방식은 몇몇 컴팩트 필름 카메라와 초기의 [[비디오 캠코더]]에서도 쓰인다.<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 능동 방식의 단점 ===
 
능동 방식은 카메라와 물체 사이에 창문이 있는 경우, 수동 방식과는 달리 대부분 초점을 맞추지 못한다. 이는 유리가 [[초음파]]나 [[적외선]]을 반사하기 때문이다.<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또한 능동 방식은 초음파나 적외선이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먼 거리에 있는 물체에는 초점을 맞출 수 없다. 또한 TTL([[Through-the-lens]]) 방식이 아니어서 발생하는 시차(parallax) 때문에 카메라 렌즈와 매우 근접한 물체에도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없다. 반면에 TTL 수동 자동 초점 방식은 먼 거리에 있는 물체나 카메라 렌즈에 매우 근접한 물체에도 문제없이 초점을 맞출 수 있다.
43번째 줄:
== 수동 방식 ==
 
수동 방식은 물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춘다. 수동 자동 초점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다.<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 이중상 합치 방식 (autofocus rangefinder system 혹은 optical triangulation system 혹은 subject-scanning system)
53번째 줄:
=== 이중상 합치 방식 ===
[[파일:US pat 4257705 fig 3.png|right|thumb|320px|이중상 합치 방식의 개념도. d=fD/δ 공식을 통해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중상 합치]] 방식은 사용자가 이중상 합치 [[레인지파인더 카메라]](coincidence rangefinder camera)에서 [[삼각 측량]] 원리를 이용하여 눈으로 초점 맞추는 것을 [[CCD]] 센서와 컴퓨터가 대신 하는 것이다. [[이중상 합치]] 원리를 이용한 거리 측정 시스템과 주 광학 시스템이 연동되어 움직인다. 별도의 두 개 창을 통해 얻어진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초점을 맞추는 데, 다음 두 가지 작동 방식이 있다.<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 렌즈를 무한대 초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초점 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두 이미지를 계속적으로 비교한다. 두 이미지가 일치하면 초점이 맞은 상태이므로 렌즈는 이동을 멈춘다.
* 두 이미지의 위상차를 분석하여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파악하고, 이 결과에 따라 렌즈를 이동시킨다.
 
[[콘탁스]] G 시리즈, [[하니웰]]의 Visitronic 모듈을 사용하는 [[코니카 C35A]] 등에서 이중상 합치 방식을 사용한다. <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캐논 주식회사|캐논]]에서는 SST(Solid State Triangulation)이란 이름으로 이 방식을 구현하였고, [[캐논 AF514XL-S]] 영화 카메라(movie camera)와 [[캐논 New FD 35-70mm f/4 AF]] 렌즈에 채용하였다. <ref>[http://www.mir.com.my/rb/photography/companies/canon/fdresources/fdlenses/3570afzoom.htm Canon FD 35-70mm f4 Autofocus lens]</ref>
 
이중상 합치 방식은 [[Through-the-lens|TTL]]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TTL 위상차 검출 방식에 비해 여러 장단점을 갖는다. [[광각 렌즈]] 사용시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은 축소된 영상과 왜곡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데 반해, 이중상 합치 방식은 TTL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없다. 하지만 보통 90mm 이상의 망원에서는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을 분석하는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이 더 정확하고, 접사할 때에도 시차(parallax)를 갖지 않는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이 더 정확하다.<ref>[http://contaxg.com/contaxuser/#focus An Independent Resource about Contax G1 and G2 Cameras]</ref>
65번째 줄:
[[파일:Us pat 4411505 fig 1a.png|right|thumb|400px|3개의 라인 센서를 사용하는 대비 검출 방식 개념도. 초점이 맞는 경우 6<nowiki>''</nowiki> 이미지의 대비가 최대 값을 갖는다.]]
[[파일:US pat 4411505 fig 12.png|right|thumb|320px|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의 도식.]]
대비 검출 방식(對比 檢出 方式, contrast detection system)은 렌즈를 움직이면서 영상 일부(주로 중앙부분)의 대비를 계속적으로 계산하고, 대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초점이 맞았다고 판단한다. <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대비 검출 방식은 비디오 카메라와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이다. [http://www.nikon.com/about/technology/core/software/caf/index.htm Nikon의 글]에서 대비 검출 방식 설명 및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다.
 
대비 검출 방식에서 하나의 자동 초점 포인트에 사용되는 [[CCD]] 센서가 1개뿐인 경우, 렌즈를 어떤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미리 알 수 없다. 하지만 과거 몇몇 필름 [[SLR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대비 검출 방식은 하나의 자동 초점 포인트에 2~3개의 [[CCD]] 센서를 사용하여 렌즈를 움직일 방향을 미리 알 수 있다. 35mm [[SLR 카메라]] 중 최초로 [[Through-the-lens|TTL]] 자동 초점 방식을 구현한 [[펜탁스 MEF]]는 2개의 [[CCD]] 센서를 사용하는 대비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는 [[Through-the-lens|TTL]] 대비 검출 방식만을 사용한다.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별도의 자동 초점 센서를 가지고 있지 않고, 영상 [[CCD]]/[[CMOS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어진 영상의 대비를 분석하여 초점을 맞춘다. 이는 하나의 자동 초점 포인트에 CCD 센서가 1개뿐인 것과 같으므로, 렌즈를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여야 하는지 미리 알 수 없다. 또한 렌즈를 조금씩 움직일 때마다 영상 일부의 대비를 계속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TTL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SLR 카메라]]가 자동 초점 속도가 빠르다.
75번째 줄:
=== 위상차 검출 방식 ===
 
위상차 검출 방식(位上差 檢出 方式, phase detection system)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한 쌍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초점이 맞았는지 판단한다. <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ref name="dcm">[http://www.dcmcafe.co.kr/bbs/board.php?bo_table=dcm_magazine&wr_id=516&sca=DSLR&sfl=wr_subject&stx=%C3%CA%C1%A1&sop=and DCM AF 초점 조작 방법의 이해 - 작품은 정확한 초점 조작에서 시작된다]</ref> 위상차 검출 방식은 [[스플릿 이미지 스크린]](split image screen)을 통해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동작한다. <ref>[http://doug.kerr.home.att.net/pumpkin/Split_Prism.pdf Principle of the Split Image Focusing Aid and the Phase Comparison Autofocus Detector in Single Lens Reflex Cameras]</ref> 원리에 대한 간단한 설명 및 애니메이션은 [http://www.nikon.com/about/technology/core/software/caf/index.htm 니콘의 글]에서 볼 수 있고, 기술적이고 자세한 설명은 [http://doug.kerr.home.att.net/pumpkin/Split_Prism.pdf 스플릿 스크린과 위상차 검출 방식의 원리]에서 볼 수 있다.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필름]] [[SLR 카메라]] 및 [[디지털 SLR 카메라]]는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
<gallery>
그림:US pat 4792668 fig 3.png|위상차 검출 방식의 개념도
122번째 줄:
==== 위상차 검출 방식에서 렌즈 밝기와 정밀도 ====
 
위상차 검출 방식은 밝은 렌즈(최대 조리개가 큰 렌즈)를 기준으로 설계했을 때, 위상차가 더 커져 자동 초점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는 [[삼각 측량]]에서 기선(기준선, baseline)의 길이(baselength)가 길어질수록 정밀도가 높아지는 것과 유사하다. <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ref name="dcm"/> <ref>[http://doug.kerr.home.att.net/pumpkin/Split_Prism.pdf Principle of the Split Image Focusing Aid and the Phase Comparison Autofocus Detector in Single Lens Reflex Cameras]</ref> 하지만 밝은 렌즈를 기준으로 설계한 자동 초점 방식에 어두운 렌즈를 사용할 경우, 자동 초점 센서에 빛이 도달하지 못하여 자동 초점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한다. 따라서 보통 f/5.6에서 동작하도록 자동 초점 방식을 설계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어두운 렌즈에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때 자동 초점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어 f/5.6을 기준으로 설계된 카메라에 f/5.6 렌즈와 컨버터 장착 후의 실질적인 [[f 값]]을 카메라에 알려주는 1.4배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경우, 카메라가 알아서 자동 초점 기능을 꺼버린다. f/5.6을 기준으로 설계된 카메라에 f/5.6 렌즈와 컨버터 장착 후의 실질적인 [[f 값]]을 카메라에 알려주지 않는 제3사(3rd party)의 1.4배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경우, 카메라는 자동 초점을 시도하지만 자동 초점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f/5.6 렌즈에 1.4배 [[망원 컨버터]]를 장착했을 때 실질적인 렌즈 밝기는 f/8이 되기 때문이다.
 
간혹 일부에서는 f/2.8 센서가 고광량 하에서만 작동한다고 이야기하는데, 이는 오해이다. f/2.8 센서의 감도가 f/5.6 센서와 같기 때문에 두 센서는 동일한 광량에서 동작한다. 두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경로가 차이날 뿐, 동작 광량이 차이나지는 않는다.
160번째 줄:
이에 반해 능동 방식은 물체의 대비가 적거나 광량이 매우 적은 경우에도 정확히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빛이 적은 곳에서 수동 방식의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개발되었다. 초점을 맞추는 동안 물체에 자동 초점 보조광(illuminator)을 비추는 방법이 가장 많이 쓰인다. <ref>Norman Goldberg, Camera Technology - The Dark Side of the Lens, Academic Press (1992).<name="norman"/ref> 많은 경우 카메라 자체에 자동 초점 보조광을 발산하는 별도의 램프가 있다. 많은 외장 플래시에도 자동 초점 보조광을 위한 램프가 있다. 자동 초점 보조광을 위한 별도의 램프가 없는 [[캐논 EOS 10D]], [[캐논 EOS 20D]], [[캐논 EOS 30D]], [[캐논 EOS 300D]], [[캐논 EOS 350D]], [[캐논 EOS 400D]]와 [[올림푸스 E-300]], [[올림푸스 E-500]]과 같은 몇몇 [[DSLR]] 카메라의 경우에는 내장 플래시가 자동 초점 보조광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카메라들도 외장 플래시 장착시에는 외장 플래시의 자동 초점 보조광을 사용한다.
 
== 자동 초점 모드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