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베르트 문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wopimgh (토론 | 기여)
잔글 갯수 → 개수
Twopimgh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
| 2
| [[산술]]의 [[공리]]들이 [[무모순]]임을무모순임을 증명하라.
| {{부분적|[[쿠르트 괴델|괴델]]과 {{외래어|[[게르하르트 겐첸|겐첸]]||de}}(Gentzen)의 결과가 이 문제를 해결했는지에 대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1931년에 증명된 [[괴델의 제2 불완전성 정리]]는 산술의 공리계가 자기 자신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없음을 보였으며, 1936년에 겐첸은 [[서수]] [[엡실론 영|ε<sub>0</sub>]]이 [[기초집합]]이라는 가정을 하면 산술의 무모순성이 증명됨을 보였다.}}
|-
32번째 줄:
|-
| 6
| [[물리학]] 전체를 [[공리화]]하라공리화하라.
| {{아니오|미해결. [[모든 것의 이론]] 참고.}}
|-
48번째 줄:
|-
| 10
| 임의의 주어진 [[디오판투스디오판토스 방정식]]이 정수해를 갖는지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라.
| {{예|부정적으로 해결: {{외래어|[[마티야세비치의 정리]]}}(Matiyasevich's theorem)에 따라 그러한 알고리즘은 존재하지 않는다.}}
|-
76번째 줄:
|-
| 17
| [[정부호]] [[유리함수]]를 [[제곱 (대수학)|제곱]]들의제곱의 합의 몫으로 나타내라.
| {{예|해결: 필요한 제곱의 개수의 상한이 발견되었다.}}
|-
| 18
| 정다면체가 아니면서 [[쪽 맞추기쪽매맞춤]] 할 수 있는 다면체가 존재하는가? 가장 밀도가 높은 [[쌓기]]는쌓기는 무엇인가?
| {{예|해결.<ref>Rowe & Gray는 2000년에 출판된 책에서 공 쌓기 문제([[케플러의 추측]])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18번 문제를 "미해결"로 분류했으나, 그 뒤로 풀이법이 발표되었다. 아래의 자료 참고.</ref>}}
|-